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청시대의 신사층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청시대의 신사층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신사(紳士)층의 등장과 그 정의

1. 신사(紳士)란 무엇인가
2. 신사(紳士)층의 형성

(1) 학위소지자의 등장과 고정화
(2) 신사층의 성립

Ⅲ. 신사(紳士)의 성장과 변화

1. 신사의 시대적 변천
(1) 명초
(2) 명 중기 이후
(3) 명말 청초

2. 두 계층의 신사집단
(1) 신사집단의 분류
(2) 하층신사의 구성과 진입
(3) 상층신사의 구성과 진입

Ⅳ. 신사의 성격과 역할

1. 신사의 성격
(1) 송의 사대부와 비교하여
(2) 신사의 특권

2. 신사의 역할
(1) 정치적 역할
(2) 문화적 역할
(3) 사회ㆍ경제적 역할

Ⅴ. 결론

본문내용

유지되지 못한 것은 지역 신사들의 책임이라고 비판하면서, 제방 재건작업을 추진할 책임이 지역 신사집단에 있다고 했다.
그리고 신사는 공자묘ㆍ사당의 보수를 담당했고, 지방에서 실시되는 과거 시험장인 공원(貢院)의 건설하고 보수하는 일도 담당했다.
복지증진과 공공시설 재건, 건축 사업과 같은 사회적 역할을 담당한 신사계층은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취하기 위해서 특권을 이용하여 대토지를 집적하기도 하였으며 개인의 영향력 혹은 관(官)과 연결하여 수리용익(水利用益)을 장악하였다. 또한 도로, 교량 등을 사점하거나 시장을 개설하고 아행(牙行)에 간여하여 고리대를 경영하고 객상에게 자본을 공급하며 염밀매(鹽密賣)나 해상밀무역에 참여하고 수공업 경영에 간여하는 등 시장이나 상품유통 구조를 지배하여 경제생활에도 깊숙이 침투하여 청 말기에는 신상(紳商)이라는 용어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이처럼 신사들은 중앙정부가 지방에 미치지 못하는 여러 영역에서 힘을 발휘하고 있었고 그 영향력은 막강하였다. 따라서 지방관이 담당하지 못하는 일 또한 신사의 역할이었다. 그리고 모든 신사들이 향촌사회에 참여하고 여러 역할을 담당하지는 않았으나 대부분은 여러 역할들을 자발적인 공의식(共意識)에 의해서 혹은 사리를 추구하려는 개인적인 목적에 의해서 수행하였다. 신사들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주목을 끌게 된 것은 명 중기 이후 이갑제가 해체되어 가던 바로 그 시기였으며 그들은 지배계층으로서 황제지배체제의 기반이 되어 체제를 유지시켜주고 작동하게 한 윤활유적 역할을 한 계층이었다.
신사들의 역할을 정치, 문화, 사회, 경제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특히, 청대에 신사들이 담당했던 역할을 전 시기, 전 지역 별로 정리해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張仲禮 著, 앞의 책, 288쪽
구분
신사의 유형
상층
하층
합계

