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과학 장비를 활용한 종목별 체력훈련 프로그램 개발(논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과학 장비를 활용한 종목별 체력훈련 프로그램 개발(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A. 운영의 필요성 1
B. 운영의 목적 2
C. 실태 조사 2
D. 운영의 문제 4
E. 연구의 범위 및 한계 4
F.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7
A. 관련 이론 탐색 7
B. 선행 연구 분석 29

Ⅲ. 운영의 중점 설정 30

Ⅳ. 운영의 설계 31
A. 대상 및 기간 31
B. 운영의 절차 31
C. 운영의 조직 32

Ⅴ. 운영의 실제 33
A. 운영중점 1의 실행 33
B. 운영중점 2의 실행 40
C. 운영중점 3의 실행 44

Ⅵ. 운영의 결과 52
A. 검증내용 및 방법 52
B. 결과 분석 52

Ⅶ. 결론 및 제언 61
A. 결론 61
B. 제언 61

참고문헌 62

본문내용

전후비교
1.9000
1.3416
3.747
6
.010*
LOAD
전후비교
10.2857
28.7212
.948
6
.380
VE
전후비교
-1.5857
12.1493
-.345
6
.742
ATVE
전후비교
5.7429
6.2094
2.447
6
.050*
VO2
전후비교
-22.5714
279.6950
-.214
6
.838
VO2KG
전후비교
-2.6286
7.4899
-.929
6
.389
ATVO2KG
전후비교
3.3429
5.4482
1.623
6
.156
VCO2
전후비교
-8.5714
437.3793
-.052
6
.960
EQCO2
전후비교
-.2429
2.8389
-.226
6
.828
EQO2
전후비교
.1429
5.0520
.075
6
.943
RER
전후비교
8.571E-03
7.426E-02
.305
6
.770
VDE/VT
전후비교
-2.1357
2.0320
-2.781
6
.032*
PETO2
전후비교
.3843
.3947
2.576
6
.042*
PETCO2
전후비교
-5.2857E-02
.4698
-.298
6
.776
중장거리 여자 선수들의 호흡가스 검사에 대한 Paired T-Test 결과는 <표 41>과 같다. 운동시간(Time)은 향상되었으나, 무 산소 역치 시간(AT TIME)이 의미 있게 줄어들었다(p<.05). 남자의 경우처럼 장시간 운동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무 산소 역치 수준에서의 에너지 트레이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에너지 트레이닝을 통해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유 산소 섭취 능력의 기반이 향상되어 V'E, V'O2, V'O2Kg, V'Co2, EQCo2는 향상되었으나, 무 산소 역치 수준 또는 그 이상에서의 트레이닝이 부족하여 무 산소 역치 시간에서의 V'E(p<.05), V'O2Kg의 감소되었고, VDE/VT, PETCo2가 증가(p<.05)된 것으로 나타났다.
Ⅶ. 결론 및 제언
A. 결론
지금까지 스포츠과학 장비를 활용한 시즌별 종목별 체력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포츠과학 장비를 활용한 종목별 체력훈련 프로그램이 기초체력, 전문체력, 유 산소 에너지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2. 스포츠과학 장비를 활용한 종목별, 개인별 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처방 시스템 이 구축되어 과학적인 훈련 방법이 일반화되었다.
3. 종목별, 개인별 능력과 요구에 따라 효과적인 체력훈련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 할 수 있었다.
4. 스포츠과학 장비를 활용한 체력훈련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선수 들과 지도자들의 스포츠 과학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가 높아졌다.
B. 제언
1. 본교 10개 운동 종목외 다른 종목에서 스포츠과학 장비를 활용한 체력훈련 프로 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2. 필드 테스트를 적용한 체력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일반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3. 스포츠과학장비를 활용한 과학적인 체력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운동부에 정 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강상조, 경기종목별 체력에 관한 연구, 대한체육회 - 1987년 학생체력비교 연구
발표회, 1987.
2. 강윤석, 고등학교 아이스하키, 축구, 골프선수들의 체력과 심폐기능에 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3. 고영환외 5인,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도서출판 홍경, 1997.
4. 고재식외1인, 육상경기선수들의 체격 및 체력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22 권 제2호, 1989.
5. 고흥환, 체육의 측정평가, 연세대학교출판부, 1998.
6. 공응대, 체력운동의학, 형설출판사, 1993.
7. 국군체육부대, 엘리트선수의 체력 및 기술훈련 평가 지침서, 경민문화사, 1997.
8. 김극로외 3인, 중학교 운동선수의 체력 특성에 관한 연구, 운동과학 제7권 제2호, 1998.
9. 김기학외 6인, 건강한 성인의 체력 평가기준, 한국체육학회지 제34권 제3호, 1995.
10. 김상영,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체력 특성 및 종목별 체력 평가기준치에 관한 연구, 2001.
11. 박일순 외, 체육교육 실무 핸드북, 경기도교육청, 2001.
12. 박찬호, 종목별 운동선수들의 체격 및 체력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3. 박철빈, 건강과 운동, 태근문화사, 1994.
14. 박철호외 3인, 체육측정평가, 세종출판사, 1999.
15. 박형섭, 연령증가에 따른 체격과 체력간의 관련성 변화, 한국체육학회지 제34권 제2호, 1994.
16.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스포츠 과학,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1.
17.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 스포츠 과학, (주)천재교육, 2002.
18. 양성국외 2인, 국내 유도 및 레슬링선수의 기초체력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체육 학회지 제28권 제1호, 1998.
19. 옥정석, 운동과 건강, 태근문화사, 1994.
20. 유무열, 한일 청소년의 체격과 체력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28권 제2호, 1989.
21. 유승회외 3인, 체육측정평가, 산과들(도), 1999.
22. 윤탁영, 마라톤 선수의 체격 및 체력비교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89.
23. 이승환, 남자 중학생의 신체형태 및 운동능력의 특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24. 장경태외 5인, 트레이닝 방법론(코치들을 위한 스포츠 생리학), 태근문화사, 1993.
25. 전태원 편저, 운동검사와 처방, 태근문화사, 1994.
26. 정동춘, 기초체력 검사, 임상운동사 WORKSHOP, 대한임상운동사협회, 1999.
27. 조근종, 청소년의 체력평가를 위한 방안, 1987.
28. 조근종, 체육측정평가, 대한미디어, 1998.
29. 조현철외 2인, 운동 생리학, 도서출판 홍경, 2001.
30. 최영근외 2인, 일류선수들의 체력, 운동능력의 인자분석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26권 제2호, 1987.
31. 하성, 신체활동과 체력트레이닝, 도서출판 홍경, 2000.
32. 한국스포츠과학원, 건강과 체력의 과학적 기초, 보경문화사, 1989.
  • 가격3,000
  • 페이지수63페이지
  • 등록일2011.01.20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