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정과 나의 재무계획, 보험계획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가정과 나의 재무계획, 보험계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현재 우리가정에서 가입한 금융상품
- 금융상품
- 보험상품

2. 시중 금융상품 현황
- 예금(정기, 회전정기, 주택정기 등)
- 적금(정기, 청약 등)
- CD/RP/MMDA/CMA
- 펀드(주식형, 적립식, 채권형, 배당주 등)

3. 시중 보험상품 현황
- 암보험
- 건강보험
- 종신/정기보험

4. 향후 경제동향 전망

5. 우리가정의 최적 포트폴리오 제안
- 위험관리 부문
- 재무 부문

본문내용

미래에셋 새가족 사랑 보장보험’이 만료되는 2006년 4월이후
새로운 보험 가입의 필요성이 있음.
아버지의 경우 골프 중 발생하는 상해사고에 대한 보험만이
가입되어 있을 뿐 일반 질병이나 재해에 관한 위험보장이
요구됨.
어머니의 경우 위험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
향후 우리가정의
위험관리제안
아버지와 어머니의 종신보험 가입으로 질병, 재해 등의 위험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음.(명사클럽 보험 해약)
→ 추천 : 신한생명 (무)더블플러스 종신Ⅱ
특징 : 실세금리를 반영한 변동금리형 종신보험
적립금을 노후연금으로 수령 가능
한 건 가입으로 부부 동시보장
보험료 : 아버지(51세 男 가입금 5000만원, 70세 만기시)
+ 배우자종신특약(5000만원)
+ 정기특약(500만원) + 재해사망특약(500만원)
+ 재해상해특약(500만원) + 입원특약(500만원)
+ 암보장특약(1000만원) + 수술특약(500만원)
= 337,600원
본인과 본인동생은 현 교보무배당변액종신보험 가입 유지
- 보험료 : 137,700 × 2 = 275,400원
한달 보험료 : 더블플러스 종신(337,600원) +
무배당 변액종신보험(275,400원) = 613,000원
1년 보험료 : 613,000원 × 12 = 7,356,000원
종전 1년 보험료 4,984,800원 → 향후 1년 보험료 7,356,000원
(가족 모두의 질병, 재해등의 위험 보장)
2. 저 축 부 문
: 현재 우리가정에서 금융상품 및 보험상품에 가입되어 있는 총 금액 53,765,800원에서 1년 보험료로 7,356,000원을 납부하기 때문에 저축부문에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은 약 4600여만원 정도 투자가 가능하다. 4600여만원 중 갑자기 자금이 필요할 때에 대비해 금리가 높으면서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MMDA 상품에 1000만원을 투자하고 나머지 3600만원 중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정기예금상품(1600만원)과 청약저축(월 10만원씩 1년 120만원)에 나머지 1800여만원을 위험은 높지만 고수익 상품에 투자를 한다.
현재 가정에서 총 투자가능한 자금
53,765,800원
위험관리 부문의 투입자금
7,356,000원
저축부문에 투자가능한 자금
46,409,800원
1) MMDA 상품가입
: 'money market deposit account'의 약칭으로, 은행이나 수산업협동조합·농업협동조합에서 취급하는 금융상품의 하나이다. 본래 미국의 은행이 투자신탁회사의 단기금융상품인 MMF(money market funds)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한 고금리 저축성 예금으로 국내에는 1997년 제4단계 금리자유화 이후 도입되었다. 은행시장금리부 수시입출금예금 또는 단기금융시장 예금계정·화폐시장 예금계정이라고도 한다. 보통예금처럼 입출금이 자유롭고, 각종 이체와 결제도 할 수 있으며, 예금자보호법에 의하여 5000만 원 한도 내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실세 금리를 적용하여 보통예금보다 비교적 높은 이자를 지급하며, 가입대상에 제한이 없어 일시적인 목돈을 운용하는 데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단 500만 원 미만의 소액이거나 법인의 경우 예치기간이 7일 미만일 때는 이자율이 낮거나 없을 수도 있다.
현재 시중에 출시된 상품 중 HSBC에서 출시한 ‘e-자유예금 Plus'가 MMDA 상품 중 가장 높은 이율인 연이율 2.00%을 보장하고 있어 이 상품에 가입할 것이다.
2) 청약저축 상품가입
: 청약저축은 전용 25.7평 이하규모로 국민주택기금의 지원을 받아 짓는 `국민주택'을 분양 또는 임대받을 수 있는 통장이다. 국민주택기금의 지원을 받아 짓는 민영아파트,주택공사, 도시개발공사가 공급하는 전용면적 25.7평형 이하의 국민주택, 임대주택 등을 분양받을 수 있다. 당해 주택건설지역에 사는 무주택 가구주로서 1가구 1계좌에 한하며 20세미만인 단독가구주는 가입할 수 없다. 저축금액은 다달이 내는 방식으로 2만~10만원을 5천원 단위로 자유롭게 내면 된다. 가입 후 2년이 경과하고 월 납입금 연체없이 24회 이상 납입하면 1순위가 되며, 6개월간 납입하면 2순위가 된다.
현재 시중의 청약저축 상품들은 국민, 농협, 우리은행에서 출시한 청약저축 상품이 있는데 세상품 모두가 5.00%의 연이율을 보장하고 있어 현재 가입한 국민은행 청약저축상품에 매월 10만원씩 입금해서 청약 1순위를 받을 수 있게 2년이상 예치할 것이다.
3) 정기예금 상품가입
: 예금자가 이자수취를 목적으로 일정기간 예입하기로 약정하는 기한부예 금으로서 예입기관은 1개월 이상 2년 6개월 까지로 되어 있다.
현재 시중의 정기예금 상품들중 서울 강남의 솔로몬 상호저축은행이 가장 높은 이율인 연이율 5.70%를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상호저축은행의 성격상 시중 대형은행에 비해 불안한 것이 사실이므로 1600만원을 분산예치해서 투자자금 1000만원은 솔로몬 상호저축은행 정기예금 상품에, 그리고 나머지 600만원은 연이율 4.60%를 보장해 주는 수협중앙회 정기예금 상품에 예치할 것이다.
4) 펀드상품 가입
: 위의 한국경제신문 기사와 뉴스에서도 알 수 있듯이, 2006년 우리나라의 경제전망은 밝다. 시중 금리도 상승할 것이고 무엇보다 현재도 상승하고 있는 주식시장이 더욱더 상승해 지수 1600포인트까지 오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상황에 맞추어 위험은 높지만 주식상승에 따라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주식형, 주식혼합형 펀드에 1800만원을 투자할 것이다. 주식형 펀드상품 중 수익률이 높고 위험도가 낮은 타임플리오에서 운용하는 타임플리오 사모펀드와 유리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유리스몰 뷰티주식펀드에 투자하며, 주식혼합형 펀드상품 중 수익률이 높고 위험도가 낮은 비너스 주식 27에 고루 분산투자를 할 것이다.
<표-22 우리가정의 저축상품 최적 포트폴리오>
MMDA
HSBC 'e-자유예금 Plus'
1000만원
정기예금
솔로몬 상호저축은행 정기예금
수협중앙회 정기예금
1000만원
600만원
청약저축
국민은행 청약저축
200만원
펀드상품
타임플리오 사모펀드
유리스몰 뷰티주식
비너스 주식 27
1800만원
저축상품 운용자금
4600만원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