정당공천제의 장단점과 그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정당 공천제의 장점
2. 정당 공천제의 단점
3. 우리나라 국회의원 공천제도의 역사적 전개 과정
4. 우리나라 공천제도의 변화
5. 정당 공천제의 대안: 국민경선제

III. 결 론

본문내용

로 이어졌다.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과 개혁국민정당이 일부 선거구에서 연합 공천을 통해 자기 당 후보를 내지 않고 상대당 후보를 지지하였다. 97년 대선 후 새정치국민회의와 자민련이 각각 자기 지역에서만 후보를 내고 다른 지역에서는 상대당 후보를 지지하는 연합 공천을 하였다. 이러한 공천방식이 정당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있다.
민주화이후에 국회의원 공천제도가 변화된 것 중에서 마지막으로 지적할 것은 2000년 총선부터 전국구 비례대표제 후보의 30%를 여성에게 할당하는 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이것은 여성의 정치참여에 대한 강한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5. 정당 공천제의 대안: 국민경선제
당내민주주의를 위해 상향식 의사 결정 구조를 확립하기 위해서 당의 정책결정, 각종 선거의 후보 공천과정에서 국민과 당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제도로써 국민경선제도를 들고 있다. 국민경선제도란 정당의 공직 후보 선출과정에서 당원이 아닌 일반 유권자들의 의사를 반영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정당의 당원이 아닌 일반 유권자(국민)들이 각급 선거의 공직 후보 선출 과정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의사를 반영한다. 이 제도는 국민의 정치적 무관심과 대의원의 매수, 정당 총재의 1인 독주나 상의하달식 당 운영 방식 등 잘못된 선거 관행을 개선하고 대중 정당화와 참여 민주주의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취지로 도입되었다. 대표적인 국민 경선제로는 미국의 예비선거(Primary)를 들 수 있다. 정당의 후보자 지명을 일반 유권자의 투표에 의하여 결정하는 선거 제도로, 당적에 관계없이 모든 유권자에게 투표권을 준다.
III. 결 론
모든 법제도에는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어느 제도이든 필요하다면 단점과 부작용이 있다고 그 제도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제도를 운영하는 우리들의 의지와 자세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정당공천제도도 분명히 좋은 취지에서 만들어졌겠지만 그것을 악용하여 민주주의 정신을 거스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대비해 국민경선제도를 살펴보고 있다. 이 제도도 단점이 있겠지만 장점을 최대한 살려 그 본 취지를 잘 살려 이어나갈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과 국민을 위해 성실하고 소박하게 일할 수 있는 참신한 인물을 여당 야당 가릴 것 없이 선출하여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정치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정말 현실적으로 시급한 일인 듯하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2.02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