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ansformation 사례 조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transformation 사례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e-transformation 배경 및 의의

Ⅱ.본론
오프라인 기업 중에서 온라인에 진출한 기업
1. Lotte.com
2. 미사
3. SKT
4. 전자부품산업

Ⅲ.결론
Lotte.com

본문내용

했던 전통적인 비즈니스에서 비즈니스 모델의 최적화로 최소한의 운전 자본만이 필요한 새로운 비즈니스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아웃소싱 네트워크를 통해 막대한 양의 물리적 자본은 브랜드 개발, 고객 관리(CRT), 공급사슬관리(SCAM)를 위한 노력에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효율적인 e-SCAM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e-SCAM은 가치사슬의 통합, 자동 보충 방식, 주문 생산 방식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가치사슬의 연계 측면에서, 주문 이행 프로세스는 기업 비용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비용 절감 및 서비스 향상의 기회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은 전체 주문 이행 프로세스(원재료, 제품, 재고 현황 및 흐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고객 주문에 보다 신속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전통적인 예측 생산 방식은 비효율적이고 장기간의 물류 흐름 등의 이유로 자원 활용도가 높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들은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공급사슬의 각 활동들을 연계/통합함으로써 각 부문/회사 간의 원활한 협력이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
자동 보충 방식측면에서 보면, 물류 문제를 해결하고 고객 Pull 전략의 실행을 위해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QR(Quick Response)과 같은 새로운 방식이 등장했다. 이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 공급업체는 구매 기업의 재고 정보 등을 사전에 파악하고 필요물품을 자동적으로 보충시켜줌으로써 구매 기업의 업무 효율성 및 고객 대응 능력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자동 보충 방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공급사슬상의 모든 관련 기업들은 단순한 하청업체가 아닌 전략 파트너로 인식되어져야 하며, 이들과 시스템 및 정보 공유가 반드시 필요하다.
주문 생산 방식에서 살펴보면, 보다 다양해진 고객 니즈(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 생산 방식이 대량 생산에서 맞춤 방식(Mass Customization)으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공급사슬도 주문생산 방식(Build-to-Order) 방식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의 전환이 필요하다. 주문생산 방식의 공급사슬 구축이 가능해 지는 이유 중의 하나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관련 부문/기업 간 정보 흐름 및 공유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로, 인적자본이 생산중심의 인력구성 및 운용에서 Customer Focus를 기반으로 한 인력 구성 및 운영이 필요하다.
디지털 혁명 시대의 환경 변화 속에서 인적자본도 이제는 고객에 초점을 두고 기업 성장을 위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구성원을 지적 자신인 ‘파트너’로 보는 시각에서 출발해야한다. Market-driven, Tailor-made, Success-sharing이라는 3대 원칙에 입각한 새로운 HARM(Human Resource Management) 메커니즘을 정립해야 한다. 디지털 환경 하에서 사업 성공을 결정짓는 것은 고객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인재’이다. HDR 기능도 R&D, 마케팅과 같이 전략적 핵심 기능으로 자리 매김 되어야 한다. 구미 선진 기업에서는 확산되고 있는 e-HDR 체제로의 전환과 일반 서비스 기능의 아웃소싱은 단순히 디지털 환경에의 적응이나 비용 절감 차원뿐만 아니라, HDR 부서가 새로이 전략적 핵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체제 정비가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HDR 기능의 위상 재고를 고려해 볼 때 심리/인사 분야 전문 교육 과정을 밟은 HDR 전문가 확보/양성 또한 절실하다
넷째로, 고객을 유지하고, 신규고객과 신규 유통채널로부터 많은 수익 창출을 위해 브랜드 자본을 개발해야한다.
이제 B2B로 무장한 기업들은 고객에게 보다 쉽게 접근하고, 고객과의 유대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해야한다. 이 모든 활동이 브랜드 자본을 증가시킨다. 고객 Relationship 구축 방향으로는, 우선 장기적 협력관계 형성이 선행되어야한다. B2B에서의 Relationship Capital 구축의 핵심은 효과적인 e-CRT 실행을 통해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고, 전환비용을 높임으로써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하는데 있다. 다음으로는 판매자/구매자간 시스템 연계가 필요하다. 판매자와 구매자가 서로의 시스템을 형성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로 인해, 고객과의 일대일 관계구축을 통해 판매자와 구매자가 Win-Win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Relationship Capital을 강화해 나가야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전자부품 산업의 IT융합을 통한 e-Transformation (http://blog.dreamwiz.com/dlf871/6545867/ )
IT융합을 통한 e-Transformation 전락(blog.daum.net/ansdudbear/4535284 (86k)/ )
(학술)전자부품산업의 지식경쟁력 강화 방안(중앙도서관)
Ⅲ.결론
B2C에서의 노하우 : 잠재력 높은 B2B 시장으로
롯데는 그 동안 소매분야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해 왔다. 이러한 노하우는 전자상거래 즉 롯데닷컴을 통해서 쉽게 B2B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기업의 MAO(소모성자재관리) 혹은 기업 내의 B2E 시장이다. MAO의 경우, 롯데의 계열사에서부터 출발해서, 다른 기업에 까지 진출 할 수 있을 것이며, 유통업체가 성공적으로 이 시장에 진입한 경우는 LG유통을 들 수 있다. 그리고 B2E시장의 경우, 최근 복리후생제도가 변화함에 따라서, 카페테리아 식 복리후생 제도 과거, 매년 기업이 근로자에게 제공하던 각종 명절 선물 등을 하나로 묶어 1년 총액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필요한 것을 구매하도록 하는 복리 후생 제 도를 도입하는 회사들이 늘고 있다. 이러한 기업 문화적 흐름은 롯데닷컴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하여 B2E를 시작하려는 회사들에게 B2B로서 그리고 새로운 E-Marketplace로서 롯데닷컴은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0.10.04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3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