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델파이(주) & 제일모직의 경영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Ⅰ.전통산업
* 한국델파이(주)
1. 기업소개
2. 경영이념
3. 사업영역
4. 경영혁신
5. 회사연혁
6. 경영방침
7. 재무정보
8. 국제화 전략
Ⅱ. 첨단산업 * 제일모직
1. 기업소개
2. 경영이념
3. 사업계획
4. e-비지니스 전략
5. R & D
6. 브랜드가치, 디지털경영, 글로벌전략
7. 프로젝트

<결 론>

본문내용

“갤럭시”를 중심으로 한 New BI 체계를 도입,Logo,Package, 등 브랜드 전반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변경 작업을 추진하는 한편, 전국 230여개의 매장을 대상으로 새로운 BI 작업을 추진 중이다.
이는 오랜기간동안 축적되어온 두 Family Brand의 누적자산가치를 포기해서라도 국제화를 향한 브랜드 최우선 경영을 펼치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다.
▣디지털 경영(인터넷 BIZ 패션마켓 선점전략)
-국내최대 패션정보 사이트 운영
제일모직은 디자인 전문성을 키우고, 패션산업 인프라의 디지털화만이 글로벌 경쟁시대에서 패션회사가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판단하에, 삼성패션연구소를 통해 94년부터 시스템개발 및 정보 DB 축적에 착수하여 96년 5월 국내에선 처음으로 최대의 패션정보를 보유한 삼성디자인넷(www.sfi.co.kr)을 출범시켰다.
국내 최대규모의 패션D/B 구축하기 위해 초기투자비만 37억이 투입된 삼성디자인넷은 소재, 칼라, 트렌드 등 국내외 패션정보를 정리,축적하여 패션산업계에 제공함으로써 국가적인 디자인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있다.
▣글로벌화(美,中 시장 성공적진출 및 브랜드 국제화)
-미국진출에 성공한 최초의 브랜드
소속골퍼인 박세리선수를 통한 스타마케팅을 통해 99년 의류업계 최초로 미국시장에 진출한 아시아는 불과 2년만에 美 유력 골프전문지 GSO지에 2000년에 주목할 5대브랜드로 선정되는등 현지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고, 또한 박세리를 필두로 스웨덴의 유명 여자 프로골퍼인 리셀롯 노이만, 시니어 선수인 휴버트그린등과 전속계약을 맺고 스포츠마케팅을 강화하고 있으며,미국시장 성공을 기반으로, 캐나다, 호주, 홍콩(중국)등 6개국에서 수출계약건이 진행중이다.
아스트라는 향후 일본 등 아시아 지역을 적극 공략하여 세계적인 브랜드로 육성할 계획이다. (해외매출계획 : 2000년중 850만불 2002년 2500만불)
-중국等 국제화 프로젝트 정상화 및 흑자시현
제일모직은 지난 95년, 중국 천진에 연간 28만착 생산규모를 가진 신사복 공장을 설립하여 중국 및 아시아 시장 공략,교두보를 확보한 바 있는데, 국내 NO.1 브랜드 파워를 지닌 갤럭시는 현지법인(천진 직물공장 및 신사복 공장)의 생산기지를 활용하여 고급 남성복 시장 선점전략을 추진 중이다.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중국수요자의 시장 특성에 힘입어 판매거점을 상해,항주,장춘,심양,대련 지역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2000년에는 40여개의 유통망으로 확충하여, 올해 매출 63억(전년비 230% 신장)을 달성할 계획이다.
한편 스포츠 전문 브랜드 라피도는 이미 중국 유명백화점에 입점해 있는 상황인데, 일반 시장으로 영업을 확대하여, 2002년 월드컵을 기반으로 중국내 최고의 스포츠 전문브랜드로 입지 구축할 예정이다.
올해는 20여개의 유통망을 확보하여,신발 및 여성의류 수출을 확대할 예정인데, 중국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세일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7. 프로젝트
올 초 국내 지사를 설립하면서 영업을 개시한 아덱사는 국내 최초 프로젝트로 제일모직의 SCM프로젝트를 지난 7월부터 추진하고 있다. 프로젝트 기간은 내년 5월까지이며 생산, 판매, 구매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상에서 제공한다. 이로써 재고상황과 정확한 납기일 제공을 통해 비용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일모직의 프로젝트는 기존의 SCM과 달리 공급업체들간의 단순한 정보교류를 넘어서 회사자체의 의사결정 시스템과 고객정보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망을 구축한다는 데 있다.
SCM구축현황 경우 제일모직은 QR을 통해 SCM을 구축, 전국 120개 매장에서 얻을 수 있는 판매시점 데이터를 통해 제품기획 및 판매시점 근접 생산을 통해 재고를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생산관리 시점을 세분화함으로써 수요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었다.
< 결론 >
위와 같이 우리조는 한국 델파이와 제일모직의 국제화 전략을 비교해 보았다. 한국델파이의 해외 프로젝트 활동은 중국, 동남아 및 기타 자동차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지역의 자동차 부품회사에 TAA (Technical Assistance Agreement)를 통한 현지 국산화를 지원하고 있다. 1992년 이래 당사의 설계, 생산공정분야의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 차례의 PROJECT를 성사시켜, 풍부한 경험과 Know-how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GMDAT의 Global 생산정책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해외PROJECT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향후 델파이는 외국계 자동차 부품회사로는 최초로 국내에 기술연구소를 2개소 가지면서 국내에서의 자동차회사에 대한 부품 공급은 물론 자동차 정비 부문까지 진출할 계획이어서 델파이와 국내 대형 부품업체간 시장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델파이는 한국에 이어 내년에는 중국에도 기술연구소를 설립해 아시아 시장을 집중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그리고 제일모직의 프로젝트는 기존의 SCM과 달리 공급업체들간의 단순한 정보교류를 넘어서 회사자체의 의사결정 시스템과 고객정보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망을 구축한다는 데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품기획 및 판매시점 근접 생산을 통해 재고를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생산관리 시점을 세분화함으로써 수요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었다.
이처럼 두 기업은 대구의 전통산업과 첨단산업의 예로써, 각자의 분야에서 그에 맞는 전략과 새로운 기법을 개발해 나가며 세계화 흐름에 앞장서고 있다. 앞으로도 더욱 발전하는 대구의 대표 기업들로 이어져가길 바란다.
= 참 고 자 료 =
◎ 국제경영전략 / 이장호 지음 / 박영사
◎ 한국기업의 국제경영전략 사례 / 김병순 지음 / 서울경제경영
◎ 글로벌 시대의 국제경영 / 김희철 지음 / 학문사
◎ http://www.kdacauto.co.kr/ 한국델파이 홈페이지
◎ http://www.naver.com (네이버)
◎ http://www.cii.samsung.co.kr (제일모직 홈페이지)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5.23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7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