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의 역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동양의 문헌정보약사
A.중국
B. 한국
C. 일본

2. 서양의 문헌정보학사
A. 고대
B. Greece 시대
C. Rome 시대
D. 중 세
E. 16~17세기
F. 18세기의 서지학
G. 19세기-도서관학의 태동

본문내용

의 도서관학 또는 문헌정보학에 포괄됨으로써 그것이 전문적인 교과목이 되고 있는 것이다.
G. 19세기-도서관학의 태동
1. Ebert
도서관을 관리하는 직원은 우수한 재질과 봉사정신을 갖지 않으면 그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가 없다. 도서관 업무는 독자적인 것이기 때문에 부업이나 일반업무로 해서는 안된다. 도서관을 중시하면 학술문화 활동이 바람 직하게 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직원에 대한 급여를 충분히 보장해야 한다. 그리고 직원의 자질 향상은 결국 전 문적인 rydr을 통해서 이룩할 수 있다는 것이다.
Ebert가 Dresden도서관 재직 중 1820년에 저술한 제2의 논문은 Bildung des Bibliothekars이다. 이것은 그의 선 행논문의 속편으로서 직원의 교육과 연수를 강조한 것이다. 도서관자료는 모든 학문 분야에 걸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취급하는 도서관 직원은 광범위한 지식을 가지고 각국어에 익숙할 필요가 있다. 도한 서지학, 문학사, 고문 서, 서사본 등에 대해서도 풍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직원은 도서관 업무에 필요한 교육을 받 아야하며, 이로써 도서관 독자의 전문직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2. Schrettinger
이 저서를 통해서 도서관학의 개념에 대해서 도서관 활동에 보편 공통하느 원리를 탐구하는 것이라고 논하고, 기술적, 실천적인 면을 파헤쳐서 순수한 최고원리를 수립할 수 있다고 했다. 그리하여 도서관이 유효적절하게 설비되고, 또한 필요한 원리에 입각해서 체계적으로 형성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근본적인 원리를 추구 하고 해명해 감으로써 도서관학이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3. Rullman
Rullman은 1874년에 도서관간의 기구에 공통하는 목적으로 편성된 도서관 정비학 미 독일대학에 있어서의 도서 관에 관한 전문적 연구에 대하여 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논문에서 그는 Schrettinger가 최초에 직원양상의 필요성을 주장했으나, 간단히 그 문제에만 언급하고 있는 것 으로, 이러한 교육은 국가의 주요한 도서관에서 실시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직원양성은 도서관에서 실시하기보다는 독일 각 주의 대학에서 연구하는 동시에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전 문교육을 받은 사람만을 도서관 직원으로 채용하지 않으면 도서관의 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고 논급하고 있다.
1) 강의실 이외에서 연구하는 것
독일어불어Latin어 이외에 Hebrew어Italy어Spain어 등을 연구한다. 스스로 사전을 가지고 공부하며, 도서관의 기술적인 면에서 요망되는 지식을 가지고 그러한 나라의 원전을 읽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2) 강의를 받는 과목
① 일반역사와 그 부속연구
② 과학의 연구, 특히 과학이 체계적으로 표현된 백과사전연구
③ 학술적으로 기술된 문헌생산의 역사와 출판에 관한 연구
④ 서사본지식
⑤ 인쇄기술사
⑥ 도서거래의 역사
⑦ 미술의 약사
⑧ 도서관사
⑨ 세계의 저명한 도서관에 관한 가장 관심 있는 과목
⑩ 도서관의 경영
⑪ 목록작업과 분류작업
⑫ 문서관의 경영
4. Rullamn당시의 도서관계
Rullman이 제창한 교과과정은 본격적인 도서관학의 연구와 양성을 시도하는 계획이었으나, 이 당시 도서관직원의 양성을 전연 실시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New York 공공도서관의 도서관학교의 교장이었던 Mary W. Plummer에 의하면 독일에 있어서는 1861년 이전부터 도서관 직원은 서지에 대한 정규의 훈련을 받지 않으면 취임될 수 없게 되었다.
Rullman의 구상은 당시에 경이적인 것으로 도서관직원 육성을 위한 교육의 지침으로서 전 Europe에 알려졌으며, 우선 미국에서도 직원양성교육을 계획하는데 중대한 자료가 되었던 것이다. 우선 미국 연방정부교육국은 일찍이 1876년, 이 논문의 전문을 번역하여 각 방면에 배포하였다.
또한 Dewey의 업적 중에 가장 큰 업적은 저 유명한 듀이십진분류법의 창안이다. 그는 Amherst대학도서관의 보조 사서로 근무하던 3학년 재학시절 십진분류법을 창안하고, 이 대학 이사회에 재가를 받아서 이것을 이 대학도서관 에서 사용하게 하는 판현 1876년에 이를 출판하였다.
이어서 영국 도서관계의 거두인 Henry Richard Tedder가 1882년에 전문직으로서의 도서관직을 제창하였다. 그러 나 Tedder의 주장은 도서관직원의 독립성과 연수의 의무제를 강조한 것으로 교과과정 문제를 논한 것은 아니었 다.
후에 미국에서는 Brown대학도서관의 사서였던 Challes C. Jeweet는 1843년 이 대학 도서관의 목록을 위해서 탁월 한 알파벳순 주제색인을 편찬했고, 1848년에 Smithsonian Institution의 관장이 된 이후 Smithsonian
Institution을 미국의 국립도서관으로 할 것을 제안하는 동시에 이 도서관을 중심으로 미국내의 각 도서관에서 한 책에 대해서 한번만 목록을 작성하는 중앙집중식 목록작성법의 계획을 수립하고, 1853년에는 편목규칙을 편찬 하여 간행하였다.
5. France의 고전학교
France의 고전학교는 도서관학 형성에 있어서 하나의 요소로서 간과할수 없다.
그 교육년한은 3년으로서 ① 역사 ② 역사적 방법과 고문서학 ③ France철학 ④ 서지 ⑤ 외교문서 ⑥ 민간과 경 전 ⑦ 서사본 목판본의 총괄적 해설 등을 가르치는 것이었다. 이것은 도서관직원을 양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고문서 학자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다.
1932년에는 검정제도가 개혁되어 이때부터는 ① 기술과 도서의 역사 ② 목록법 ③ 서지 ④ 도서관관리 등의 과목 을 가르쳤다. 이 학교는 자료처리 기술에 있어서 일찍이 그 탁월성이 전 Europs에 알려지고 분류, 목록, 서지작 성, 자료의 보관 등 고전의 처리기술의 연구에 있어서 전 Europs의 본영이었다. 학교는 도서관 직원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었으나 자료의 처리기술, 도서관학의 실천부문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었기 때문 에 세계의 자료처리센터의 역할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 고전학교가 자료처리기술의 보급과 향상에 세계적으로 공헌한 사실은 문헌정보학사상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