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이오산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바이오(BT) 산업 1

1-1. 현 황 1

1) 바이오산업의 분류 및 특징 1

2) 외국의 바이오산업 동향 및 전망 2

3) 우리나라의 바이오산업 동향 및 전망 5

1-2. 주요시책 6

1) 산. 업화 가능 핵심기술 선점 6

2) 선진국 수준의 인프라 구축 6

3) 클러스터 강화 및 운영활성화 7

4)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8

1-3. 전 망 9

1) 해 외 9

2) 국 내 9

본문내용

터는 그간 추진해온 연구기자재장비 중심의 TIC사업과 R&D 중심의 RRC사업의 운영상 문제점을 보완하여, 주로 지역거점대학에 연구기자재장비와 R&D를 패키지로 지원하고 있다.
현재 바이오분야에서는 한림대 식의약품 효능평가 및 기능성소재개발 RIC 등 4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나. 클러스터 네트워킹 및 기술개발 지원
(1) 지역혁신특성화사업 및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지역의 경쟁력 강화와 자립형 지방화의 실현을 위해서는 인프라구축뿐만 아니라 지역내의 산학연이 연계된 혁신활동이 촉발될 수 있는 네크워킹 및 기술개발사업 등 S/W사업 또한 병행되어야 한다.
지역내의 산학연 네트워킹을 위해 2004년부터 시행 중인 지역혁신특성화사업에 16개 생물관련 사업을 선정하여 추진 중이며, 2006년도에 126억원을 지원한 바 있다.
또한 2006년도 지역산업중점기술개발사업에 84억원을 지원하는 등, 지역의 R&D역량을 제고를 위한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2) KOREA바이오허브 구축사업
지역 바이오산업 인프라 간 Network를 구축, 다학제적 첨단기반기술 개발 및 산업화 등을 지원하기 위해 2004년부터 KOREA바이오허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KOREA바이오허브센터는 첨단 연구시설 및 공동장비를 구축하여 공동연구 수행, BT인력 교육 및 훈련 등 지역 바이오클러스터와의 다양한 연계 및 협력사업을 수행함으로써 국내 바이오산업 발전을 선도하게 될 것이다. 향후 바이오클러스터협의회, 유관기관 공동 워크샵 및 세미나 개최, 성공사례 발굴홍보 등을 통한 상호연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4)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외국기업과의 기술협력 및 투자유치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BT 전문 국내외 전시회, 선진국의 한인 네트워크 등을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2006년 4월 세계 최대 전시회인 미국(시카고)의 “Bio 2006”에 한국관을 설치하고, 민관 합동 투자유치단을 파견. 투자설명회를 개최하였다.
또한, 바이오행사의 국제화대형화 추진을 위해 국내 바이오전시회를 통합하여 2006년 최초로 “BIO KOREA 2006” 행사를 성대히 개최하였다. 아울러 한일, 한중, 한호 등 국가별 바이오산업 교류협력사업을 통해 선진국 및 신흥개도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갈 것이다.
1-3. 전 망
1) 해 외
바이오산업은 미국이나 일본을 비롯하여 유럽국가들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가운데, 개발도상국 또는 저개발국가까지도 국가차원에서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가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세계 바이오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2005년 현재 910억불에서 2010년 1,540억불, 2015년 3,090억불 규모로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향후 응용범위의 확대, 기술융합의 심화, 산업화의 진전 등으로 첨단기술 신산업으로 성장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에 따라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가 및 저개발국가 등 세계 각국은 바이오산업의 성장 및 발전 추세에 대비하기 위해 바이오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선정하여 집중 육성중이다.
2) 국 내
바이오산업은 IT혁명이후 세계 경제를 선도할 대표적인 핵심전략산업으로 급속히 부상하고 있고 특히, 인간유전체연구의 조기 완성이후 산업화를 통한 시장선점 경쟁이 본격화되어 급속한 기술발전과 ITNTET 등과의 기술융합으로 바이오산업의 영역이 확대되고 시장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의 경우도 시장규모 등 외형적 지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BT분야에 대한 정부지원도 2000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02년에는 4,500억원, 2003년에는 약 5,300억원, 2004년 약 6,000억원, 2005년에는 약 7,000억원, 2007년에는 약 8,270억원이 지원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기간의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발전기반은 취약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BT 기술경쟁력은 선진국의 60~70%에 불과하며, 특히 핵심원천기술이 부족하고, 관련기업들이 영세하며 “스타”기업이 없는 등 가시적 성과가 적어 산업으로서의 위상은 미약한 상황이다.
그러나, 바이오산업은 지적능력이 높은 우리나라의 여건에 적합하고, 선진국과의 격차도 아직 적은 편이며, 세계적 수준의 IT기반을 보유하고 있어, 이러한 우리의 특성과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것이 당면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산자부는 기 수립한 2015 바이오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토대로 바이오산업육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9.27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