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가][신라 향가]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품해제, 신라 향가 처용가의 원문, 신라 향가 처용가의 해독, 신라 향가 처용가의 시어와 시구 풀이, 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품이해, 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자학설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처용가][신라 향가]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품해제, 신라 향가 처용가의 원문, 신라 향가 처용가의 해독, 신라 향가 처용가의 시어와 시구 풀이, 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품이해, 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자학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품해제
1. 작자
2. 연대
3. 갈래
4. 표현
5. 성격
6. 주제
7. 내용
8. 의의

Ⅱ. 신라 향가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1. 처용가의 원문
2. 양주동의 해독
3. 김완진의 해독

Ⅲ. 신라 향가 처용가의 시어와 시구 풀이

Ⅳ. 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품이해

Ⅴ. 신라 향가 처용가의 작자학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入京)하여 왕정을 보좌한 기인제도(其人制度)의 기원과 연결지어 역사적 사실을 분석 추구하고 또 처용의 처를 간통한 역신(疫神)에 대하여도 이를 병든 도시 문호에 젖어 있던 유한공자(遊閑公子)를 대표하는 것으로 보는 이우성(李右成)교수의 학설
13. 처용을 이슬람 상인의 표착(漂着)으로 보고 신라 귀족들이 애용하였던 유리배(琉璃杯), 유향(乳香), 안식향(安息香), 취모(翠毛) 등은 모두 서역(西域)으로부터 들어온 것이라는 이용범(李龍範) 교수의 학설과 이를 뒷받침하는 무하마드 깐수의 주장
14. 처용의 아내를 음탕한 여인으로 본 것은 삼국유사 원문을 끊어 해석하는 과정에서 온 잘못으로 그의 아내는 어진 부인이었으며 처용가도 생명을 앗아가는 역신을 물리치는 노래라 하는 홍재휴(洪在烋) 교수의 설
15. 처용을 용신(龍神)과 역신(疫神)의 투쟁으로 보아 역신은 악신이고 용신은 선신이라 하여 처용을 선신격으로 승화시켜 악신구축의 설화로 설명하는 설(양재연, 임동권, 장덕순, 최정길 공편 한국풍속지)
16. 처용을 동해용의 아들이라 하여 개운포와 망해사 창건의 연기설화(緣起說話)에 관련시켜 그유래를 신비스럽게 하려는 작위에 불과하며 처용에 관한 가무가 고려와 조선시대를 통하여 전해오는 것을 보아 신라 하대의 저명한 가면극(假面劇) 창우(倡優)로써 그 당시 임금의 총애를 받았던 것이라는 이병도(李丙燾)의 설
17. 처용설화를 바다의 神인 용이 노하여 파도를 일으키고 구름과 안개를 일게 하는 일을 달래고 수로(水路)에 해가 나와 안전하게 다니기를 기도하기 위해서 일본으로 왕래하는 동해안 울산 바닷가에 망해사를 짓게 된 연기설화이며, 또 處容郞을 해(日)의 신으로 보고 햇님의 넋인 가마귀(烏)라 하는 박시인(朴時仁)교수의 학설 등이 있다.
이상 처용의 정체에 대한 여러 학설을 살펴 보았다. 이들 학설은 나름대로 모두 타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설이라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무속적종교적 관점은 비교적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왔던 것들이고, 화랑도아랍상인설 등은 최근에 제기되었던 것들이다.
참고문헌
김영수, 처용가 연구
김준영, 향가문학, 형설 출판사, 1982
김경수, 처용은 누구인가, 서울 역락, 2005
김경수, 처용설화와 처용가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이근표, 처용설화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9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1990
황패강,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일지사, 2001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5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