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고관절부][안면부][소근육운동]근육의 정의와 기능, 근육의 종류, 고관절부의 근육, 안면부의 근육, 하체의 근육 및 소근육운동의 정의, 소근육운동과 인지, 소근육운동과 뇌성마비아 소근육운동 발달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육][고관절부][안면부][소근육운동]근육의 정의와 기능, 근육의 종류, 고관절부의 근육, 안면부의 근육, 하체의 근육 및 소근육운동의 정의, 소근육운동과 인지, 소근육운동과 뇌성마비아 소근육운동 발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근육의 정의와 기능
1. 근육의 정의
2. 근육의 기능

Ⅲ. 근육의 종류
1. 뼈대근뼈대근(골격근)
2. 심장근심장근
3. 민무늬근민무늬근

Ⅳ. 고관절부의 근육
1. Elevation of Pelvis
1) Quadratus Lumborum(요방형근)
2) Normal and Good
3) Fair(별법)
2. Lumbosacral plexus(L1 ~ S3)
1) Lumbal plexus(L1 ~L4)
2) Sacral plexus(L4 ~ S3)
3) Superior Gluteal Nerve(L4 ~ S1)
4) Inferior Gluteal Nerve(L5 ~ S2)
5) Calf muscle - Tibial Nerve
6) Superficial peroneal nerve
7) Deep peroneal Nerve
3. Hip Flexion
1) Muscle
2) Hip Flexion
3) Poor
4) 고관절 굴곡시 고관절 외전하면서 대상작용하는 근육
5) Test
4. Hip flexion, Abduction, and Lateral rotation with knee flexion(재기차는 모습)
1) Muscle
2) Normal and Good
5. Hip Extension
1) Muscle
2) Hamstring muscle
3) Normal and Good
4) Normal and Good Test 시 Maximus의 단독검사

Ⅴ. 안면부의 근육
1. 안면근육 근력단계
2. 저작근
3. Branchs of the facial nerve in the face and Neck
4. Muscle of the Forehead and Nose
5. Muscle of the eye
6. Muscle of the Mouth
7. Muscle of Mastication

