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조직배양의 육종적 이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조직배양의 육종적 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유전변이를 일으키지 않고 이용하는 방법
1. 대량증식
2. 인공종자
3. virus free화
4. 각종 물질의 생산(유용물질 생산)
5. 세포의 동결 보존

유전변이의 적극적 이용
1. somaclonal 변이와 세포의 선발(체세포 영양계 변이)
2. 약배양(화분배양)
3. 종간 교배에 의한 조직배양의 이용
4. 세포융합
5. 유전자 도입과 형질전환의 식물

본문내용

자의 도입을 고려하여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일부의 유용유전자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 세포융합을 이용하는 것이다. 방사선을 한쪽의 핵이나 세포질에 조사하여 융합하는 방법, 또는 여교잡으로 한쪽 종의 세포를 몇 번이고 융합시켜 가는 방법이 있다. 그래서 대부분 한쪽 종의 특성을 가지게 하면서 또 다른 한쪽 종의 1~2개의 유전자만을 도입하거나 또는 세포질과 핵을 서로 바꾸거나 하는 육종법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육성을 비대칭세포융합이라고 부른다.
5. 유전자 도입과 형질전환의 식물
식물체에 유전자를 도입하는 것으로는 agrobacterium을 이용하는 방법, electroportion법, microinjection법, 파티클간법, 폴리에칠렌 글리콜법 등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agrobacterium을 이용하는 방법을 소개하자면 agrobacterium이 식물에 감염되어 플라스미드의 T-DNA라고 하는 영역을 숙주 식물체의 염색체 DNA에 넣는 것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T-DNA중에 목적 유전자를 넣어 식물에 감염시킨 후에 항생물질을 사용하며 agrobacterium을 제거하면 숙주 식물체의 핵 중에 목적 DNA를 넣은 식물을 얻는다. agrobacterium 중에서는 crown gall을 만드는 agrobacterium tmefaciens가 이용되는바 이 플라스미드를 Ti 플라스미드라고 한다.
참고문헌
정원복 외, 『육종학』,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4
안장순 외, 『작물육종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0
정원복, 『개정판 식물유전육종학』,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0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6.09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81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