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능력 중시의 접근법에 있어서의 말하기 지도와 그 문제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시의 접근법에 있어서의 말하기 지도와 그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M. Celce-Murcia의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2.1.A. Lazaraton의‘Teaching Oral Skills’의 개요
2.2.J. Goodwin의‘Teaching Pronunciation’의 개요

3. 고찰
3.1. FL(Foreign Language)환경 하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 중시의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3.2. 말하기 지도에 있어서의 minimal pair의 제시의 적절성
3.3. 학습자의 self-monitoring 활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의 도입
3.4. 말하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듣기 능력 향상의 필요성
3.5. 학습자의 인지 프로세스를 고려한 말하기 지도의 필요성

4.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말하기는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면서 L2 (second language, 제이언어) 학습자에게 있어서는 reading, speaking, listening, writing의 4기능 중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이기도 하다. 그 이유로는, 분절음, 초분절음적인 요소의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다는 점과, 1인 이상의 화자와 interaction이 필요하고, interaction을 하는 중에 많은 인지적인 처리가 순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말하기는 많은 하위 시스템의 통합이 요구되는 활동이며, 학습자에게 있어서는 대단히 부담이 되는 활동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M. Celce-Murcia의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에 소개된 말하기에 관련된 내용 중에서, 유창성의 관점에서 쓰여진 A. Lazaraton의‘Teaching Oral Skills’과 정확성의 관점에서 쓰여진 J. Goodwin의‘Teaching Pronunciation’에 대하여, 그 개략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문제점에 대하여 고찰하겠다.
2.M. Celce-Murcia의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2.1.A. Lazaraton의‘Teaching Oral Skills’의 개요
1971년에 발표된 Hymes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등장은,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중시하는 접근법과 학습자가 산출한 문장의 구조와 내용을 중시하는 접근법 등, 말하기에 대한 접근법을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시하는 접근법으로 전환시킨 큰 계기가 되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6112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