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환경과 건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거환경과 건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미국 아리조나주
세도나
피닉스
온도
섭씨 23도
섭씨 43도

풍부함
건조(사막)
나무

사막지형, 선인장
지자기
교란없음
18. 온도, 습도, 바람
불쾌지수
적절한 바람
→쾌적 공간
14주차
제 14강 이상적인 공간
조선
중국
경복궁
창덕궁
자금성
온도
습도
온(냉)대
냉대
풍속
평지
평지
지자기
없음
(온돌)
극심함
(돌축대)
1. 궁궐
- 집 중에서 가장 오랜 시간 머무는 곳?
잠자는 곳 보통 6-8시간
- 잠자는 곳 중 가장 이상적인 공간은? 임금, 왕비가 주무시던 곳 즉, 서울 창덕궁 대조전이 가장 우수(온습도, 바람)
* 창덕궁은 역대 임금들이 주로 있었던 곳(20여명의 임금)
구조적 특이성으로 봐서 지자기 교란은 거의 완벽할 정도로 없음.
* 자금성은 건물 전체는 지자기교란 심하나, 잠자는 곳은 다르다. .
연경당- 99관짜리 양반집(창덕궁 내)
자금성 돌축대 꼭대기 부분 교란
중국 침실(부자들)- 나무가 침실 아래에 있고, 장식장도 나무- 지자기 교란 거의 없다
단점은 천장과 옆이 커튼으로 막혀있어 공기순환 잘X
대조전(2) 왕(비)의 침실구조
바깥문을 열고 들어오면 겨울엔 찬바람, 여름엔 더운 열기가 왕(비) 침실로 들어올 수 있다. 하지만 궁녀가 있는 문이 모두 열려 있어 일단 공기가 들어오면 궁녀가 있는 곳을 돌아 순환이 되고 나면 안정된 공기가 왕(비) 침실로 들어감.
왕비의 침실(대조전)
실제로는 화장대 하나만 있었다고 함.
내부에 아무것도 없는 것이 가장 우수
왕의 침실(대조전)
장식장, 병풍도 없었다. 왕은 많은 사람들의 적이므로 자객이 병풍뒤에 숨었다가 살해할 수도 있으므로 침실은 아무 장식도 없었다.
아무것도 없어 장을 교란하지 않으므로 침실로는 완벽하다.
대조전의 온돌
- 온돌이 공중에 떠 있어 지자기 교란이 거의 완벽히 완화
- 구들장 사이를 황토로 채우고 종이 등으로 마감을 함. 구들장이 떠 있음. 구들장 위에 8mm정도의 틈이 있음. 이 틈의 공간 내부에서 열대류가 일어나 온도 차이 덜나게 함. 또 위에 판자를 깐다. 나무는 열용량이 작고 열전도가 잘 되지 않아 방 구석구석 적당이 따뜻하고 아늑하다. 겨울이나 여름에도 항상 몸이 적응하기 적당한 온도를 만들어 준다.
3. 이상적인 공간
침실
공부방
1) 침실(1)
쾌적지수(온도, 습도)
바람(내부의 바람)
전자파
(지)자기장
2) 침실(2) - 쾌적지수
쾌적지수(온도, 습도)
생활 : 60-70(잠잘 때 : 65-70 - 따뜻한 것이 좋다. 공부할 때 : 55-65 - 시원한 것이 좋다.)
〈60 : 춥다
〉70 : 덥다
3) 침실(3) - 냄새
쾌적한 공간(냄새, 습도)
욕실(샤워)?
화장실?
조리시설?
5) 침실(5) - 전자파
전자파 장애 → 2mG 이하
전기기기
TV, 오디오. PC, 냉장고...
전기장판, 각종 특이 침대
6) 침실(6) - 전자파 2mG이하
각종 특이 침대
○○돌 침대
○○옥 침대
○○흙 침대
○○ 침대
7) 침대(7) - 지자기장
(지)자기장 이상(교란)
100mG 이상 ← 강자성체
바닥 ← 철근, 철골
벽 ← 철근, 철골
8) 침실(8) - 지자기장 100mG 이상
침대 ← 철제 스프링 → 스프링 없는 매트
벽 ← 철근, 철골
벽에서 50 - 100cm 떨어진다.
10) 침실(10)- 이상적인 방향
완벽한 공간일 때 침대를 동서로 두고 자는 것이 좋다.
남북으로 자면 potential의 차이가 생겨서 서서 자는 것과 같은 현상, 힘들고 피로가 쉽게 쌓인다.
11) 공부방(1)
쾌적지수(온도, 습도) : 55-65 가 가장 좋다.
바람(내부의 바람)
전자파
(지)자기장
12) 공부방(2) - 쾌적도
쾌적지수(온도, 습도)
생활 : 60-70 → 55-65
〈60 : 춥다
〉70 : 덥다
쾌적한 공간(냄새, 습도)
욕실(샤워), 화장실, 조리시설?
13) 공부방(3) - 전자파 장애
전자파 장애 → 2mG 이하
전기기기
TV, 오디오, PC, 냉장고. ...
조명
간접조명
형광등 → 전자파 발생
스탠드 → 백열등
14) 공부방(4) - 자기장 이상
(지)자기장 이상(교란)
100mG 이상←강자성체
바닥, 벽←철근, 철골
책상, 의자, 각종기구
→ 비 자성체(자석에 붙지 않는 것)
→ 벽에서 50-100cm 떨어질 것
15) 공부방(5) - 침대
각종 특이 침대
→ ○○돌침대, ○○옥침대
→ ○○흙침대, ○○ 침대
침대, 벽 ←철제 스프링→스프링 없는 매트
벽에서 50-100cm 떨어진다.
1. 멜라토닌 분비 가장 활발한 시간? 22시~6시
2. 송과선으 ㅣ활동에 영향을 가장 적게 주는 것~ 중ㅇ력
3. 뇌파의 정의가 잘못된것은?
4. 사람이 가진 오감과 기관의 관계들 잘못 짝지은 것은
5. 생식활동의 일주성, 연주성 동물의 짝짓기 등에 관계있는 호르몬은? 멜라토닌
6. 사람에게서 멜라토닌의 역할을 잘못 표현할 것은? 사춘기 성 억제
7. 다음 중 전자파와 거리가 먼것은? 초장파
8. 시차를 나타낸 것과 거리가 먼 것은? 깊은수면
9. WHO가 정한 건강과 거리가 있는 것을 모두 골라라
10. 이상적인 공간과 가장 거리가 먼 것
11. 지난 100년 동안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한 학문분야? 토목공학
12. 지난 100년 간 사람의 수명을 연장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한 학문분야? 토목공학
13. 다음 중 지구상에서 장에 결핌이나 이상에 의한 현상과 관계가 먼 것을 모두 고르면?
1) 바람 2) 태풍 3) 배멀미 4) 지자기푹풍 5) 혜성 - 135
14. 다음 중 건강한 생활으르 가능케 하는 주변의 지역적 사회적 조건과 거리가 먼것은
15. 내분비계 면역계의 역할을 잘못 표현한 것은?
내분비계- 성장발전 조절, 성적발전 조절 // 면역계- 질병으로부터 보호
16. 불면증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것은? 충부한 수면
17. 척추동물의 간뇌등면에 돌출해 있는 내분비선으로 감광능력을 가진 내분비선을 말하는 것이 아닌것은? 2 생상체
18. 전자파의 유해성에 대한 미국의 공식적인 견해는? 신중한(회피)가 필요하다
19. 다음 중 전자파와 거리가 가장 먼것은? 적외선
20. 시파를 가장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멜라토닌 활용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10.02.2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