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동아시아 경제모델과 기술협력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동아시아 경제모델의 특성

II. 아시아 금융위기의 충격

III. 경제개혁과 구조조정

IV. 동아시아 경제에서 중국과 일본

V. 동아시아 미래: 침몰에서 재기로

VI. 한국 및 동아시아 주요국가 기술협력

본문내용

) 인간자본의 양성
2) 지식스톡의 확산
3) 금융의 효율적 중개기능
2. Anglo-saxon 시스템으로 금융시스템, 선진지식을 Gerschenkron의 '후발주자 이 점'가설에 입각하여 학습
·미국의 금융고속도로 개념과 정보고속도로 개념을 구현
3. 동아시아 선발신흥공업국의 고속성장 모델의 장·단점을 상호학습 (Mutual Learning)하고 Benchmarking
4. 위의 1, 2, 3의 조건을 시현하면 동아시아는 21세기에도 세계적 성장거점으로
등장
5. 동북아는 세계최대 인구밀집지역, 세계 최고속 도시화지역, 세계최대 식량과
에너지 소비지역, 세계최대 공해발생지역
6. 동북아의 공생체계는 군국주의와 대국주의를 뛰어넘는 '善'진국의 가치체계
창출이 필요
7. 동아시아의 장구한 문화형질인
1) '學而時習之 不亦悅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는 아시아적 가치의 여타 역기능을 모두 압도할 수 있음
2) 학습숭상의 문화형질을 적극활용
VI. 韓國 및 東아시아 주요국가 기술협력
1) 韓ㆍ日 協力
① EU와 NAFTA의 경제블럭화와 中國의 경제대국화에 대비해야
하는 기조팽배
② 韓ㆍ日 關係의 "友好化" (예: 文化開放)
③ 部品ㆍ素材産業技術이전
④ 韓國의 venture 열기와 日本의 여유자금 접목
(예: 우편저금 200兆엔 만기도래)
⑤ 東北亞 自由貿易地帶 구상
⑥ 東北亞 환경협력 체제 구축
⑦ 대학입시제도의 변화로 중고생들의 수학실력저하에 대한 일본의 대응
2) 韓ㆍ中 協力
① 中國의 "科敎興國" 과 Knowledge Innovation Program
② 中國의 과학기술 개발 성과
<표 3> 중국의 과학기술개발성과 (1995∼98)
1995
1996
1997
1998
특허출원수
83,045
102,735
114,208
121,989
논문수*
26,395
27,569
35,311
35,003
첨단기술상품 수출액
(억달러)
100.9
126.7
163.1
202.5
첨단기술상품수출액/공산품 수출
(%)
7.9
9.8
10.3
12.4
* : SCI, ISTP, EI에 게재된 논문수
③ 내륙지방개발에 산업기술협력
④ 韓ㆍ中ㆍ日 환경기술협력
⑤ Trans China Railway 구축
3) 臺灣 新竹科學園區 (Shinchu Science Park)에 대한 벤치마킹
① Venture 기업과 大學연계
② 美國 Top Engineering College에 대만출신 Ph. D. Candidates 세계 3위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17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