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학파와 브로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아날학파의 성립과 배경
2. 아날학파의 패러다임(추구하는바)
3. 페르낭 브로델
4. 아날학파에 대한 비판들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기지속의 표층사로만 다루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현대세계가 정치적 결정의 역할을 모르고서는 이해될 수 없다는 지적은 정당해 보인다.
다음은 아날학파의 지나친 구조와 전체사의 강조에 대한 비판이다. 사회발전의 과정에 있어 개인의 의식적 행동이 구조에 파묻혀 무시되어 인간이 역사를 창조할 수 있는가를 밝히지 못하고 있으며, 장기지속의 구조는 자본주의를 항구적 제도로 간주하고 있다는 지적이 주로 맑시스트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세번째로 아날학파는 산업사회의 역사와 문제들에 대한 관심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사실 아날학파의 주된 관심과 성과는 변화가 거의 없거나 매우 완만한 18세기 이전 사회에 집중되어 있다. 이것은 그들이 강조하고 있는 사회와 계량적인 방법이 안정되어 있고 유동성이 적은 사회를 연구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그들의 계량적 방법들은 산업사회의 성장 및 주기적 발전을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해 두고자 한다.
네번째로 아날학파는 포괄적인 사회변화에 대한 이론이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이다. 사실 아날학파는 앙시앙 레짐에서 근대사회에로의 변화과정을 잘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아날학파가 인구통계학적경제적 현상에 대한 계량적 연구 범위를 넘어 이데올로기권력투쟁사회규준 및 인격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검토할 수 있는 이론적인 공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참고문헌-
『숭실사학 11집』〈현대역사학의 동향과 전망〉, 박은구, 숭실대학교, 1988.
『세계사를 보는 시각과 방법』, 나종일, 창작과 비평사, 1993.
『역사와 사회과학』, 이광주이민호, 한길사, 1981.
『아날학파』, 김응종, 민음사, 1991.
『역사의 기억, 역사의 상상』, 주경철, 문학과 지성사, 1999.
-관련싸이트-
http://user.chollian.net/~kjyaho/2021_2temp.htm(성공회대 이진경 선생의 근대사의 이론들 엿보기)
http://www.wha21.com/stud.htm(각종 행사 및 학술제에 대한 소식과 논문들 기재)
http://fbc.binghamton.edu/(브로델센터)
http://www.gs.cau.ac.kr/press/107/107해외연구소.htm(브로델센터에 대한 설명)
http://mahan.wonkwang.ac.kr/nonmun/00/9338.htm(근대역사학의 동향에 대한 한 학생의 졸업논문)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8.30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8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