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과 여수의 지명유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남과 여수의 지명유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라남도(全羅南道)” 지명의 유래
<전라남도 지명의 유래와 변천>
<전라남도의 현재>

2. “여수시(麗水市)” 지명의 유래
<여수시 지명의 유래와 변천>
<여수의 현재>

3. 후기

본문내용

면과 돌산군 태인면 일부가 삼일면으로, 덕안면·쌍봉면이 쌍봉면으로 통합되었다.
(10면 - 여수면, 소라면, 율촌면, 삼일면, 쌍봉면, 화양면, 두남면, 남면, 화정면, 삼산면)
1917년 두남면을 돌산면으로 개칭하였다.
1931년 4월 1일 여수면을 여수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9면 체제가 되었다.
1949년 여수항 개항. 8월 13일에 여수읍이 여수시로 승격함과 동시에 여수군의 외곽지역 9개면에 여천군(麗川郡)을 설치되었다.
1976년 여천지구출장소 개소(여천군삼일면, 쌍봉면일원)
1980년 12월 1일 삼일면이 삼일읍으로, 돌산면이 돌산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 여천군은 2읍 7면이 되었다.
1986년 1월 1일 삼일읍 일원과 쌍봉면 일원을 관할로 여천시가 설치되었다. 이로써 여천군은 1읍 6면 체체로 되었다.
1998년 4월 1일 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을 통합하여 여수시로 개칭함. (삼려(三麗)통합이라 함.)
<여수의 현재>
2009년 현재 돌산읍과 소라·율촌·화양·남·화정·삼산면, 동문·한려·중앙·총무·광림·서강·대교·국·월호·여서·문수·미평·둔덕·만덕·쌍봉·시전·여천·주삼·삼일·묘도동 등 1읍 6면 20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2006년말 기준 501,300 km2이다. 해안선의 길이는 905.87 km이고, 도서의 수는 317개이다. (연륙도서 4개, 유인도서 45개, 무인도서 268개)
인구는 2009년 9월 현재 294,163명이다.
3. 후기
내가 살았던 고장의 이름의 유래를 보니 감회가 새로웠다. 나의 지난날을 돌이켜 보는듯한 느낌이었다. 전라남도와 여수시, 최근 인구가 줄고 있다. 또 산업기반 시설도 적고, 사회간접자본시설, 문화시설 등도 타 지역에 비해 열악하다. 그러나 문화적 자부심, 자연환경, 인심, 사회비판정신 등은 다른 지역에 비해 절대 뒤지지 않는다. 지명을 조사하며 애향심이랄까 내 고장을 사랑하는 마음을 새삼 느꼈다.
지명의 유래를 조사하면서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다. 특히 동지역, 읍지역에 대한 자료는 더 부족했다. 향토사, 지역문화사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자료들간에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 지명이 변경된 해가 1년씩 다르게 나온 경우가 있었는데, 이 경우, 주로 공기관의 자료를 따랐다.
<참고자료>
전남도청 홈페이지- 전라남도 유래
Encyclopeadia Britannica
엔사이버 백과검색
위키백과
여수시 문화원

키워드

  • 가격1,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14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