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A+] 한국의 현대미술에서의 여성주의 미술,페미니즘미술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학A+] 한국의 현대미술에서의 여성주의 미술,페미니즘미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의 현대 미술 안에서의
여성주의 미술에 관하여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 페미니즘의 소사

Ⅲ. 한국의 여성주의 미술
1. 태동
2. 전개과정

Ⅳ. 맺음 말

본문내용

퍼포먼스를 통한 페미니즘의 구현이 시도되었는데 대표적인 작가는 이불이다. 이불은 나체의 몸으로 거꾸로 매달린 채 견딜 수 있을 때까지 견딤으로써 낙태의 고통을 대신했던 <낙태>라는 퍼포먼스에서 보여지듯, 행위예술의 충격요법을 여성주의 목적을 위해 활용하는 작업을 한다.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 경향 외에도 1971년 발족한 ‘표현그룹’은 모더니즘 전통 속에서 전통적인 양식으로 여성주의 작업을 진행하는 작가들이며 이들은 현재까지도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윤석남
이불 (미니 사이보그)
이불
(수난유감-내가 이 세상에 산책 나온
강아지 새낀 줄 아나?)
: 1990. 김포공항, 나리타 공항, 도쿄 시 내에서 12일간의 퍼포먼스
Ⅳ. 맺음 말
사회, 문화 전반을 아우르며 연구하는 페미니즘. 그 흐름 속에 미술에서의 페미니즘 운동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미술에서의 페미니즘은 1960년대 말부터 일어난 정치 사회적 여성운동의 영향과 내부적으로는 미국의 미술 사학자 린다 노클린의 “위대한 여성미술가는 왜 존재하지 않는 가”에 관한 논고와 함께 본격화 되었다. 그렇다면, 한국의 현대 미술 안에서는 어떤 움직임들이 있었을까?
한국의 현대 미술의 초대 여류화가들이나 모더니즘 여성작가들의 경우에 의식은 페미니스트로서 깨어있던 반면, 막상 작업에 있어서는 남성 중심적인 주류에 편승하며 나갔던 오직 생물학적으로 여성인 작가가 그리는 작업이라는 의미인 여성미술의 전개과정을 먼저 살펴보았다.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민중미술과 포스트모던의 영향으로 1987년 <여성과 현실>전을 통해 본격적으로 페미니즘의 목소리를 내는 여성주의 미술의 태동과 그 전개과정, 그리고 회화뿐만 아니라 설치, 퍼포먼스 등 여러 모양으로 발전해온 모습들을 알아보았다.
우리나라의 미술 안의 페미니즘에 관한 의문으로 시작된 이번 연구를 통해 약 20년 정도의 짧은 역사이지만 현대 미술사의 물결 속에 당당히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면모를 살필 수 있었다. 앞으로도 여성의 목소리를 내며 미술 안의 뒷전으로 물러가 있던 반쪽을 되찾아 더욱 온전하게 하나의 세계를 이루어나가는 활발한 움직임들을 기대해본다.
참 고 문 헌
김홍규. 『여성과 미술』.서울:눈빛, 2003.
김홍규. 『페미니즘비디오미술』.서울:재원, 1998.
『미술속의 여성(한국과 일본의 근현대 미술)』.서울: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미술에서의 페미니즘과 한국 여성주의 미술『여성, 그 다름과 힘』(편저) .서울:삼신각, 1994.
페미니즘『월간미술』, 2004년 7월호
Nochlin Linda, 오진경 옮김 『페미니즘 미술사』, 예경, 1997.
T. 구마 패터슨, P. 매튜스 『페미니즘 미술의 이해』, 시각과 언어, 1994.
현대미술사학회 『미술속의 페미니즘(Feminism in modern art)』, 눈빛, 2000.
이주헌 『미술로 보는 20세기』, 학고재, 1999.
Brude Norma, Garrard Mary D. 호승희 옮김 『미술과 페미니즘:굴절된 여성의 이미지』東文選, 1994.
  • 가격1,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7.15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39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