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환 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장환 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오장환 (1918~?)
병든 서울
<연구1> 해방공간의 환희와 민족 공동체의식을 노래
<연구2> ‘자아비판’의 관점에서
성벽(城壁)
<연구 1> 전통부정과 그 비판
<연구 2> - 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전통부정과 시인의 인식 세계
* 참고문헌 *

본문내용

던 조선 사회의 전통적 가치규범을 서자인 그가 결코 환영하지 않았으리라는 것은 충분히 짐작될 수 있는 일이다.
그리고 여기서 외적의 침략에 대항한 민족의 역사와 전통은 봉건왕조의 ‘편협한 야심’이 갖는 보수성과 동일시되면서 그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이렇게 전통의 부정이 민족의 역사가 지닌 현실적 의미까지 상실하게끔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은 그의 진보주의에의 믿음이 민족적 전통과 결합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런 의미에서 그가 “고전이 없는 슬픔인 실로 막대하다”고 탄식한 것은 현해탄을 건너온 것으로서의 문명에 그의 경험 내용을 의지할 수밖에 없는 인식적 한계를 드러낸다. 즉 국가 상실의 현상이 빚어낸 근대화의 모순성 앞에서 ‘새로움’을 추구하려는 의지가 강렬하면 강렬할수록 현실에 대한 좌절감은 비례해서 증폭될 뿐이다.
* 이은봉, 「한국 현대시의 현실 인식」, 국학자료원, 1993.
박윤우, 「한국 현대시와 비판 정신」, 국학자료원, 1999.
권영민外, 「월북 문인 연구」, 문학사상사, 1989.
<발표조 해석>
이 시에서 성벽은 역사적인 유물로 그에 어떤 가치를 부여한 것이 아니라 낡은 전통과 유습을 지키고 있는 보루로 본 것이 특이하다. 역사적인 전통을 강조하기 보다는 이미 그런 가치를 상실한지 오래고 주민들의 俗信的 차원에서 병마와 재앙을 물리치기 위해 뜨거운 물이나 끼얹고 고춧가루나 뿌리는 그런 기복의 장소로 탈바꿈하고 말았다는 것이다. 이끼와 등넝쿨로 뒤엉킨 성벽을 역사의 진전을 막는 보수적 보루로 본 오장환에게 역사와 전통에 대한 관념은 다를 수 밖에 없다. 이 역사성을 낡은 유습과 동일시 함으로써 전혀 그 가치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오히려 성벽은 “면도않은 턱어리”처러 지저분하게 보일뿐더러 옛적 외적의 침략을 막던 요새로써 기능한 역사의 의미를 이미 잃었고, 오직 인간의 마음 속에 보수의 보루를 쌓아가는 두꺼운 ‘벽’으로 보고 있다. 사물로써의 성벽을 통해 인간 내면의 깊은 마음에 쌍아진 벽으로 이끌어 보수의 벽을 허물고 새로 펼쳐지는 문명세계에 적응하는 진보적 사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 시는 오장환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안타까운 마음이 잘 드러나 있어서 외세에 대한 방어와, 지키려했던 조상들의 노력들이 물론 그 한계들이 있기는 했지만 단순히 현실의 어려움을 가져왔다고 우리 민족의 모든 전통과 가치를 무가치한 것으로 오만한 것으로 치부하는 논리적인 오류가 있지 않나 싶다. 오장환의 그러한 현실인식은 왜곡된 역사의식에 기반해 일제의 의해서 조작된 식민지 사관의 한 표현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당한 현실 인식, 나아가 역사의 발전적 수용이 전통과 과거 역사에 대한 주체적인 해석 없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오장환의 현실인식은 그리고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과거의 역사나 전통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은 타당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토론주제>
1. 오장환의 전통부정의 관점에서의 현실인식에 대하여 논하여보자.
* 참고문헌 *
권영민外, 「월북문인연구」, 시문학사, 1989.
박윤우, 「오장환 시 연구 - 비판적 인식의 변모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석사논문, 1989.
김학동, 「오장환 연구」, 시문학사, 1990.
정운화, 「오장환 시 연구」, 중앙대학석사논문, 1990.
이은봉, 「한국현대시의 현실인식」, 국학자료원, 1993.
김은전, 이승원 편저, 「한국 현대 시인론」, 시와 시학사, 1995.
고명수, 「한국 모더니즘 시인론」, 문학 아카데미, 1995.
송기한, 「한국현대시인론-오장환론」, 시와 시학사, 1995.
박윤우, 「한국현대시와 비판정신」, 국학자료원, 1999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12.02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