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인의 역할과 바람직한 자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인의 역할과 바람직한 자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방송의 이해
1-1. 방송의 정의
1-2. 방송의 기능
1-3. 방송의 특성



Ⅱ. 본론
2. 방송진행자의 역할과 덕목
2-1.방송진행자의 역할
2-2.방송진행자의 덕목



Ⅲ. 결론
3. 방송인의 바람직한 자세
3-1. 방송인이란
3-2. 방송인의 바람직한 자세

본문내용

슈가 되었던 KBS 정연주 사장 퇴임, MBC 신경민 앵커 교체, YTN 사장 교체, KBS 윤도현 하차, MBC 김미화 교체 설이 우리나라 언론과 관련한 대표적 사건의 타이틀이다. 언론은 거짓과 진실에 대한 판단을 대중인 국민들에게 여러 방법으로 이해를 구하고 알리기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치관과 판단을 움직이게 하는 큰 힘을 지니고 있다. 감정적으로 스스로를 통제하고 침착함을 잃지 않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스스로를 통제하면서 집중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과 자신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더하여 아나운서가 되는 길은 많은 조건이 따라지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정확한 발음과 억양이다. 이를 기본으로 하여 사투리를 쓰지 않아야 한다. 즉 표준어를 구사할 줄 알며 단어 낱개의 표준어 구사도 중요하지만 특정 지방의
억양이 섞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표준어 구사가 우선이다. 방송보다 전달력이 중요시되는 뉴스 프로그램에서 발음의 높낮이와 길고 짧음이 부정확하다는 것은 치명적인 결함이 된다.
그 다음으로 신뢰성이나 깔끔함은 결코 외모로만 좌우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한다. 또한 짧은 시간에 갑자기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꾸준한 노력과 이미지 메이킹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뉴스 진행자는 냉철함고 따뜻한 심성을 함께 가져야 한다. 여기에 좀 더 욕심을 부리자면 열려있는 사고와 현실감각을 더해야한다. 현실감각은 곧 세상 돌아가는 일에 무심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제한된 시간에 여러 가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뉴스 앵커는 기본적으로 원고를 가지고 방송을 하지만 그것을 단순히 읽는 것에 한정시켜서는 곤란하다. 어느 한 분야를 집중적이고 전문적으로 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정치경제사회문화 각 부문에 걸쳐 여러 상식을 편식하지 않고 두루두루 넓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새로운 시사 상식이나 용어에 둔감해서도 안 된다. 그것은 곧 실제 방송에서 큰 실수로 이어진다. 최소한 요즘 나라 안팎에서 가장 큰 이수가 되는 것이 무엇인가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전염병의 이름, 국제기구의 명칭, 혹은 군사무기체계, 경제용어 등에 대한 사전 지식 부족은 뉴스 및 시사 프로그램의 매끄러운 진행에 큰 걸림돌이다. 그러므로 늘 새로운 정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꾸준한 독서와 연구하는 자세를 갖는 것이 뉴스 진행자의 기본이다.
앵커는 방송진행 중 방송 내용으로나 진행상 여러 가지 돌발상황에 맞닥뜨릴 경우가 있다. 감정적으로 스스로를 통제하고 침착함을 잃지 않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조화, 그것이 훌륭한 뉴스 진행자로 나아가는 초석이다.
방송의 능력은 자기 관리이다.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일에 대한 도전하며 스스로가 일을 사랑하고 즐겁게 해낸다면 그것이 바람직한 자세가 아닐까 싶다.
[참고 문헌]
1) 조숙희, 방송진행의 이론과 실무, 내하출판사, 2004
2) 봉두완, 앵커맨, 랜덤하우스중앙, 2004
3) 이민웅 외, 방송저널리즘과 공정성 위기, 2006
4) SBS아나운서팀, 아나운서 길라잡이, 2003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0.26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6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