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 12주신 레포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그리스 신 계보

2. 그리스 올림푸스 12주신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안내자이며 부와 행운의 신으로서 상업, 도박, 격투를 비롯한 그 밖의 경기, 심지어는 도둑질에 이르기까지 숙련과 기민성을 요하는 분야를 주관합니다. 또한 여행자의 신이기도 합니다.
5. 성격과 특성
12신의 막내로 귀염성과 더불어 교활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6. 자녀, 가족관계
제우스와 마이아를 부모로 두고 있습니다. 자녀로 일단 아프로디테와는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생식 및 풍요의 신인 프리아포스를 낳았습니다. 그 외에도 아버지인 제우스처럼 여러 여신, 님프, 인간들과 정을 통하여 판, 다프니스, 케팔로스 등을 자녀로 두었습니다.
7. 상징물
일단 상징물로 숫자 4가 있고, 전령의 신이라서 그런지 날개 달린 신발을 상징물로 가지고 있습니다.
8. 행성(별자리)
헤르메스의 대표행성은 수성(Mercury)입니다.
9. 특기사항(헤르메스의 교활함)
여신인 아프로디테와 아레스가 바람을 피우는 것을 보고 화가 난 헤파이스토스는 보이지 않는 그물로 그들에게 망신을 주었던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때 헤르메스는 아프로디테에게 마음을 두고 여러 번 접근하였지만 아프로디테는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헤르메스를 귀여워하는 제우스가 이를 가엾게 여겨, 아프로디테가 아켈로오스 강에서 목욕을 할 때 자기 독수리에게 그녀의 황금 샌들을 훔치게 하고 헤르메스더러 그것을 돌려주도록 했습니다. 교활한 헤르메스는 자기와 정을 통하면 샌들을 반환하겠다는 조건을 제시하자, 아프로디테도 할 수 없이 여기에 응했던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아프로디테와의 사이에 헤르마프로디토스와 생식 및 풍요의 신인 프리아포스를 낳게 됩니다.
디오니소스(Dionisos)
1. 선정이유
원래는 헤스티아와 디오니소스 둘 중의 누구를 마지막으로 넣을지 고민했었는데, 후대에 들어서 헤스티아보다 디오니소스에 대한 역사적인 비중이 커졌다는 말을 듣고는 디오니소스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2. 명칭
- 어원 : 언어학적으로 제우스를 뜻하는 어간 dio- 에 아들을 뜻하는 낱말 nysos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즉 제우스의 아들이라는 뜻인데, 또 다른 민간 어원에서는 디오니소스를 두 번 태어난 자로 분석합니다. 이는 디오니소스의 이름을 발음에 따른 해석으로 둘을 나타내는 어간 dyo-와 태어나다를 뜻하는 nys-로 분석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불완전한 신'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 별명(칭) : 별칭으로는 어머니가 둘인 자라는 뜻의 '디오메트로', 광기를 불어넣는 자라는 뜻의 '마이노미노스'라는 별칭이 있습니다.
- 표기 : 헬라어로는 디오니소스(Dionysos), 라틴어로는 바쿠스(Vacus), 영어로는 바커스(Vacus)라는 표기를 사용합니다.
3. 탄생배경
세멜레가 제우스의 아이를 임신하고 있을 때 헤라는 그녀를 질투하여 늙은 유모인 베로에의 모습으로 찾아갔습니다. 그래서 그녀에게 애인이 정말 제우스인지 의심을 품게 하여, 제우스가 오면 증거로 헤라와 결혼식 때의 모습 그대로를 보여 달라고 말하게 부추겼습니다. 귀가 얇은 세멜레는 제우스가 찾아오자 부탁이 있으니 꼭 들어달라고 했고, 제우스는 들어주겠다며 스틱스 강에 맹세를 했습니다. 세멜레의 부탁을 들은 제우스는 매우 난감했지만 스틱스 강에 맹세해서 취소할 수가 없어 부탁을 들어주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육체로는 천상의 휘황찬란한 빛을 감당할 수가 없어 그만 타버리고 말았습니다. 제우스는 슬퍼하며 임신 중인 세멜레의 몸속에서 아기를 꺼내어 자신의 넓적다리에 넣었고, 달이 차자 아이는 아버지의 넓적다리를 뚫고 세상에 나왔습니다. 이렇게 험난한 우여곡절을 거쳐서 디오니소스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4. 지배영역
디오니소스는 포도나무ㆍ포도주를 관장하며 술에 취하게 하는 힘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모든 속박으로부터의 해방의 신, 문명의 촉진자, 입법자, 그리고 평화의 애호자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광란과 황홀경, 산과 들의 신입니다.
5. 성격과 특성
이성적인 아폴론과는 반대로 디오니소스는 광란과 무질서, 그리고 사람들을 열광시켜 자신을 따르게 하는 속성을 가졌습니다.
6. 자녀, 가족관계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와 세멜레가 부모이고, 크레타의 왕녀 아리아드네를 아내로 삼았습니다.
7. 상징물
술의 신이라는 속성을 대표해주는 포도잎과 담쟁이덩굴을 상징물로 하고 있습니다.
8. 행성(별자리)
디오니소스를 직접적으로 대표하는 별자리나 행성이 없습니다.
9. 특기사항(광란의 디오니소스)
디오니소스는 자신의 무리들과 함께 인도를 정복한 후 트라케 지방으로 향했습니다. 그러나 그곳의 뤼크르고스 왕은 여자들이 술에 취해 광기를 부리는 새로운 종교를 배척하여 디오니소스와 여자 신도들을 막대기로 마구 때리고 감옥에 가둡니다. 이에 디오니소스도 바다로 뛰어들어 테티스에게로 도망칩니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어떤 힘에 의해 디오니소스의 여신도들은 감옥에서 풀려나고 왕 자신은 미쳐서 도끼로 포도 묘목을 자른다며 자신의 아이들의 손발을 자릅니다. 왕은 제정신이 들자 왕국이 황폐하게 된 것을 알게 됩니다. 백성들은 신탁을 묻자, 신탁을 통해 디오니소스의 노여움은 죄지은 자의 죽음으로만 풀어진다고 나옵니다. 그래서 백성들은 뤼쿠르고스 왕을 말에 매어 여덟 조각으로 갈기갈기 찢어 죽이게 됩니다. 그만큼 디오니소스는 사람들을 얼마든지 광기에 빠뜨릴 수 있는 무서운 광란의 신이었습니다.
참 고 문 헌
참고문헌 목록은 '제목/저자/역자/출판사/출판년도'의 순으로 작성했습니다.
ㆍ그리스 로마 신화 / 토마스 불핀치 / 손명현 역 / 신원문화사 / 2003
ㆍ신통기 / 헤시오도스 / 천병희 역 / 한길사 / 2004
ㆍ(구스타프 슈바브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 신과 인간의 시대 / 구스타프 슈바브 / 이동희 역 / 물병자리 / 2006
ㆍ그리스 신화 / Burn Lucilla / 이경희 역 / 범우사 / 2000
ㆍ(그리스인이 들려주는) 그리스 신화 / 니코스 알리아가스 / 이은진 역 /
미래 M&B / 2004
ㆍ그리스 신화의 이해 = Greek mythology / 이진성(저자) / 아카넷 / 2004
ㆍ위키피디아 인터넷 백과사전 (주소 - http://ko.wikipedia.org/)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0.03.0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