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댐의 역할과 기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홍수조절

◉ 용수공급

◉ 전력생산

연도별 댐개발 현황

◉ 1960년대 이전

◉ 1960년대

◉ 1970~1980년대

◉ 1990년대

다목적댐 개발현황

낙동강하구둑

남강다목적댐

대정다목적댐

밀양다목적댐

부안다목적댐

섬진강다목적댐

소양강 다목적댐

안동다목적댐

임하다목적댐

영월다목적댐

영천다목적댐

용담다목적댐

주암다목적댐

충주다목적댐

탐진다목적댐

합천다목적댐

횡성다목적댐

본문내용

관광자원 개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탐진다목적댐
전남 서남권 해안지역 개발과 산업도시 조성 등 지역발전에 따라 용수수요는 증가하나 수원개발 적지가 부족한 전남지역내에 탐진댐을 건설함으로써 유역내 홍수피해 경감 및 갈수기에 댐하류 방류량을 증가시켜 하류하천 유황개선을 통한 관개 및 유지용수를 원활히 확보함은 물론 상습적인 가뭄피해를 입고있는 서남해안지역 중소도시의 2000년대 용수부족을 해결함으로써 전남 서남권 해안지역의 지속적인 발전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합천다목적댐
합천다목적댐은 낙동강 유역 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합천읍 북방16㎞ 지점의 황강협곡에 건설한 높이 96m,길이 472m, 체적 90만㎥의 콘크리트 중력식댐으로 유역면적 925㎢, 저수용량 7억9천만㎥이다.
합천댐은 1982년 4월에 공사를 착수한 이래 7년 1개월만인 1989년 12월에 건설공사를 완료하였는데, 이 댐은 기존의 댐과는 달리 지형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연낙차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수로식 발전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본댐 하류 6.5㎞ 지점에 높이 29m의 콘크리트 및 석괴혼합식의 조정지댐을 건설하여 용수공급을 원활히 하기위해 시설용량 600㎾인 2기의 발전설비를 설치한 저낙차 소수력 발전소를 갖추고 있다.
횡성다목적댐
횡성다목적댐은 남한강 지류인 섬강유역에 건설하여 원주시를 비롯한 댐하류 중, 소도시에 년간 111.6백만㎥의 용수를 공급하며 또한 9.0백만㎥의 홍수조절 용량을 갖추게 되어 댐하류에 매년 발생하는 홍수피해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년간 104Gwh의 전력을 생산 공급하게 되었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9.06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9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