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사부학당,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당, 조선시대의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사부학당,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당, 조선시대의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Ⅱ.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Ⅲ.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사부학당
1. 개념
2. 유사점과 차이

Ⅳ.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1. 향교의 유래
2. 향교의 재정
3. 향교의 운영

Ⅴ.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원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육특징
4. 서원의 폐해

Ⅵ.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서당

Ⅶ. 조선시대의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1. 성리학
1) 양촌 권근
2) 퇴계 이황
3) 율곡 이이
2. 실학
1) 반계 유형원
2) 성호 이익
3) 다산 정약용
4) 형암, 아정, 청장관 이덕무
5) 연암 박지원
6) 담헌 홍대용
7) 초정, 정유, 위항도인 박제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장에 두었으며, 교육이념은 도덕인의 양성에 두었다.
⑥사학 교육발전에 기여하다.
⑦교육방법은 다음과
㉠학문을 하는데는 『입지(立志)』가 근본이 되어야 한다.
㉡학문을 하는데는 『궁리(窮理)』가 가장 중요한 것이다.
㉢『경(敬)』은 학문을 하는 첫걸음이니, 이를 정심껏 대하는 것이다.
㉣글을 읽는 것은 그 뜻을 알기 위해서 읽는 것이니 『열독(熱讀)』해야 한다.
㉤배우는 것은 자기가 알기 위함이요, 실행하기 위함이니 『심득궁행(心得躬行)』하여야 한다.
㉥학문은 독서에만 있는 것이 아니니 사회의 여러 가지 사실에 대한 견문(見聞)을 넓히는 일이다.
㉦배움은 자기의 마음속에서 깊이 생각하여 스스로 얻는 『潛心구得』인 것이다.
⑧교육이론은 이기이원론, 4단 칠정설, 지행병진설 등을 들 수 있다.
⑨경(敬), 궁리(窮理), 입지(立志) 의 사상을 중시하다.
⑩저서 : 성학십도, 퇴계집, 이황통록, 이산원규 등이 있다.
⑪도덕적 인격을 배양키 위한 “행동규범”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3) 율곡 이이
①주기론의 입장에서 주리론을 수용하여 성리학의 집대성화를 추구하였다.
②향약의 4대 강목을 재정하였다.
③이기일원적 이원론을 제시하였다.
④교육목적은 도덕적 인간 양성 즉, 전인양성을 추구하였다.
⑤교육 3대 이념을 입지이념, 명지이념, 역행이념으로 구분.
역행이념은 후일 실학사상 등장에 영향을 주었다.
입지이념 : 교육이상, 철학적 견해
명지이념 : 독서을 통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정독을 내세움)
역행이념 : 학문을 통한 자아발견, 국가 사회발전 추구, 국제정세 흐름에 능동적 대처, 민생안정, 개화나 실학사상에 영향
⑥교육사상은 입지(立志)와 성(誠)을 들 수 있다.
⑦민중교화, 사회계몽을 위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⑧아동교육, 자발성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⑨유비무환의 교육, 아동의 개인차 고려를 위한 교육을 주장하였다.
⑩저서 :『학교모범』,『학교사목』,『성학집요』,『격몽요결』,『소아수지』,『자경문』등이 있다
학교모범 : 학생의 훈육과 수양을 규정, 교사의 자질, 교사에 대한 예우, 스승과 학생의 관계
학교사목 : 교사, 학생의 인사문제규정
성학집요 : 군주훈계교육(왕도정치), cf) 설총의 화왕계, 이퇴계의 성학10도, 이율곡의 성학집요의 공통점 → 민본정치
격몽요결 : 대중교육, 평등교육, 사회계몽교육
소아수지 : 아동교육, 자녀교육, 여성교육
자경문 : 입지(立志)사상을 가장 잘 소개한 책 - 즉, 학문하는 자세를 소개한 책
