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속건축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성 기후 및 해양성 기후의 접경을 이루면서 사계절의 구분이 명확하다. 겨울에는 차가운 북서풍이 불고 여름에는 덥고 습한 남동풍이 불어오는 계절이라 상반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기후의 차이에서 오는 건물배치계획 등에 있어 지역별로 다른 형태의 건물들이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주거형태를 살펴보면 건물의 벽체는 열용량이 큰 흙으로 지었으며 계절에 따른 일조의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여 처마길이를 달리하였는데 여름철에는 차단하고 겨울철에는 실내 깊숙이 유입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겨울 난방수단인 온돌 구조체 와 통풍이 가능한 대청마루가 공존하는 주거형태이다. 밑에 그림을 보듯이 동절기의 평균기온이 특히 낮은 함경도 지방의 민가는 마루 없이 각 공간이 밀집된 겹겹이 이루어진 형태이며 남부지방으로 갈수록 개방적인 평면형이 나타나고 있다. 제주도의 민가는 겨울에도 비교적 온난한 기후특성상 온돌구조 자체도 매우 원시적이면 겹집형의 평면은 열손실이 아니라 강풍을 고려한 것이다.
(1)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형태
① 북부지방
북부 지방은 여름에 그 다지 기온이 높지 않으며 겨울이 되면 기온이 크게 내려간다. 북부 지방의 집의 일반적인 모양은 ㅁ자 모양이다. 북부 지방의 구조적 특징은 온돌이 발달했다. 또한 창문의 개수와 방문의 크기가 작다. 즉 방안의 열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위해 이런 특성을 지녔다. 또한 춥기 때문에 마루가 없고 처마의 길이가 짧아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② 중부지방
중부지방은 기후적으로 북부와 남부의 중간지역에 위치해 양 지역의 기후의 영향을 받아 절충된 형태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주로 ㄱ형과, ㄴ자형, ㅁ자형의 구조가 많으며, 일부지역에는 ㅡ자형도 분포하고 있다.
③ 남부지방
남부 지방은 겨울에는 춥지 않지만 여름에는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이 오는 기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남부지방의 집들은 이러한 자연 환경에 발전 하였다. 전통 건축은 ㅡ자형 집으로 여름에는 방문과 창문을 열어 놓아 바람이 잘 통하도록 하여 기온을 낮추기 위한 방법이었다. 남부지방은 마루가 발달하였고, 가옥에서 창과 방문은 개수가 많고 큰편이다. 자연의 바람과 여름과 겨울의 해의 기울기를 이용 난방 효과 및 통풍 효과를 보는 것이 특징이다.
④ 도서지방
제주도는 온난 다습하며, 바람과 눈비가 많이 온다. 태풍도 많이 불기 때문에 집은 낮고,지붕은 거북이 등처럼 생겼으며, 주위에 돌담이 높게 쌓아져있다. 기후가 따뜻하여 온돌이 없고 화덕만 존재한다. 또한 습윤하기 때문에 마루가 발달해 있고, 외벽은 비,바람에도 잘 견디도록 돌담과 판벽으로 되어있다.
2) 고온건조기후
기온이 높고 일사량이 많은 고온건조 기후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일사를 차단하고 일교차를 극복하기 위한 건축형태가 요구된다. 그래서 고온건조기후의 건물형태는 지연효과에 의한 열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주로 열용량이 큰 진흙으로 지은 중량 구조체이다. 건조하고 모래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개구부의 수도 적고 크기도 작으며, 주개구부가 중정을 향하는 중정형의 건물형태를 나타냅니다. 이 중정이 항시 그늘이 드리워져 있어 일사가 차단됩니다. 또한 중동지방의 경우 실내의 냉방을 위하여 사용되는 윈드 스쿠프는 지붕 위에 바람을 실내로 유입하여 유입된 공기를 가습 증발 냉각시켜 실내환경을 쾌적하도록 하였다.
3) 고온다습기후
습하고 계절적 변화가 적은 일정한 온도 그리고 강한 복사열이 있는 지역이다. 그래서 이지역은 쾌적함을 얻기 위해서는 최대한의 그늘과 통풍 및 최소한의 열용량이 요구된다. 그래서 건물이 충분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대부분의 재료로 목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큰 창과 높은 천장을 계획하여 환기를 최대화함으로써 습한 기후에 대응하였고 차양과 셔터는 과다한 태양열 복사와 강우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밝게 채색된 벽은 벽체를 통한 열 획득을 최소화 한다.
4) 한냉기후
극지방과 같은 한랭기후에서는 거센 바람이 불고 추위가 지속되므로 열손실을 최소로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건축형태의 원칙이다.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차가운 기운을 막을 수 있는 건물 구조이어야 하며 추운기후조건에 대응하기 위하여 열손실 최소화한 건물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극지방은 재료가 제한되고 대부분 눈과 얼음으로 뒤덮여 있기 때문에 눈이 굳어 딱딱해진 블록 형태로 된 것을 잘라서 돔 모양으로 쌓는 얼음집(이글루)과 같은 형태와 북유럽과 같이 한랭하고 침엽수림이 많은 지역에서는 목재를 사용한 로그하우스 주거도 볼 수 있다. 또한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지붕구배가 중요하면 창이 비교적 작고 벽돌이나 돌 같은 재료와 목재를 병용하고 각 집마다 난로가 설치되어 있는게 특징이다.
■ 결 론
앞에서 보았듯이 기온, 습도, 일조 및 일사, 강수, 바람, 기상학적 요인, 인공구조물, 지표면의 상태 등의 요소들이 건축의 디자인 건물을 짓는 재료나 주거계획요소 등의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건축을 볼 때 자연에 상응하며 환경조절의 수단으로 자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위 과제를 조사하면서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대부분의 주거는 편리성과 순수자연에너지가 아닌 가공한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서 도시환경과 자연환경까지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이번 토속건축에 대한 조사를 끝마치며, 앞으로 건축물을 지을 때 우리나라 자연환경에 맞게끔 설계되어 있는 토속건축을 많이 연구해서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 자연을 파괴 하며 짓는 그런 건축물이 아닌 자연과 상응하며 자연환경을 먼저 이용하고 부족한 부분을 가공기술로 만들어진 환경으로 채워 만들어 간다면 쾌적한 환경을 보다 값 싸게 누릴 수 있고 보다 인간의 삶에 질적 향상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참고문헌/웹사이트
김강수 외(2002), 건축환경학, 문운당
강영환 (2002), 새로 쓴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김유숙 외(2005), 알기쉬운 건축환경, 기문당
주남철 (1999), 한국의 전통민가, 아르케
한스 율겐 한젠 외(1995), 서양목조건축, 발언p.126
http://www.koreanfolk.co.kr(한국민속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4.2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2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