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유아교육정책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기 유아교육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현재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현실
1) 일원화 되지 못하는 유아 교육 법규 체제
2) 조기 유아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
2. 외국의 좋은 유아교육 실례
1) 각 나라별 유아교육 제도와 특징
2) 카테고리로 알아본 외국 유아교육
3.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유아교육 법규 제시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Ⅲ. 결론
예로부터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하며 가장 중시하였다. 또한 아는 것이 힘이라고 하였으며 실제로 대학교를 나오지 못하면 인간대접을 받지 못한다고 알려진 것이 사회적인 통념이다. 이처럼 교육이 우리사회에서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예로 대입 수능 때만 되면 절에 사람이 몰리고 수험생보다 더 극성인 부모님의 모습을 신문이나 TV를 통해서 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다. 이렇듯 교육에 대한 열의가 대단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교육은 항상 비난의 포화를 피해가지 못하고 있다. 주먹구구식인 입시 및 교육 행정과 과도한 사교육, 교사의 자질 문제, 학교 폭력, 등 그 무엇 하나 칭찬은 찾아볼 수가 없다. 그래서 계속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지만 항상 그런 문제들은 되풀이 되고 있다. 이런 문제는 우리의 의식구조가 변화되지 않으면 고쳐지기 힘든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교육 행정에 있어서도 그 문제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조기교육에 관한 문제들을 보았다. 어릴 적의 교육은 한 사람의 평생에 있어서 그 기초가 되기에 어떤 면에서는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인성이 형성되기도 하고 언어를 배우게 되며 사회를 인지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그 백년지대계의 기초공사를 하게 되는 과정이다. 그렇기에 그 중요성을 인식한다면 그저 눈앞의 문제에만 급급해 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안목으로 교육정책을 보는 선구안이 필요한 때라고 보여진다. 물론 단기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이 산적해 있지만 그와 병행하여 장기적으로 그 목표를 정하고 그 곳을 향해 한걸음씩 나아가는 행정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결국 우리의 교육에 대한 의식구조의 변화와 사교육이 아닌 공교육을 통한 공평한 교육을 통한 조기교육, 우리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는다면 우리의 교육은 언제고 그 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같은 문제만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우남희, 이종희(1996). 영어교육 조기화의 문제점 분석. 응용언어학, 제 9-10호, 137-152.
우남희, 이종희(1996). 유치원 영어교육의 적합성 진단: 문헌고찰 및 실태 연구. 어린이교육 제 14집, 73-86.
이정민(1994). 국제화개방화 시대와 유아 외국어 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3-82.
이옥로(1982). LAD와 조기 영어 교육. 영어 교육, 23, 13-26.
강영은(1991). 시사 국민학교 영어. 시사영어사.
김덕기(2002). 초등영어교육: 이론과 현실의 재조명. 2002년 언어교육 학술대회 자료집. 27-33,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외국어연구소/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김기철(2002, 1, 17). ‘이슈와 현장’ 강남지역 학원열병. 한국일보.
이지영(2004, 6, 29). "실컷 놀아야 공부도 힘껏 해"교수들, 조기교육 비판사이트 열고...중앙일보.
김성자(1996). 유아기의 조기 영어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돈되는 프랜차이즈] 한국교육개발원 ‘에반무어’
미 초등학교교과서 재구성(2001. 11. 18). 한국경제신문.
김소희(1999). 조기 영어교육의 실태 연구: 유치원 및 사설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관(1998). 효율적인 조기 영어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은아(1996). 유아의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남윤주(1997). 유치원에서의 영어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기숙(2001).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 혁신. 유아교육정책과제 2001-24. 교육인적자원부.
변진영(1998). 유치원에서의 효율적인 조기 영어교육 지도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재석(1991). 국민학교에서의 조기 영어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안기학(1992). 조기 영어교육의 필요성과 조기 교육 실시에 따른 문제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안수응(1992). EFL 환경에서의 영어 조기교육. 영어 교육, 43, 215-244.
양근만(2001, 1, 17). 영어유치원 효용 논란… 학습교화 검증 안돼. 동아일보.
‘어린이 영어학원’ 유망 아이템으로 급부상... ‘주요 프랜차이즈 소개’(2001, 7, 17). 한국경제신문.
영어 조기교육, 초등영어, 또 하나의 과외(1997.2. 21). 한겨레 신문.
우남희(1994). 국제화, 개방화 시대와 유아 외국어 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8-93.
우남희, 이종희(1994). 한국의 조기 영어교육 실태조사.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1-42.
신의진(2002). 조기 교육과 발달병리적 문제.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9-42.
이명조(1995). 유치원에서의 영어 조기 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107-126.
이병민(2002). 우리 나라에서 조기 영어교육이 갖는 효과와 의미, 2002년 언어교육학술대회 자료집. 7-26,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외국어연구소/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임호찬, 진영선(1996). 언어 자극에 대한 반구비대칭성의 발달적 변화-아동기에서 사춘기까지. 발달심리학회 춘계 논문 발표회 자료집. 40-50.
조미옥(1999). 효율적인 조기 영어교육을 위한 학습지도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수민(2002, 9, 15). 유아대상 유명 영어학원 ‘거짓광고’등 불공정 행위. 국민일보.
한영일(2001, 9, 20). [교육] “어린이 영어교육 우리가 최고”, 한국일보.
홍성철(2002, 2, 4). ‘영어열풍의 허와 실’ ①영어 학습 백태. 동아일보.
이종재(2003. 3) ‘한국교육개발원’
박은혜, 김명순, 신동주, 정미라 (2000) 세계의 유아교육제도 제4장, 제6장
나정,장영숙 (2002) OECD국가들의 유아교육과 보호정책 동향 44-52 ,124-134.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5.08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