⑪과거를 통한 인재양성론 중시
2. 실학
1) 반계 유형원
①실학교육을 체계 발전시켰다.
②교육목적을 능력인(能力人), 덕행인(德行人)에 두었다.
③사농일치의 노작교육운동을 역설하였다.
④전인교육론을 제시하다.
⑤단선형학제를 중시하였다.
⑥기회균등의 평등교육을 중시하였다.
⑦향교교육을 중시 발전시켰다.
⑧저서 : 반계수록을 남겼다.
2) 성호 이익
①실학교육을 학파로 분류 발전시켰다.
②한국학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켰다.
③교육목적 : 주체적 실용적 인간 형성에 두었다.
④교육이념 : 숭례(崇禮)와 근검사상(勤儉思想)에 두고 실용적 능력 제일주의를 고취하였다.
⑤교육원리 : 일관성과 계열성에 따른 학습을 전개하였다.
⑥교육방법
㉠“내적 충실”을 전제로 한 형상주의(形象主義)와 발견적 태도, 적극 질의를 존중하며 탐구적이다.
㉡내적 세계인 마음을 중시하고 탐구, 집중, 점진, 실천주의를 중시하였다.
㉢학문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는 점진주의, 집중주의를 병용하고 지행합일을 중시의 실천주의라고 하였다.
⑦교육사상 : 숭례사상을 강조하고 예의를 중시하였다.
⑧기타 교육적 제특성
㉠여성교육
㉡가정교육
㉢과거제의 비판
㉣학문의 자유
㉤사도의 존중
㉥기회균등의 교육
⑨저서 :『성호사설』『곽우록』등이 있다.
3) 다산 정약용
①실학주의 교육을 집대성화 하였다.
②교육목적 : 修己爲天下人(실용적인간)을 형성하는데 두었다.
③교육이념 : 실학 정신을 구현하는데 있다.
④교육방법 : 지행합일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⑤교육의 근본가치 : 성의(誠義)와 신독(愼獨)에 상호조화 관계를 중시하였다.
⑥역사교육, 과학기술교육을 중시하였다.
⑦저서 : 『목민심서』,『경세유표』,『흠흠신서』,『아학편』,『여유당전서』,『아방강역고』
4) 형암, 아정, 청장관 이덕무
①교육목적 : 內行修潔人을 형성하는데 있다.
②교육이념 : 공(公),정(正)을 구현한다.
공 : 심술지공, 학업지공 - 배우는 사람이나 가르치는 사람이나 바르게 하자
정 : 아동에게 바른내용을 가르치라
③여성교육, 아동교육, 훈육교육을 중시하다
④교수법, 교훈, 훈육법에 관한 사항
㉠교수법 : 아동의 능력에 따라 학습내용, 속도, 방법을 적절히 과한다.
㉡교훈 : 69가지의 교훈을 제시하고 일동일정(一動一靜)을 중시한다.
㉢성행 : 아동의 기본적 성행을 통해 장래 기대되는 인물적 가치를 평정하였다.
㉣훈육방법 : 아동의 심리를 파악하고 관용과 엄격함을 통해 적절히 교육활동을 전개한다.
5) 연암 박지원
①봉건 신분 타파를 통한 평등교육을 주장하였다
②중상주의 실학교육을 강조하였다.
③사회의 모순점 개혁과 민중의 자각운동을 강조하였다.
④양반 문벌제도의 비생산성을 비판하였다
⑤“교육을 통해 영농방법의 혁신을 가져오자”라고 역설하였다.
⑥인간 존엄성과 민족의 주체 의식성 고취를 위한 교육을 강조하였다.
⑦저서 : 『열하일기』, 『양반전』, 『허생전』등이 있다.
6) 담헌 홍대용
①교육을 통해 기술문화의 혁신을 가져옴으로써 부국강병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②봉건 신분제도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③성리학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④저서 : 『의산문답』, 『임하경륜』등이 있다.
7) 초정, 정유, 위항도인 박제가
『북학의』에서 ‘소비는 생산의 미덕이다’
참고문헌
▷ 김지용,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한양대학교, 1994
▷ 김태준·홍대용, 민음사, 1987
▷ 김형효, 다산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원, 다산연구소, 1988
▷ 금장태, 실천적 이론가 정약용, 이끌리오, 2005
▷ 과학원 철학연구소, 정다산 연구, 한마당
▷ 율곡학회, 율곡이이사상과 철학의 이해, 교육문학사상의 특징 편
▷ 황의동, 한국의 유학사상, 서광사

키워드

성균관,   종학,   사부학당,   향교,   서원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8.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7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