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어][국어 문장성분][문장성분]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기준,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목적어][국어 문장성분][문장성분]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기준,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어순,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구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설정,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영어와 목적어전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기준
1. 형태론적 기준
2. 통사론적 기준

Ⅱ.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어순

Ⅲ.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구성

Ⅳ. 국어 문장성분 목적어의 설정

Ⅴ. 중국어 피동문과 목적어
1. 무표지 피동문
2. 어류피동문

Ⅵ. 영어와 목적어전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7)에 따라 다음 강국면 CP에서 해석/평가를 받게 된다. (5)에서처럼 vP의 외곽 주변에 음운자질을 지닌 목적어가 그대로 남아 있으면 탐침-목표의 관계가 MLC를 위반하게 되고, (1)에서처럼 목적어(who)가 이동하여 음운자질이 없는 흔적만 남아 있으면 탐침-목표 관계가 MLC를 준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설명을 받아들일 경우 (4)의 등거리제약을 다음과 같이 수정할 필요가 있다.
(8)탐침 P는 HP의 음운적 주변요소에만 접근할 수 있다
(8)에서 어떤 범주의음운적 주변요소(phonological edge)란 그 범주 내에 자신을 성분-통어하는 음운자질을 가진 요소가 없는 주변요소를 말한다. 예를 들어, (9)와 같은 구조에서 XP가 음운자질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만 MLC에 따라 탐침 P가 SPEC과 화합하는 것을 막는다.
(9)[ZP . . . P. . . [HP XP [SPEC [H YP]]]]
우리는 일반적으로 영어를 비-OS 언어라고 생각해 왔으나, 영어와 같은 언어도 (1)과 같은 문장을 도출하는 데 OS가 필요하다고 가정할 경우, 진정으로 ±OS 언어를 구별하는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여기서 두 가지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 방안은 ±OS 언어를 구별하는 속성이 OS를 그 언어에서 허용하느냐 않느냐에 있는 것이 아니라, 탐침 T와 제자리에 있는 주어와의 제휴가 (3)의 제약을 따르느냐 혹은 (8)의 제약을 따르느냐에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 방안에 따르면 [+OS] 언어에서는 (6b)에서처럼 비록 vP의 외곽 SPEC에 OB(= who)가 있어도 (4)에 따라 T와 이동하지 않은 John의 일치를 허용하고, [-OS] 언어에서는 (1)에서처럼 vP의 외곽 SPEC(즉, tob) 자리에 있던 OB가 더 높은 위치로 이동했을 경우에만 (8)에 따라 T와 주어의 일치를 허용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음운적 내용을 가진 OS된 OB는 T와 주어의 제휴를 막는 간섭효과를 일으킨다고 보는 것이다.
탐침-목표의 제휴에 대한 간섭효과를 다르게 해석하는 방법은 ±OS 언어를 구별 짓는 속성이 간섭효과(intervention effect)의 차이에 있는 것이 아니라, +OS 언어에는 우리가 영어의 주제화/추출(thematization/extraction, TH/EX) 규칙과 유사한 음운부의 규칙인 전위규칙(dislocation rule, DISL)이 있어서 OS된 목적어를 더 높은 위치로 이동시킨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이 방안에 따르면 +OS 언어에서는 OS된 목적어가 vP의 외곽 SPEC 위치에 있는 (5)과 같은 구문을 허용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실제로 OS된 목적어가 그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DISL에 의해 더 높은 위치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록 +OS 언어라 할지라도 A\'-이동이나 DISL에 의해 더 높은 위치로 이동하지 않은 OS된 목적어를 지닌 구문은 허용되지 않는다.
Chomsky(2001)에 따르면, 간섭효과에 대한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대륙 스칸디나비아어(MSc)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다. MSc는 부분적으로 OS를 허용하는 언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MSc에서 대명사는 OS가 허용되고, 완전한 명사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OS가 허용되지 않는다. Holmberg(1999)에 따르면, MSc에서 대명사 목적어의 전치가 허용되는 것은 전치된 대명사 목적어가 vP의 외곽 위치를 벗어나(접어-이동(clitic-movement)과 유사한 규칙에 의해) 조동사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자연히 MSc에서 완전한 명사구가 부분적으로 OS가 허용되는 것은 이 OS된 목적어가 A\'-이동이나 DISL에 의해 더 높은 곳으로 이동할 경우에만 허용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OS 언어인 아이슬란드어에서는 DISL과 유사한 규칙이 완전한 명사구로 된 목적어도 vP의 외곽 SPEC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Chomsky(2001: (53))는 (10)의 예가 이러한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10)[many students.DAT]SUB find..PLVB [the computers.PL.NOM]OB
[tSU tVB tDO not ugly.PL]
(10)는 (11)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11) TP
many studentsSUB T\'
T-find vP
the computersOB vP
tSUB v\'
tVB VP
tV AP/TP
tOB not ugly
(11)의 구조에서 직접 목적어인 the computers가 주격을 지니고 있는 것은 T와 목적어(T, OB) 사이에 일치가 일어난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T가 일치하는 OB를 SPEC-T로 인상할 수 없는 것은 음운부의 규칙인 DISL이 OB를 vP의 외곽 SPEC 위치에서(다른 위치로) 이동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 자리에는 음운자질이 없는 흔적만 남게 되고 주어인 many students가 SPEC-T로 인상되어 (10)가 도출된다. (11)에서 OS된 OB를 SPEC-T로 인상할 수 없는 것은 우리가 영어의 비대격/수동구문에서 OB를 SPEC-C로 wh-이동시킬 수 없는 것과 유사한 현상이라는 주장이다. 물론 다른 점이 있다. +OS 언어에서는 OS된 OB가 WH-이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여하튼 Chomsky(2001)의 주장에 따르면, +OS 언어에서 OS된 OB는 DISL이나 A\'-이동에 의해 반드시 vP의 외곽 SPEC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하여 탐침 T와 목표의 제휴를 막지 말아야 한다.
참고문헌
김상대(1995), 문장성분론과 관련한 몇 문제에 대하여, 태릉어문연구 5·6, 서울여대 인문과학대학
김태엽(1997), 국어의 문장종결소, 대구어문론총15, 대구어문학회
고영근(1990), 문장과 이야기의 관련성, 관악어문 15
류구상 외(2001), 한국어의 목적어, 서울 : 월인
박갑수(1985), 현대 국어 문장의 실태분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이홍식(2000),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서울 : 월인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11.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8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