Ⅵ. 하체의 근육
1. 볼기의 근육과 넙다리의 근육
2. 종아리의 근육
3. 발의 내재근육

Ⅶ. 소근육운동의 정의

Ⅷ. 소근육운동과 인지

Ⅸ. 소근육운동과 뇌성마비아 소근육운동 발달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육운동은 앉기와 걷기 같은 커다란 동작을 말한다.
Ⅷ. 소근육운동과 인지
발달의 초기에는 소근육운동과 인지능력이 상호보완적으로 같이 발달한다. 영유아기의 인지능력은 주변에 있는 사물을 다루면서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소근육운동의 발달지체는 아이가 자신의 주변을 탐색하면서 배울 기회를 제한하므로 아이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아이는 사물을 바닥에 떨어뜨리면서 모든 사물은 언제나 아래로 떨어진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장난감을 커튼 뒤에 숨기더라도 그 곳에 항상 존재한다는 사실도 배우게 된다.
어린아이의 경우 소근육운동을 익히기 위해서는 먼저 행동을 보여주거나(modeling), 말로 신호를 주거나(verbal cue), 용기를 북돋워 주는(encouragement) 등 조금 더 노력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아이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근육운동은 잘 짜여진 체계(structured and systematic)를 갖고 이루어져야 한다. 단순히 아이의 발달과정에 맞추어서 장난감이나 교재를 골라 주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다. 학교에 들어가면 사물과 개념에 대한 이해를 그림과 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소근육운동 능력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소근육운동과 시각협응운동(visual motor)이 어려우면 자신이 알고 있는 바를 표현하기 힘들어 진다. 예를 들어 아이가 식물이 자라기 위해서는 햇빛과 물 그리고 흙이 필요함을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식물이 자라기 위해 필요한 것을 그리기와 같은 과제를 받으면 알고 있는 내용을 종이 위에 그리기 힘들 것이다. 이와 같이 인지능력의 발달 역시 소근육운동 습득에 영향을 준다. 아이의 인지능력은 손을 사용하는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예를 들어 아이가 장난감 블록을 쌓아서 탑을 만들 수 있는 신체적인 능력이 충분하다고 하더라도 인지능력이 부족하면 누가 시키지 않는 한 스스로 탑을 쌓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것이다. 블록을 함께 뭉치거나 따로 떨어뜨리는 개념까지 인지능력이 도달해 있지 않다면 아마도 블록을 입으로 가져가거나 서로 부딪히거나 블록의 구멍에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도 있다. 비록 신체적인 능력은 다음 단계로 나갈 준비가 되어있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놀이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럴 경우 아이가 아이의 인지정도에 맞으며 아이가 흥미를 갖는 놀이를 찾아야 아이의 소근육운동 발달에 도움이 된다.
Ⅸ. 소근육운동과 뇌성마비아 소근육운동 발달
뇌성마비아의 전형적인 장애특성은 뇌의 운동 중추의 장애에 의하여 거의 전신적인 운동장애가 기본적인 장애로서 나타나며 이러한 운동장애는 신체 전체를 움직이는 것과 상·하지를 움직이는 것, 언어 사용, 시선을 움직이는 것 등에 장애를 가지게 되며 내적 요구에 따라 어떤 행위를 한다든지, 또는 내적인 경험을 표현한다든지 할 때에 장애를 가지게 된다. 아동의 신체 발달적 측면을 살펴보면 정상 아동의 경우 대근육 운동에서 소근육운동으로 발달하며, 소든육 운동은 눈과의 협응을 통해 손동작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과제 즉 반복적인 조작행동을 수행하는 데 시각과 손의 운동정보가 효율적으로 적응하여 움직이는 능력이다. 이 능력은 운동발달 전체의 통합된 영역으로 시각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선발하여 숙련된 운동행동으로 바꾸는 중추 신경계의 능력을 통해 증가된다. 또한 소근육운동력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된다. 기초적인 운동기능은 유아기에 이미 현저히 발달하고 아동기에는 운동기능의 내용면에서 속도·정확성 등이 더욱 발달되어 새롭고 복잡한 운동기술을 학습하게 된다.
소근육운동인 손동작의 발달단계를 보면 신생아기에는 반사적으로 엄지 손가락을 다른 손가락들 안으로 접어서 쥐며, 1~2개월에는 서서히 손을 펴나 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3~5개월에는 물건을 잡을 때 손가락을 펴서 잡거나 장난감을 손에 잡아 입으로 가져가며, 이 시기에 처음으로 눈과 손의 협응 행동이 나타나며, 6~8개월에는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물체를 옮겨 쥘 수 있으며, 과자 등을 스스로 집어 먹을 수 있다. 9~10개월에는 동작이 서투나 작은 것을 잡을 수 있고, 검지 손가락을 펴서 지적하는 반응을 보인다. 11~12개월에는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건네줄 수 있으며, 컵을 잡고 마시고 끈이 달린 장난감을 끌 수 있다. 15~18개월에는 블록을 2개정도 쌓을 수 있고 목표지향적인 놀이를 통해 정확한 집기가 발달하고, 도구를 사용하며, 18~24개월에는 자의적으로 물건을 잡고 놓을 수 있으며 수직선과 원을 모방하여 그 릴 수 있다. 36~48개월에는 가위를 사용하게 되고 연필을 적절하게 잡을 수 있으며, 4~7세에는 알아 볼 수 있을 정도로 사람을 그리고 대각선을 종이로 접을 수 있으며 성인과 비슷하게 밑에서 받쳐주는 연필을 잡는 자세가 가능해 진다.
소근육운동은 일상생활에서 많이 필요로 하는데, 가령 전화를 걸려고 할 때 손의 기능이 좋지 못하여 전화를 걸지 못한다든지, 서랍장이나 문을 열지 못한다든지, 옷을 잡을 수 없다든지 하여 실생활에서 소근육운동의 협응이 되지 않으면 목적한 바를 달성 할 수 없다. 소근육운동의 능력은 아동의 연령과 장애의 정도, 가정의 문화 시설이나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손동작을 익힐 수 있는 다양한 자료, 기구를 이용한 훈련이나 운동교육을 통하여 소근육운동 기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박화문. 정재권은 운동교육을 다음과 같이 진술하였다.
운동교육은 성장과정에 있는 아동들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 전체를 도모하며 운동의 촉진 뿐만 아니라 신체의식, 지각, 언어, 개념 그리고 교과학습의 발달을 도모하며, 운동교육은 단순히 한다는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환경 속에서 신체 활동을 통하여 인간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 고영환(2002), 운동해부학, 홍경
◇ 인체의 생물과학, 형설출판사
◇ 원호연(1978), 운동 생리학 개론, 명지 출판사
◇ 정경아(2000), 인체생리학 개정4판, 청구문화사
◇ 정영태 외 4명, 인체해부학, 청구문화사
◇ 핵심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 Rene Cailliet, 근골격계의 기능해부, 영문출판사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2.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3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