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의 마케팅 사례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미샤 소개
(1) 개요
(2) 사업현황
(3) 성공/실패요인

2. 화장품 시장 분석
(1) 화장품 소비 특성
(2) 화장품 시장 특성
(3) 화장품 시장 전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4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성과 및 결론
(1) 성과
(2) 결론

본문내용

들의 입 소문을 통한 구전효과를 많이 노리고 있다. 또한 온라인상에서 구매한 고객의 재구매를 통한 잠재적인 충성고객의 형성과 앞으로의 성장성을 기대하고 있다.

2) 웹상에서의 제품홍보와 세일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
이처럼 웹사이트 상에서 미샤 자신을 자연친화적 기능성화장품이라는 점을 홍보하여 고객들에게 자신들을 positioning시키고 있다. 또한 웹상에서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제품을 홍보하고, 고객들에게 자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을 유인하고 확보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이러한 적극적인 판촉의 수단으로써 고객과 미샤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채널로써 웹사이트를 활용하고 있다.
3) 온·오프 통합 마케팅
미샤 성공의 진짜 비밀은 바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해서 생긴 힘에 있다. 미샤는 스스로 “세계 최초의 온·오프 통합 브랜드”라고 자신 있게 말한다. 아마존, 이베이 등 스타 인터넷 기업들은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팔거나 유통을 하는 순수 인터넷 기업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베스트바이, 코스트고 등 인터넷 쇼핑몰은 오프라인 기업에 뿌리를 둔 온·오프 통합이다. 델컴퓨터는 제조업에 뿌리를 두고 온라인과 전화로만 주문을 받는 비즈니스 모델로서 IT 업계의 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오프라인 유통망을 구축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세계 산업계에서 관심을 모은 기업들은 순수 인터넷 온라인 유통회사이거나 오프라인 유통회사의 온라인 사업부문 또는 자회사이다. 또 일부 제조업체가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망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에도 온라인은 오프라인 유통망의 보조적 역할을 한다. 이에 비해 미샤는 화장품 제조업을 기반으로 온라인 유통망과 오프라인 유통망을 동시에 갖춘 온·오프 통합 형태를 띠고 있다. 특히 제조업을 기반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온·오프를 동시에 장악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4) 프로슈머 마케팅
기업의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 MISSHA에서도 회사의 성장원인이 온라인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참여문화를 촉진하기 위해 커뮤니티, 블로그를 뷰티넷에 설치하여 끊임없는 네티즌의 활동을 유도했다.
6. 성과 및 결론
(1) 성과
경쟁력 없는 단지 싼 화장품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가격은 싸지만 품질이 우수하다는 것을 강조해 '기능성화장품'이라는 입지를 굳혔다. 많은 성공적인 마케팅을 이룬 미샤의 2009년 매출액은 1,811억 원으로 전년도 1,011억 원에 비해 800억 원이 늘어나 79%가 증가하는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뤘다. 그리고 에이블씨앤씨, 브랜드숍 대표주자로 발돋움 하면서 2009년 매출 1811억 원 달성에 이어 이번 2010년 3분기 매출 630억 원, 영업이익 75억 원이 전망 되고 4분기로 호조가 지속되어 올해 2300억 원 매출 달성이 무난한 것으로 예상된다. 미샤는 2010년 매출 달성이 확실시 됨 과 동시에 브랜드숍 1위 탈환도 가능 할 것이고 해외 23개국으로 진출하여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 중인데 글로벌 시장에서 Able C&C는 이미 지난 2004년 호주 시드니 1호 매장 오픈을 기점으로 해외 시장 진출을 시작, 곧바로 미국과 일본, 중국에도 진출하는 등 해외 시장에서의 활발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었고 국내 브랜드로는 보기 드물게 미국, 일본, 중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했으며 전 세계 23개국 714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월드스타인 이병헌을 일본 미샤 화장품의 모델로 기용해 본격적인 마케팅활동을 준비하는 등 향후 해외 시장에서의 본격적인 사업 확대를 바탕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뷰티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Able C&C는 두바이를 비롯한 중동지역에 국내 화장품 브랜드 중 가장 많은 총 17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데 2006년 12월 이부다비에 첫 매장을 오픈한 이래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품질, 다양한 제품군 등의 강점을 내세워 연간 100% 이상의 매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해외시장에의 성공적인 진출과 공격적인 매장 확대를 중심으로 국내 화장품 브랜드로는 최초로 나리타(도쿄), 하네다(도쿄), 간사이(오사카) 일본공항에 입점, 베네수엘라 등 남미에도 진출했으며 서유럽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어 앞으로의 글로벌 사업에도 눈부신 약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결론
미샤는 기존 화장품 산업에 존재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하며 합리적이고 정직한 기업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시장에 진입하였다. 아무도 할 수 없었던 화장품의 가격파괴를 이루어 내고 온-오프라인의 통합을 이룩하면서 고객과 함께 성공적인 미샤를 만들어 낸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미샤에게는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미샤의 저가격정책은 여전히 많은 고객들의 품질에 대해 의심을 낳고 있고, 프로모션이나 사업 확장에도 한계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미샤가 속해있는 산업의 특성상 진입장벽이 낮아 과열경쟁이 이루어지기 쉽고, 타 저가브랜드와의 차별성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미샤의 타겟층 자체가 지닌 한계도 존재하며, 오히려 이미지 마케팅 면에서는 후발주자인 더페이스샵보다 뒤지고 있다. 이러한 성공 및 실패요인의 분석 결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제품의 차별화를 통해 타 저가브랜드와의 차별성을 구축시키고 나아가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현재 미샤가 추구하고 있는 전략들은 향후에도 여전히 유용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았기에 우리는 이것들을 토대로 이론보다는 현실에서 사용 가능한 전략들을 다루었다. 미샤는 런칭 이후 지금까지는 매우 성공적인 궤도를 달리고 있다. 국내에서는 미샤 200호 점을 개장하고 많은 매니아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제는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호주 시드니매장을 시작으로 중국, 미국, 영국 등에서도 미샤를 만날 수가 있다. 이처럼 미샤는 세계 여성들이 서로의 관심을 공유할 수 있는 문화의 장을 만들어 나갈 포부를 가지고 있다. 미샤는 지금까지 걸어온 길보다는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이 많은 기업이다. 정직하고 합리적인 기업으로써 고객과 함께 그 길을 나아간다면 중소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계 속에 우뚝 솟을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2.22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1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