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발달 (Normal Developmental)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상발달 (Normal Developmental)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달이론

2. 운동발달의 원리

3. 손 기능의 발달

4. 정상운동발달

5. 시지각의 발달

6. 인지의 발달

7. 놀이의 발달

8. Reflex

9.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세)
supine 자세
extensor tone 증가로 전체적인 extension 자세가 나타난다.
생후4개월 까지 나타난다.
Tonic Labyrinthine-Prone (긴장성 미로반사-
엎드린 자세)
prone 자세
flexor tone 증가로 상체를 움츠린다.
Positive Supporting
Reaction
(양성 지지반응)
아동을 들어서 발바닥을 몇
차례 바닥으로부터 튀게 한
다.
다리에 신근긴장이 증대되어,
발이 plantar flexion되고 무릎의 genurecurvatum 이 나타난다. 까치발 모양의 발모양을 한다.
3개월~8개월 까지 나타난다.
Negative Supporting Reaction
(음성 지지반응)
서 있을 때 아동의 체중을 발바닥에 지지한다.
신근 긴장이 이완 없이 그대로 뻣뻣하게 서 있는다.
3. Mid brain(중뇌단계)
Reflex 종류
자극
행동반응
소실시기
Neck Righting
(목 정위반사)
한쪽방향으로 머리를 돌린다.
머리가 돌아간 방향으로 전반적인 몸통 회전
이 나타난다.
생후 6개월 까지
Body Righting Acting on the Body (체간 정위반사)
한쪽방향으로 머리를 돌린다.
머리가 돌아간 방향으로 어깨가 먼저 돌아가고, 이어서 최종적으로 골반이 돌아간다.
생후 6개월 ~18개월
Labyrinthine Righting Acting on the Head①
(미로 정위반사①)
눈을 가리고 엎드린 자세로 들어올린다.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머리를 들며 얼굴을 바로 세운다.
생후 1~ 2 개월~평생
Labyrinthine Righting Acting on the Head②
(미로 정위반사②)
눈을 가리고 바로 누운 자세로 들어올린다.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머리를 꼿꼿이 세우며 입을 수평으로 다문다.
생후 6개월 부터 평생
Labyrinthine Righting Acting on the Head③
(미로 정위반사③)
prone 자세에서 골반부위를 잡고 그대로 들어올린다.
생후6~8개월부터 평생
Labyrinthine Righting Acting on the Head④
(미로 정위반사 ④)
왼쪽으로 기울인다.
Optical Righting①
(시각 정위반사①)
prone 자세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머리를 들어올리고 얼굴을 바로 세워 앞으로 보려하며, 입을 수평
으로 다문다.
생후 1~2 개월 이후 부터 평생 지속
Optical Righting②
(시각 정위반사②)
supine 자세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반사적으로 머리를 들며, 입을 수평으로 다문다.
생후 6개월 부터 평생
Optical Righting③
(시각 정위반사③)
골반을 잡고 들어올린다. 오른쪽으로 기울인다.
바른 자세를 취하려고 머리를 들어올리고 얼굴을 바로 세워 앞으로 보려하며, 입을 수평으로 다문다
생후 6~8개월부터 평생
Optical Righting④
(시각 정위반사④)
골반을 잡고 들어올린다.
왼쪽으로 기울인다.
Amphibian Reaction
(양서류 반응)
머리를 가운데 두고 엎드리게 한 후 양다리는 펴고, 양팔은 머리위로 펴게 한다. 한쪽 골반부위를 들어올린다.
들어 올려지는 골반 쪽 팔, 다리가 자연스럽게 구부려진다.
생후 6개월 부터 평생
4. Cortical(대뇌피질단계) -Equilibrium reaction
행동반응 : 천천히기울어 짐에 따라 counter reaction하는 것
5. 자율운동 반응 : 세반고리관, 미로, 목 고유감각 수용기를 자극함으로서 나타나는 움직임
-protective reaction : 엎드린 자세에서 골반을 붙잡고 갑자기 상체를 앞으로 떨어뜨릴 때
양손가락을 벌리면서 양팔을 쭉 폄(생후 6개월-지속)
**(2)grasp pattern의 종류
①Ulnar grasp : 척골측(Ulnar side)를 이용하여 잡는다.
②Palmar grasp : 손바닥을 사용하여 잡는다.
③Radial-digital grasp : 엄지를 집게나 가운데 손가락끝에 마주친다.
lateral pinch(옆으로 집기) : 작은 물체를 잡을 때 사용된다. 엄지의 adduction, MCP extension, IP flexion 상태이다. 검지는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유지한다. 엄지손가락 끝은 검지의 radial쪽, DIP jt.에 맞닿아 있다.
④three-jaw chuck : 삼지집기. 엄지손가락 끝과 둘째, 셋째손가락과의 대립형태이다.
⑤lateral pinch : 엄지손가락의 수질로 둘째손가락의 PIP, DIP의 radial side에 접한 동작이다. key grip이라고도 한다.
longitudinal arch의 안정성이 요구되는 잡기이다. 공을 쥘때 나타나는 grasp형태이다.
⑥tip pinch (끝으로 집기): 엄지와 검지의 opposition. 손가락과 엄지의 모든 관절이 부분적으로 구부러 진다. 이것은 작은 물체를 잡을 때 사용된다. cylindrical grasp(원통 집기) : 물체에 대해 손가락을 유지하기 위해서 transverse arch가 펴져야 하고 손가락은 부분적으로 adbuction, IP/MCP jt. flexion된다.
⑦spherical grasp(둥글게 집기) :wrist extension, finger adbuction, MCP, IP jt의 flexion.
⑧disc grasp : finger abduction, MCP jt.의 hyperextension, IP jt.의 flexion 상태이다.
큰 물체를 잡을 때 손목이 더 구부러진다. 엄지의 extension은 물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때 transverse metacarpal arch가 펴진다.
⑨power grasp : 도구나 물체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최대의 힘은 엄지와 손가락의 완전한 flexion에서 물체가 수평적으로 놓여졌을 때 나타난다.
출처-아동작업치료학 (현문사)
아동발달의 이해 (신정)
한국영아발달연구 (학지사)
Children adapt (SLACK)
일상생활동작학 (계축문화사, 최혜숙)
발달심리학 (학지사, 정옥분)
한국아동발달심리지원센터
  • 가격3,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11.21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98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