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의의와 특성,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사례,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지도모형과 자원구축방법,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 관련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의의와 특성,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사례,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지도모형과 자원구축방법,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 관련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의의

Ⅱ.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특성

Ⅲ.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사례
1. 자원 인사 학습의 의의
2. 자원 인사 초빙 학습의 단계
3. 사회과의 자원 인사 초빙학습 적용 내용

Ⅳ.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지도모형

Ⅴ.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의 자원구축방법
1. Hotlist Project
2. 스크랩북 프로젝트

Ⅵ.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 관련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특정 시대에 국한해서만 조사 활동을 하고, 각 그룹의 프로젝트 결과를 통합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에 관한 하나의 산출물과 Hotlist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2. 스크랩북 프로젝트
학생들이 학습할 주제에 관하여 이미 충분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면 멀티미디어 스크랩북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학생들은 한 주제에 관해서 이미지, 지도, 이야기, 사실, 음성, 비디오, 가상 탐험과 같은 특정 분야별로 관련 링크를 구성한 스크랩북 사이트를 탐험하면서 필요한 자료들을 복사, 다운로드하여 수집한다. 이러한 스크랩북 사이트는 교사가 직접 구축할 수도 있지만 기존에 구축된 웹사이트를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 스크랩북 사이트는 다른 주제의 프로젝트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이 활동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주어진 스크랩북 사이트에서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자신의 시각으로 자료를 수집하게 되며, 나름대로의 견해를 정리해 나가게 된다. 학생들은 자신이 수집한 자료들을 다양한 형식 즉, 뉴스레터, 슬라이드 프리젠테이션, 게시판, 웹페이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크랩북 프로젝트는 구성주의적인 입장에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가능하게 해준다. 교사는 이 결과물들을 통합하여 웹퀘스트(WebQuest), 보물 찾기(Treasure Hunt)와 같은 형식의 학습 활동을 위한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스크랩북 프로젝트 진행 시에는 저작권 문제에 주의해야 하며, 따라서 수집하여 재구성한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
Ⅵ. 자원기반학습(RBL, 자원중심학습) 관련 시사점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고등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의 수가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으며, 우리는 커뮤니케이션과 정보공학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들은 교수와 학습에 있어 전통적인 접근방식으로부터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교육자원과 그러한 자원의 공급에 있어서의 성격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원 기반 학습(Resource Based Learning)과 이것에 수반되는 모든 것에 대해 강조를 하게 되었다.
오늘날의 교육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학교의 교육과정으로서 내용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사회의 각 부문에서 정보화가 일어나면서 효과적으로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하는 능력은 학생들에게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다. 학생들에게 이러한 정보처리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학교는 교수-학습의 과정을 합리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교사의 역할은 학생, 동료교사, 그리고 매체 전문가들과 협동적으로 학습을 촉진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Haycock, Carol-Ann;1991).
참고문헌
* 김광자 저(1993), 교수-학습방법론, 학문사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편, 교육학 대백과 사전, 서울 : 하우동설
* 송명자 저(1995), 발달심리학, 학지사
* 유기섭·김태호(2003), 교육심리학, 동문사
* 윤희준(1982), 학습 지도의 실제, 서울 : 교육개발원
* 임규혁(2008),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학지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8.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7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