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망의 교환 기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신망의 교환 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
1) 통신망의 정의
2) 통신망의 분류

2. 데이터 통신망 교환
1) 데이터 교환의 정의
2) 데이터 교환 기술의 분류

3.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
1) 정 의
2) 동작원리 및 특징
3) 장ㆍ단점

4. 패킷교환(Packet Switching) 방식
1) 정 의
2) 동작원리 및 특징
3) 패킷교환방식의 분류
4) 장ㆍ단점

5. 가상회선(Virtual Circuit) 방식
1) 정 의
2) 동작원리 및 특징
3) 장ㆍ단점

6. 데이터그램(Datagram) 방식
1) 정 의
2) 동작원리 및 특징
3) 장 점

7. 교환 방식의 비교

본문내용


가변
가변
오버헤드
경로 설정 후 없음
패킷별 오버헤드
패킷별 오버헤드
패킷 도착순서
고정
고정
변동가능
< 참고 문헌 >
1. 정보통신 개론과 데이터 통신, 문운당, 김덕환, 2006. 02. 10.
2. 데이터통신 및 컴퓨터통신, 사이텍미디어, 김종상외 역, 2004. 09. 30.
3. 세기위성(http://www2.sekisat.com)
4. 정보통신 기술사모임(http://cafe.naver.com/itpe78/321)
■ 교환 기술(Switching Techniques)
1, 2, 3, 4는 회선을 나타내는데 회선교환 방식에서는 Data를 원래 크기 그대로 회선 간에 전달을 한다. 그림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한 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Data의 흐름(경로 : )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나의 Data가 모든 회선을 독점하게 된다.
가상회선 방식 또한 Data의 흐름(경로 : )이 존재하지만 Data를 전송하기 이전에 경로를 확정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미리 정해놓은 경로로 가상의 채널을 만들어 Data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때 Data를 일정한 크기로 나눈 패킷단위로 Data를 전송, 목적지에 가서는 이 패킷들을 조합하여 원래의 Data로 만든다.
데이터그램 방식은 앞의 두 가지 교환 방식과는 달리 Data의 흐름이 없다. 따라서 데이터그램 방식은 패킷이 순서대로 전송되지 않는다. Data의 흐름이 없어서 한 회선으로의 전송이 실패했을 경우 다른 회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각 패킷마다 도착지의 주소를 포함시켜 그 도착지에 해당하는 패킷만을 모아 Data로 만드는 것이다.
- 목 차 -
1.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
1) 통신망의 정의
2) 통신망의 분류
2. 데이터 통신망 교환
1) 데이터 교환의 정의
2) 데이터 교환 기술의 분류
3.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
1) 정 의
2) 동작원리 및 특징
3) 장ㆍ단점
4. 패킷교환(Packet Switching) 방식
1) 정 의
2) 동작원리 및 특징
3) 패킷교환방식의 분류
4) 장ㆍ단점
5. 가상회선(Virtual Circuit) 방식
1) 정 의
2) 동작원리 및 특징
3) 장ㆍ단점
6. 데이터그램(Datagram) 방식
1) 정 의
2) 동작원리 및 특징
3) 장 점
7. 교환 방식의 비교
< 참고 문헌 >
■ 교환 기술(Switching Techniques)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2.0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1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