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친화산업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령친화산업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령친화산업의 정의
2. 고령친화산업 부문별 현황 및 전망
3. 고령친화 기기산업 부문
4. 고령친화 정보산업부문
5. 고령친화 여가산업부문
6. 고령친화 금융산업부문
7. 고령친화 주택산업부문
8. 고령친화 한방산업부문
9. 고령친화 농업부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용 한방화장품은 2010년 2,000억원, 2020년 5,340억원으로 연평균 성장률이 17.3%, 노인성 질환 한약 제제 개발은 2010년 2,668억원, 2020년 7,124억원으로 연평균 성장률이12.5%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9. 고령친화 농업부문
1) 선정 배경
고령친화농업이란 농업 부문에 있어서의 고령친화적인 신산업을 지칭한다. 즉, 민간이 주체가 되어 농업 부문에서 현재 및 미래의 노인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신생 산업을 말하며 노인을 소비자로 상정하고 이들이 필요로 하고 요구하는 농산품을 생산·가공유통하는 것과 노인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고령친화 농산품을 생산·가공·유통하는 것을 포함한다. 고령친화농업에는 원예치료농업, 특수 동식물 사육, 관광농업, 은퇴농장, 전원형 고령친화 농업 테마타운, 고령친화 귀농교육, 도시형 고령친화 농업 테마타운 등이 있다. 농림부, 보건복지부, 농촌진흥청, 지방자치단체의 담당자, 농업인단체, 대학, 연구기관의 관련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E-mail, 전화, 회의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 국제경쟁력, 시장매력도, 공익성, 통합성을 고려하여 전략 품목 선정하였다.
2) 선정 품목
전원형 고령친화 농업 테마타운은 청정지역에서 친환경 영농을 기본으로 하여 이에 맞는 작목을 선정하며, 테마타운 가구수는 약 100호 내외로 개별 호당 면적은 300평 내외로 하여 가옥과 재배 시설 등을 배치하도록 하고자 한다. 고령친화 귀농교육은 도시에 거주하는 직장은퇴자 또는 은퇴 예정자를 대상으로 귀농 교육을 실시하고 현재 및 미래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맞춰 실버 계층을 위한 특별 귀농교육 프로그램을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은퇴농장은 직장에서 정년 퇴직을 했거나 자영업에서 은퇴한 노인으로서 농촌에서 농장을 경영하고자 하는 사람들끼리 함께 살며 가꾸는공동의 농장을 개발·운영하는 형태이다.
3) 현황과 전망
전원형 고령친화 농업 테마타운의 시장규모는 2010년에는 467억원, 2020년에는 747억원으로 성장이 전망되며, 고령친화 귀농교육의 시장규모는 2010년에는 176억원, 2020년에는 817억원으로 성장이 예상된다. 은퇴농장의 시장규모는 2002년 30억원이었으나 2010년에는 237억원, 2020년에는 379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문헌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방안’(보건복지부,2005)
고령화미래사회위원회, 고령친화산업 활성화전략(’05. 1)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6.02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4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