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소설 원작의 한국영화를 통해 본 일본문화와 한국문화의 차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소설 원작의 한국영화를 통해 본 일본문화와 한국문화의 차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고 말한다. 그리고 감독은 보경의 특별한 하루가 그녀와 전혀 상관없는 사람들과 어느 한 여자의 궤적을 따라가면서 그 사람들을 통해, 그 모르는 사람의 죽음을 통해, 사실은 순간이나마 자기 존재를 잃어 버리는 것일지라도, 오히려 그럼으로써 자기 존재의 소중함을 받아들이고 되찾는 것 정한석. “<여자, 정혜>의 능동적 버전 <아주 특별한 손님>”,『씨네21』, 2006.11.29.
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를 두고 어떤 기자는 ‘아주 특별한 손님’이 주는 기묘함 중 하나라고 표현하면서 이탈이 희망의 귀환으로 이끌리고, 대역이 자아를 찾는 비결이 되었다고도 말한다.
이처럼 일본의 원작이 영상화 되면서 당연히 일본 소설의 인물들은 일본 정서에 맞게 설정되어 있는데 이것이 한국의 정서에 맞는 인물로 바뀌게 된다. 하얀 거탑을 한국형으로 써낸 이기원 작가는 여러 가지 요소를 한국의 정서로 바꾸었다고 말하면서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 원작이 일본으로 가거나 일본 원작이 우리나라로 오거나, 어느 나라로 오고 가건 간에 그 나라의 문화와 결합되지 않으면 외면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이기원. 「일본 원작의 한국화, 어떻게 할 것인가」
결국 이 영화의 아주 특별한 손님은 그녀가 특별한 손님이라기보다는 그녀의 일상에 느닷없이 찾아든 사람들이 특별한 손님이 되는 영화임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소설의 많은 부분이 한국의 정서로 바뀌게 되면서 소설과 다른 부분이 생겨나게 되지만 꼭 차이점만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크게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감독이 발견했다는 보편성을 느끼게 되기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10.19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5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