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의미와 주요개념,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중요성과 전개,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사례와 개념지도,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수업모형과 실제,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성과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의미와 주요개념,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중요성과 전개,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사례와 개념지도,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수업모형과 실제,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성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의미

Ⅲ.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주요개념
1. 개념의 추상성과 원형
2. 속성, 결정적 속성, 비결정적 속성
3. 예, 예가 아닌 것, 긍정적 예, 부정적 예
4. 오개념과 상투개념
5.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
6. 상위개념, 동위개념, 하위개념
7. 접합개념, 이접개념, 관계개념

Ⅳ.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중요성
1. 배원자
2. Skemp
3. R. W. Howard

Ⅴ.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전개
1. 제 1단계
2. 제 2단계
3. 제 3단계
4. 제 4단계
5. 제 5단계
6. 제 6단계
7. 제 7단계
8. 제 8단계

Ⅵ.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사례

Ⅶ.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개념 지도(Concept mapping)

Ⅷ.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수업모형과 실제
1. 수업 모형
2. 과목별 지도
1)문제 파악 단계
2)사례 열거 단계
3)분류 및 그룹 짓기
4)명목화, 개념화

Ⅸ.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성과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학습전략의 하나로서 \'개념지도 작성법(concept mapping)\'을 개발하였다. 원래 개념지도는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바를 표현하도록 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었는데(Novak,1990) 이를 Okebukola(1988), Novak 과 Gowin(1984) 등이 학습전략 도구의 하나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개념지도에서 각 개념들은 타원이나 네모 안에 표시되고 이 타원이나 네모들은 그들 간의 관계(상.하 관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연결된다. 각 선에는 개념들이 서로 간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기술하는 연결어가 붙게 된다. 이 개념과 연결어가 합쳐져서 사물의 모습이나 작용에 대한 진술, 혹은 명제를 형성한다.
개념지도는 교사나 학습자가 관련내용의 구조를 한눈에 볼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개념지도는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 중에서 개념과 그 개념들 간의 관계를 적절하게 연결할 연결어를 스스로 선택하여 써 넣게 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학습전략 보다도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유의미한 학습을 이끌어 낼 수 있다(Novak & Gowin,1984; Novak,1990; Okebukola & Jegede,1988).
위와 같은 특성을 갖고 있는 개념지도는 연구자에 따라 그 유형이 다양하다. 대체적으로 개념지도의 유형은 크게 放射形(혹은 거미망형), 位階形, 그리고 連鎖形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방사형은 중심개념이 중심에 위치하고 관련된 개념과 여러 하위 개념들이 마치 거미망처럼 주변에 위치하는 형태의 개념지도를 말한다. 위계형은 중심개념이 개념지도의 맨 위에 위치하고 이하 하위 개념들이 몇 개의 분지를 이루며 점차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개념들이 밑에 위치하는 형태이다. 연쇄형은 주로 절차적인 내용이나 수행의 순서를 표현할 때 쓰이는 개념지도 형태로 因果的 관계나 節次的 관계를 표현하는 데 주로 이용된다. 이 세 가지 유형의 개념지도 중에서 인간의 知覺的 원리를 가장 잘 구현하고 있는 것은 위계형 지도이다(Novak & Gowin,1984; Wiegmann et al.,1990). Wiegmann 등(1990)에 따르면 위계형 개념지도는 근접성 원리, 대칭성 원리, 원만한 연속성 원리 등의 형태 지각적 원리를 가장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위계형 개념지도에서 각 개념들은 위계적으로 배열된다. 이것은 새로운 개념이나 개념 의미가 좀 더 넓고 포괄적인 개념 아래 포섭될 때야 의미있는 학습이 잘 일어날 수 있다는 Ausubel의 ‘포섭이론’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Novak & Gowin,1984).
개념지도 내의 개념들은 橫的으로도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횡적인 연결이 풍부할수록 이는 관련 개념을 종합하고 이전의 생각을 재해석 하는 등의 창조적 사고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개념지도는 또한 그 크기에 따라 또한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는 한 장의 종이에 모든 개념들을 나타내는 ‘전체적 지도형(whole-map)\'이고, 둘째는 몇 장의 종이에 각 개념군들을 나누어 나타내는 ‘분리형 지도(stacked-map)\' 형태이다. 이 두 지도 유형은 각기 장단점을 갖고 있다. 예컨대, 전체형인 경우에는 개념들 간의 전체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는 유리하나 개념 숫자가 너무 클 경우 한 장의 종이에 개념지도를 모두 나타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분리형 지도의 경우에는 각 개념군들에 관해 세부적인 내용과 관계까지 제시해 줄 수 있지만 전체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위계형 개념지도는 전체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어 개념들 간의 관계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게 해 준다고 볼 수 있다.
Ⅷ.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수업모형과 실제
1. 수업 모형
문제 파악
공부할 문제의 제기
공부할 문제 확인
학습 과정의 주지
사례 열거
목록의 열거
분류 및 그룹 짓기
항목의 분류
분류한 것들의 공통점 찾기
명목화, 개념화
분류한 것들의 이름 붙이기
다른 속성들과의 관계 및 범주화
2. 과목별 지도
1)문제 파악 단계
무엇을 공부하는지 교사는 아동에게 제시하고, 공부할 문제와 학습 과정을 주지시킨다.
2)사례 열거 단계
교사는 개념의 속성들에 대한 사례를 아동들로 하여금 제시하도록 한다.
3)분류 및 그룹 짓기
서로 다른 목록들을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찾아내도록 하며 이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그리고 분류된 목록들에 대한 공통적 특징을 찾도록 한다.
4)명목화, 개념화
공통된 특징에 따라 한 묶음으로 분류된 목록들에 대하여 명칭을 부여하며, 분류된 각 집단의 목록들에 대하여 집단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새로운 명칭을 부여하게 한다.
Ⅸ. 개념학습(개념형성학습)의 성과
(1) 제시된 특성이나 속성을 준거로 현상간의 차이점을 변별해 낼 수 있게 된다.
(2) 서로 상관이 있는 환경의 특성이나 속성을 판별해 낼 수 있게 된다.
(3) 자기가 처한 환경에서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고 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Ⅹ. 결론
개념형성학습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첫째, 여러 유형의 구체적인 예를 준비하여 개념, 기능의 추상화나 일반화를 쉽게 한다.
둘째, 유사한 사례와 대비하여 유사하지 않은 것과의 다른 점과 같은 점을 명확히 한다.
셋째, 학생 스스로 능동적으로 추상화하고, 일반화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넷째, 개념은 사용할수록 확실성이나 이해성이 증가되므로 계획적으로 반복 학습한다.
다섯째, 기존의 개념과 대비하여 여러 개념의 상호 관계를 알고 통합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참고문헌
◎ 김상규, 속담을 이용한 경제개념 형성의 현장 적용성 검토, 초등사회과교육, 한국초등사회과교육학회, 2001
◎ 김연식·김흥기, 무한 개념의 이해 - 칸토르의 무한 개념을 중심으로 한 역사적 접근,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제 3권, 제 2호, 1993
◎ 김현석, 교과 교육론
◎ 배원자, 개념학습에 관한 전형모형, 고전모형 및 사례모형을 사회과에 적용한 학습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990
◎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 1985
◎ A.Bank, 수업모형의 적용기술, 성원사, 1989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