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평화에 대한 기억의 차이와 역사교육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청·일, 러·일전쟁과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3.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세계 질서의 재편
4. 원폭·전후보상과 평화
5. 맺음말

본문내용

제가 해결되면 이 문제 또한 해결되는가라는 질문에 적절히 대답할 수 없다. 일본군 '성노예' 문제는 독립된 편집체제 아래 여성문제라는 각도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일본군 '성노예' 문제는 피폭자문제, 징용자문제, 징병자문제 등등과 관련지어 전반적인 전후보상문제로까지 확대시켜 함께 언급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들 문제는 일제의 강제동원정책과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결과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한편, 남한의 교과서보다 더 심각한 것은 북한의 교과서다. 북한은 원폭투하 자체를 언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서술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조선인민혁명군은 1945년 8월 9일 총공격으로 넘어가 적들을 무리로 쓸어눕히면서 승리적인 작전을 개시하였다. …
조선인민혁명군의 승리적인 진격과 때를 같이하여 8월 9일 일제에게 선전포고를 한 쏘련 군대는 바이깔호지역으로부터 태평양에 이르는 전전선에 걸쳐 총공격을 개시하였다.
쏘련 군대의 공격개시와 함께 중국홍군이 총공격으로 넘어갔다.
이리하여 100만의 관동군과 중국 관내에 침입하였던 수십만의 일제 침략군이 완전히 소멸되었다.
일제는 1945년 8월 15일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고 9월 2일 항복서에 조인하였다. …
『고등중학교 세계력사』 6, 39쪽.
요컨대 북한의 역사교과서는 소련의 참전만을 언급하고 종전의 또 다른 계기였던 원폭투하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고 있지 않다. 이는 '미제국주의'에 대한 '적개심'을 심어주는 역사교육의 목적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3) 중국, 대만
중국의 교과서는 8월 15일 직전의 상황을 한 쪽 이상의 분량을 할애하면서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북한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서술의 태도에서는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평화교육의 필요나 핵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서가 아니고, 일본이 항복하는 직접적인 원인의 하나로 언급하기 위해서 이다.
人民敎育出版社歷史室 編著, 『高級中學課本 中國近現代史』 下, 人民敎育出版社, 52쪽 ; 人民敎育出版社歷史室 編著, 『全日制普通高級中學敎科書(試驗修訂本·選修 世界近現代史』 下, 人民敎育出版社, 59쪽.
대만의 교과서에는 원폭투하 사실 자체를 언급하지 않고 그냥 "45년 8월 일본이 무조건 투항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國立編譯館 主編, 『認識臺灣(歷史篇)』, 國立編譯館, 87쪽.
중국과 대만도 역시 남북한처럼 원폭과 평화를 연관시키는 역사교육을 시야에 넣고 있지 못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원폭은 일본 평화운동의 출발이자 세계평화운동의 출발이다. 일본의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한 교육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남북한과 중국, 대만은 원폭과 평화교육의 연관성을 찾고 있지 못하다. 이는 동아시아의 평화정착을 위해 시급히 시정되어야 할 역사교육이다. 한국을 중심으로 원폭의 희생자도 관련된 전후보상운동이 일어나고 있으나, 個人의 請求權이 인정되지 못하고 있다. 戰後가 아직 끝난 것이 아니며, 식민지 잔재가 제대로 청산되지 않은 것이다. 이에 대해 일본의 일부 역사교과서는 특별히 주목하고 있는데 반해, 4개국의 역사교과서에서는 주목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戰後를 끝내고 공존을 향한 미래지향적인 역사교육에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다.
5. 맺음말
이상에서 동아시아 5개국 역사교과서에서 표현된 기억의 차이를 전쟁과 평화라는 주제로 정리해 보았다.
동아시아 5개국은 서로의 고통스런 역사적 경험, 그렇지만 상반된 역사인식을 해결하기 위해 함께 모색한 경험을 거의 축적하고 있지 않다. 한일간에는 일부 연구자와 역사교사를 중심으로 교과서에 나타난 역사인식문제를 놓고 이제 겨우 10여 년간 교류해 왔을 뿐이다. 5개국은 기억의 차이를 줄이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대신에 기억을 둘러싼 갈등이 표출되면 對決的인 姿勢만을 취해 왔다. 세계화 시대에 타자와의 관계가 더욱 밀접해 지면서 공존을 모색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인정한다면 이제는 보다 성숙한 자기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가해국인 일본은 기억갈등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 핵심은 昭和天皇의 戰爭責任을 인정하는 문제이다. 그리고 그에 입각하여 전후보상을 철저히 하는 것이다. 가해국 일본이 戰後責任을 철저히 이행하는 지름길은 바로 이것이다. 한국은 1965년에 체결된 한일협정을 다시 체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오늘날 한일관계가 꼬이는 근본적인 근거는 여기에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被害者로서의 戰後責任을 다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친일잔재를 청산하는 노력, 昭和天皇의 戰爭責任·支配責任을 교과서에 명확히 기술하는 것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기억갈등을 없앨 수 있는 이와 같은 정치적인 바탕을 조성하려는 노력과 함께 기억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學問的이고 歷史敎育的인 努力도 병행되어야 한다. 즉 이전부터 지속되어 오던 교류는 더욱 확대시켜야 한다. 정치성이 배제된 한일역사공동연구기구를 활성화시키는 일도 그 일환이다. 그렇지만 교과서문제의 특징과 이를 둘러싼 일본 사회의 특성을 고려할 때 민간차원의 교류를 중심으로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대립을 해소하는 접근방법이 더 지혜로운 대처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동아시아 공통의 대안교과서나 부교재를 발간하는 작업도 의미있는 접근방법의 하나일 것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역사교육의 궁극적 목적이 국민국가의 국민을 양성하는 敎化敎育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장벽을 넘어 인류가 공존할 수 있는 眞理敎育에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 그러한 역사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여러 학습교재 가운데 하나로, 교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료의 하나로, 교과서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즉 동아시아 5개국 간의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갈등의 밑바탕에는 絶對的 敎科書觀 내지는 聖典的 敎科書觀이 자리잡고 있다. 우리가 여기에서 자유롭지 못하면 서로에 대해 또 다시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게 될 것이다. 기억을 둘러싼 갈등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경주하는 과정은 동아시아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과정이라는 未來的 視野 또한 가질 필요가 있다.

키워드

  • 가격1,9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0.05.17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