%

%

%
자선 민간조직을 위한 모금
238
8
133
6
371
7
중재(분쟁조정)
96
3
99
5
195
4
향촌방위업무
조직
680
20
303
13
983
18
통솔
176
5
670
30
846
15
공공사업의 경비모금과 감독*
280
9
216
10
496
9
유교적 관습의 유지**
470
15
248
11
716
13
대변인(관리와 민간인간의 매개)
172
5
59
3
231
4
행정경비(특히 군비)모금
118
4
64
3
182
3
구호사업
521
16
525
24
1,046
20
비활동신사
1,364
41
402
19
1,766
32
합계
4,115
126
2,717
124
6,832
125
*운하ㆍ제방ㆍ교량ㆍ도로ㆍ관개설비ㆍ도시성벽ㆍ나룻터(배) 등을 포함
**학교ㆍ사당 등의 건립과 보수, 도서간행, 교화 등을 포함
Ⅴ. 결론
신사는 국가의 제도적 장치를 매개로 하여 역사에 등장해서 명초부터 사회에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있었으나, 사회적 계층으로 형성된 것은 15세기 중엽부터였다. 신사층을 분석해 보면, 신층(紳層:관직경력자)은 전대 이래의 사회의 지배층으로서 그들 사이에는 강한 동류의식이 존재하였고, 각 향촌에서는 그들을 중심으로 ‘향신공의(鄕紳公議)’가 존재하고 있었다. 한편 사층(士層:未入仕 학위소지자)은 현실적으로는 신층과도, 평민과도 구분되는 ‘중간층’이었다. 사층은 가끔 신층과 갈등을 일으키기도 하였는데, 그것은 그들이 신층의 존재를 부정하기 때문이 아니고, 그 당시 상호간에 이해의 상충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해관계의 여하에 따라서는 신층 내부에서도, 그리고 사층 내부에서도 공히 분쟁과 갈등은 있었다. 또 반대로 신과 사가 동류의식을 가지고 공동 행동을 펼칠 때도 있었다. 국가권력층이나 평민은 이들을 ‘신사(紳士)’로 일괄하여 칭하였다.
명청시대에 걸쳐서 중국은 사회경제적으로 규모가 방대하고 다양해졌다. 지방행정이나 향촌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치행정에 대한 보조수단이 필요하였다. 명나라와 청나라는 그러한 보조수단으로 신사층을 택하였다. 한편, 평민의 입장에서도 국가권력의 지방통치에서 생기는 공백 부분을 신사의 사회적 지배력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명 중기로부터 청말까지의 중국의 사회질서는 거시적으로 보면, 국가권력층과 평민의 공통의 기대하에 신사가 사대부적인 공의식(公議識)에 의해서 국가권력의 보좌역의 역할을 연출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신사는 그러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위로는 각 정부와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는 동시에, 향촌사회에 대해서는 사대부로서의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켜 지배력을 유지확대시키고, 사적으로는 개인의 이익도 보호할 뿐 아니라, 그들의 사리(私利) 추구 행동도 어느 정도 합리화 내지 상쇄시킬 수 있었다.
신사는 사적으로는 개인의 사리를 추구하는 행동도 많았다. 그러나 공적으로 보면, 향촌에 대해서는 국가통치의 보좌역으로서, 국가권력에 대해서는 향촌여론의 대변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국가권력과 향촌이해의 조정자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신사는 사회에 대하여 순기능과 역기능, 공의식의 발로와 사리추구의 양면성을 내포한 명청시대의 사회지배층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吳, 『주원장전』, 북경, 1949.
Ho, Ping-ti, 『명청 사회사론』, New York, 1962.
吳金成, 「일본에 있어서 중국 명청시대 신사층연구에 대하여」『동아문화』15, 1978.
夫馬進, 「明末反地方官士變」『東方學報』52, 1980.
吳金成, 「중국의 과거제와 그 정치사회적 기능-송명청시대의 사회의 계층이동을 중심으로-」『과거』, 일조각, 1981.
吳金成, 「명대 신사층의 사회이동에 대하여」 『성곡논집』 13, 1982.
吳金成, 『중국근세사회경제사연구-명대 신사층의 형성과 사회경제적 역할-』, 일조각, 1986.
吳金成, 「명청시대의 국가권력과 신사」『강좌 중국사』Ⅳ, 서울대학교 동양사학연구실 編, 1989.
申採湜,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임계순 著, 『淸史-만주족이 통치한 중국』, 신서원, 2004.
오금성, 「명대의 신사 우면을 중심으로」, 명청사학회, 2005.
申聖坤,「唐宋變革期論」,『講座 中國史』Ⅳ, 지식산업사, 1989.
張仲禮 著, 金漢植ㆍ鄭誠一ㆍ金鐘健 共譯, 『中國의 紳士』, 신서원, 1993.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5.2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5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