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신한류열풍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10 신한류열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한류 열풍의 현황
1. 한류의 정의
2. 시대별 한류
3. 2010년 한국 아이돌 그룹의 신한류 열풍
4. 한류의 순기능과 역기능

Ⅲ. 한류의 경제적 효과
1. 한류 콘텐츠 수출액
2. 생산 유발 효과와 부가가치 유발 효과
3. 간접적 파급효과

Ⅳ. 2010 신한류 전략
1. 한류지수
2. 한류지수를 바탕으로 한 신한류전략
3. 신한류가 지향해야 할 방향

Ⅴ. 마치며

참고문헌&참고사이트

본문내용

현지투자
현지시장조사
지역
전략
불법복제대책
혐한류완화
정부간교류
니치마켓탐색
유통망제휴
인력진출
현지기업제휴
인바운드관광
우회전략
교류지원사업
타산업연계
기업연계
타산업연계
유통분야진입
교류지원
쌍방향교류
킬러콘텐츠제작
지역별차별화전략
3. 신한류가 지향해야 할 방향
최근의 신한류 양상을 볼 때 한국의 ‘아시아 문화허브’로서의 잠재력은 충분하지만 자만은 극히 경계해야 한다. 향후 지역 간 수준 차이는 좁혀질 것이 자명하고, 한류의 밑바탕이 된 소셜미디어 확산, 글로벌화가 오히려 한류를 위협하게 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이미 태국, 대만 등은 한국과 비슷한 모방 콘텐츠를 양산하거나 한국인 스태프뿐 아니라 멤버까지 영입하여 수준이 급속도로 향상 중이다. 따라서 현재의 우위를 지속할 수 있는 차별화 포인트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그 핵심은 다양한 문화 콘텐츠가 공존하는 문화 저변에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현재와 같이 아이돌 그룹에만 자본이 집중되는 모습은 장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새로운 분야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과거 홍콩 누아르 영화의 몰락에는 성공 경험에 매몰되어 폭넓은 콘텐츠에 대한 ‘질’적 투지 없이 ‘양’으로 승부했던 점이 가장 큰 패착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Ⅴ. 마치며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해외 확산의 걸림돌로는 전문 인력 및 기술력의 부족, 열악한 투자 환경, 지적재산권의 침해, 전근대적인 유통구조, 대 수출국 관련 정보 부족, 그리고 투자 및 지역 전문가 부족 등 많은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국가와 민간차원에서 문화교류를 위한 국제행사, 이벤트 및 인력교류 등을 추진하고, 공동제작, 공동마케팅, 기술협력 등을 통해 아시아 문화코드의 확산에 리더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아시아 국가 간 상호 강점을 살려 문화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다.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과의 문화산업 무역수지의 차이가 확대됨에 따라 우리나라 문화상품에 대한 수출 규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무역불균형에서 오는 분쟁이나 규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관련 각국과의 문화적 교류 확산, 문화교류 활성화를 통한 공통의 제도 마련 등이 시급한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한류의 지속화와 다양화를 위해서는 방송 드라마와 음악에 집중되어 있는 한류 분위기에서 탈피해 전통문화 및 순수문화와의 교류를 통해 한류의 폭을 확대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전통문화와 순수예술을 포함하는 한국문화에 대한 대외 홍보를 강화해야 하며 이문화 교류 확대를 위한 투자가 강화되어야 한다. 반한류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일방적 문화 전파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아시아 각국의 풍부한 전통과 문화를 아우르는 ‘아시아 물결(Asian Wave)'의 선도역할을 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 정서적 거부감을 완화시키고 신뢰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쌍방향 문화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
지금 우리는 성실함 못지않게 어떤 선택을 하느냐가 성공의 관건이 되는 그런 시대에 살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문화산업은 인간의 창의력에 기반을 둔 창조산업이란 면에서 문화전쟁의 핵심은 결국 ‘사람’으로 귀착된다. 최근 미국의 경우 무게중심이 실리콘밸리에서 사람들이 대거 몰려드는 뉴욕으로 옮겨가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기술의 상징인 공대가 퇴조하는 것이 그 증거가 아닐까 싶다. 미래를 향한 큰 그림을 그려야 할 시점에서 작은 것에 일희일비하며 큰 흐름을 놓치는 우를 범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지금 세상이 살기 어렵다고들 입을 모으지만 위기는 곧 기회이고, 변화를 통해 새로운 기회가 잉태된다고 했다. 칭기즈칸이 속도를 무기로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해나갔던 것처럼, 우리도 아이디어와 창의력을 바탕으로 ‘문화, 5강’에 진입하겠다는 원대한 꿈을 가져야 한다.
참고문헌
고정민(2010), “한류지수를 통한 한류현황 및 진단”, 한국창조산업연구소.
박재복(2005), 「한류, 글로벌 시대의 문화경쟁력 - 036 SERI 연구에세이」, 삼성경제연구소.
사단법인 미디어 전략연구소(2009), “2009 해외한류의 현황과 과제”,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방정배, 한은경 등(2010), 「한류와 문화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정태수(2010), “아이돌 그룹이 이끄는 新한류시대”, 삼성경제연구소.
참고사이트
문화체육관광부 http://www.mcst.go.kr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http://www.kofice.or.kr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1.10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77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