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 신앙 축제 기획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무속 신앙 한마당 의도 및 동기

2. 무속 신앙 한마당 개요

3. 프 로 그 램

본문내용

굿 공연
ⅰ 프로그램 의도 : 신년 굿의 제외한 각종 굿 공연을 통하여 내국인들 에게는 굿에 대한 편견을 완화하고 좀 더 친숙해 질수 있으며, 외국인들에게는 한국의 전통 문화에 대해 소개 할 수 있다
ⅱ 진행 방향 : 해설자의 굿판에 대한 설명을 하고 나서 굿을 시작 한다.
3-2-3. 인형극
ⅰ 프로그램 의도 : 인형극을 통하여 과거 우리 조상들의 무속 신앙을 알기 쉽게 소개 하며, 아이들의 흥미를 끌 수 있다.
3-3. 전시 프로그램
3-3-1. 장승 전시
ⅰ 프로그램 의도 : 장승의 종류를 실제로 봄으로서 장승의 미적 아름다움과 의미를 알릴수 있다.
ⅱ 진행 방향 : 축제장 곳곳에 설치 언제든지 볼 수 있게 한다.
3-3-2. 한국의 무속 신 그림 전시
ⅰ 프로그램 의도 : 생소하기만 한 한국 전통의 무속 신을 전시하면서 그 종류와 무속 신이 되 배경을 설명하면서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알 수 있게 한다.
ⅱ 진행 방향 : 전시장을 따로 만들어 해설자의 안내를 통해 설명해준다.
4. 결론
4-1 인식의 변화와 발전
축제를 통하여 무속신앙에 대한 인신을 변화 시키며,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에 뿌리를 두고 넓고도 깊은 우리 전통문화의 진수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인식의 변화는 전문적 학자 양성을 통한 무속의 포교 프로그램의 발전은 현대 사회에 걸맞는 종교인의 상을 정립 할 것이다.
4-2 세계화
나라굿으로 유명한 김금화 선생은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진 큰 무당이다.82년 한미수교 100주년을 기념한 미국 공연장에서 일약 국제적 스타가 되었고 그후 줄곧 나라굿을 주도해 왔다.
"우여곡절 끝에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공연에 참가할 수 있었어요. '김금화의 굿을 통해 한국의 민속예술을 보여주자'는 조자용(前 에밀레 박물관장)씨 등의 학계측과 '샤머니즘에 불과한 무당굿으로 나라망신 시키려 드느냐'고 펄쩍 뛰는 관공서측의 팽팽한 대립으로 자칫 공연참가가 무산될 뻔 했지요. 당시 미국대사였던 김용식씨를 조박사님이 끈질기게 설득한 끝에 결국 '철무리굿'이 아닌 '철무리춤'이라는 이름으로 무대에 오르도록 절충을 봤지요."한국대사관의 우려와는 정반대로 김금화 선생의 굿판은 일약 세계민속학자들 사이의 화제거리가 되었다. 김금화 선생으로 인해 우리 굿이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예술로 새롭게 자리매김 하는 감격적인 순간이었다.
82년 이후부터 국제적인 유명세를 가지게 된 김금화 선생은 그간 외국에서 수많은 나라굿을 해왔다. 백두산 천지에서의 대동굿,독일 베를린에서의 윤이상 선생을 위한 진혼굿 등이 대표적이다. 선생의 이력에 세인트 존 디바인 성당에서의 나라굿도 추가되어 우리나라의 민속예술이 널리 세계에 알려지길 기대해 본다.
인간문화재 만신 김금화 여사 기사
이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의 굿은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라 할 수 있다.
이번 축제를 통하여 외국인 관광객들 에게 좀 더 다양한 무속신앙을 소개하고 이는 국외의 많은 관심을 받을 수 있다 생각 한다.
무속신앙 축제를 통해 이렇게 중요한 전통문화의 세계화가 한발 더 앞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2.03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