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H 지주막하 출혈 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AH 지주막하 출혈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P

Ⅱ. 본론(문헌고찰) ………………………………………1P
1. SAH ………………………………………………………… 1P
1) 원인과 위험인자 …………………………………………… 1P
2) 병태생리 ………………………………………………………1 P
3) 증상 및 증후……………………………………………………2P
4) 치료 ………………………………………………………… 4P
5) 간호 ……………………………………………………………4P
2. 뇌동맥류 ………………………………………………………5 P
1) 발생기전 ………………………………………………………5 P
2) 발생빈도 ……………………………………………………………6 P
3) 분류 …………………………………………………………………6P
4) 발생호발부위 …………………………………………………………6P
5) 파열의 임상징후………………………………………………………7P
6) 진단 …………………………………………………………………8 P
7) 수술 후 치료……………………………………………………… 10P
3. case study…………………………………………………12~13P

Ⅲ. 결론………………………………………………………… 13P

<참고문헌>……………………………………………………………14P

본문내용

도와야 한다.
(4) IICP 시 증상의 조기 발견
.의식수준변화
.두통호소
.오심, 구토
.동공변화
(5) 배액관 관리
·수술 후 일시적으로 의식장애나 정신 착란 즉상이 출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액라인이 나 배액관이 뽑히지 않도록 억제할 필요가 있다.
(5) 감염관리
.수술 부위위 inflammation여부(종창, 발적, 발열)를 관찰하고 수술부위나 모든 line들은 무 균적으로 관리 한다. 필요 시 항생제 치료한다.
2)수술 후 4일~2주
.뇌혈관 연축이 일어날 수 있는 시기이므로 혈압관리가 가장 중요한 요점이 된다.
·뇌혈관 연축이 발생하면 순환장애를 초래하여 뇌경색이 되며 의식수준 저하, 마비, 부 위에 따라서는 언어 장애도 온다.
·수술 전의 중증도나 CT소견, 수술소견, 수술 후의 경과 등 으로부터 뇌혈관 연축의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조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수혈(Hb 10~12g/dL로 유지), 수액(만니톨),의 혈압 상승제, 항혈전제등의 치료가 실시 되 므로 수분균형을 잘 유지해야 한다.
3)수술 후 1개월경
정상압 수두증이 일어날 수 있는 시기이다.
다리의 움직임이 나빠지거나 실금과 이상한 말을 한다면 의사에게 바로 연락한다.
3. case study
◈ 간호력
1) 일반정보
- 환자명: 조○○
- 성별/나이: male/65세
- 입원날짜: 2007. 05. 19~현재
- 간호수행기간: 2007. 05. 19 ~ 현재
- 진단명: ICH T Rt(r/o rupture of An), SDH FT Rt
- 수술명: crainoectomy, hematoma remove, clipping
- 수술시행날짜: 2007. 05. 19
- 교육정도: 고졸
- 결혼상태: 기혼
- 종교: 불교
2) 병력
- 주증상(CC): Lt side motor weakness
- 현병력(PI): 내원일 오전 5시 50분경 화장실 가다가 Lt side motor weaknss 발생하여 응급실 통해 입원
- 과거병력(PHx): None
◈ 입원후 현재까지의 환자 상태
- 5월 19일 위증상으로 ER 통해 Adm 후 pre & post contrast B-CT check 후 R/O Aneurysm, Rt. MCA bifurcation site. check 되어 응급으로 Clipping & crainoectomy & hematoma remove OP하였으며 6월 8일 NSICU에서 5층으로 전실 올라왔을 당시 mental은 stupor 상태였으며 현재 mental change 없는 상태이다.
V/S은 130/90-78-20-36.8 정도로 check 되고 있으며 OP 당시 T-cannular insert 하여 유지하고 있다. secretion 은 양 많으며 간헐적으로 suction 시행하고 있고 6월4일 Order 에서stool; VRE 4+ , 6월11일 VRE: 4+ check 되어 격리중이다.
반사, 감각기능을 평가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나 눈을 작게 뜨고 강한 자극에 고개를 끄덕이기도 하며 반응하기도 한다.
◈ 간호사정
- CBC
검사
6월16일
6월15일
임상적의의
Hb
8.7g/dl
8.9
빈혈
Hct
25.4%
26.8
혈색소조성
RBC
2.75*10-6/mm
2.77
WBC
9.47*10-3/mm
7.74
감염
Platelet
212*10-3/mm
231
감염,폐렴,알러지
- 약물
현재 NPO 유지중이며 Fluid 로 I/O balance 유지중임.
daily 5DW 1L + MG TNA 1Bt(1920ml) 5월 29일 Fever 있어 IF consult 본 후 start 된
사이톱신 2p#2로 하여 3020정도로 I/O 유지하고 있다.
◈ 간호진단
1. 뇌압상승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 간호중재 후 대상자는 더 이상 의식수준이 저하되지 않고 혈압이 130/80mmHg정도로 유 지된다
- 간호계획
① 정신상태와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②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 뇌압상승의 증상을 사정한다.(두통, 구토, 경련, 의식저하, 유두부종, 동공의 변화등)
④ 수분섭취, 배설량을 측정하고 균형을 유지한다..
⑤ 동맥혈 산소분압 결과를 확인한다.
⑥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혈압하강제, 이뇨제, 진정제)
⑦ 자극을 최소화하여 경련발생을 예방하고 필요시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⑧ 침대머리를 30~45도 유지한다.
2. 무의식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 간호 계획
① 무균법으로 분비물 흡인한다.
② 분비물 배액을 촉진하기 위해 측위, 흉부타진, 물리치료, 체위변경, 무의식 상태에서 구 강인후 분비물은 폐로 흡입될 수 있고, 폐 내에 분비물 축적은 호흡기 감염을 일으킨다 고 설명한다.
③ 산소공급, 또는 유인성 폐활량기, 인공호흡기계, 기관절개술을 실시하고 기관지 확장제 를 투여한다.
3. 뇌압상승, 뇌부종, 편측마비와 관련된 호흡·의식수준의 변화·활동지속성 장애
- 간호 계획
- 관절 운동 : 마비된 팔다리는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관절이 굳고 근육이 위축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마비된 팔다리를 수동적으로 운동시키며 마비가 가벼운 경우에는 환자가 스스로 자주 관절과 근육을 운동시켜 줌으로써 마비된 팔다리의 기능의 회복을 빠르게 할 수 있다
Ⅲ. 결론
- 뇌수술은 환자와, 가족들에게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공포와 두려움을 갖게 된다. 이러한 환자와 가족들에게 수술에 대한 적절한 정보 제공은 불안과 공포를 극복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 또한 변화하는 신경계 수술, 치료법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어 적절한 간호 제공이 이루어 질 수 있어야 하겠다.
◈ 참고문헌
김원곤(2000), 흉부외과학, 고려의학
서울대학교병원 편, 간호진단과 계획
염명희 외(1998), 간호중재 분류, 현문사
이은옥 외(1990),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수문사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 상 2, 현문사
전시자 외(2006),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최영희(1999),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최정신 외(2003), 성인 내 외과 간호학 Ⅲ, 형설 출판사
최정신 외(2004), 성인간호학 호흡기·순환계·혈액계, 정담 출판사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5.02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