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타(亂打)의 성공요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공연 「난타」의 특징

(1) Non-Verbal Performance

(2) 언어 장벽 파괴

(3) 전통 리듬

(4) 드라마

(5) 관객참여

2.「난타」의 성공요인

(1) 참신한 기획

(2)차별화 된 마케팅

(3) 철저한 공연 상품화

(4) 해외 시장 개척

3.「난타」의 성과

(1) 사물놀이를 현대화에 기여

(2) 현지 평론가들로부터 우호적인 평가

(3) 연극도 고부가가치의 산업이 될 수 있다는 사실 증명

(4) 공연 관계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준「난타」

4.「난타」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1) 공연 관계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난타」

(2) 성공적인 오프브로드웨이 입성 및 꾸준한 내국인 관객 유치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재비 등의 경비는 물론, 극장 대관료까지 모두 한국측에서 지불했다. 당연히 한번 해외공연을 하는 데 들어가는 예산은 막대했으며 정부의 지원 없이는 해외공연 자체가 불가능했다. 반면 현지의 홍보 등은 미흡해 객석은 대부분 알음알음으로 온 교민들로 채워지곤 했다. 난타 지하철 1호선 갬블러 등의 해외공연은 이들과 달리 적은 돈이라도 정당한 개런티를 받고 해외로 진출했다는 데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 자동차나 반도체를 수출하듯 공연을 수출한 셈이다.
4. 「난타」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1) 공연 관계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난타」
난타공연에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독창성이 충분하지 않다. 우리나라에도 두어 차례 와서 공연을 가졌던 영국의스텀프와 공연의 개념이 매우 비슷한 것이다. 특히 수석 요리사가 홀로 무대에 남아 발구름과 손뼉치기로 관객의 참여를 선동하는 장면은 거의 복사에 가까웠다. 그리고 웃음을 최고목적으로 삼는 슬랩스틱의 성격상 배우들의 연기에 자의식이 남아 있는 것도 문제다.
(2) 성공적인 오프 브로드웨이 입성 및 꾸준한 내국인 관객 유치
장기공연은 어려운 점도 많다.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고 6개나 되는 난타 공연팀을 운영하다 보니 걸핏하면 누군가 아프기도 하고 다치기도 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난타가 장기공연을 고집하는데는 그만한 승부를 걸어 볼만한 작품이라는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난타가 생각하는 골인점은 세계 뮤지컬공연의 중심지인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에 입성하는 것이다.
내국인 관객도 마케팅하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계속 만들어갈 수 있다는 계산이다. 지금까지 "난타"의 국내 관객이 35만여 명쯤으로 추산되는데 총 100만 명은 오지 않을까 하는 게 난타팀의 계산이다. 앞으로 내국인이 65만 명쯤 더 올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난타의 꿈은 무궁무진하다. 일본 고교생들을 굳이 끌어들이는 데에도 다 이유가 있다. 난타가 추진하고 있는 뉴욕 브로드웨이와 런던의 웨스트엔드 전용관을 설립한 이후엔 일본 도쿄에 난타 전용극장을 설립할 계획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Ⅲ. 결론
국산 뮤지컬 퍼포먼스 「난타」가 400만 달러(52억여 원)의 개런티를 받고 뮤지컬의 본고장 미국에 진출한다는 것은 우리 문화상품, 특히 공연예술의 앞날을 위해 무척 고무적이다. 지난 1997년 뮤지컬 「명성황후」의 뉴욕 공연은 제작사가 극장을 임대하는 방식이었는데도 처음 브로드웨이에 진출한다는 사실만으로 문화계가 흥분했었다. 문화상품 중에서도 공연예술은 그만큼 해외시장을 파고든다는 것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그런데 「난타」는 중형승용차 2만대를 수출해야 벌 수 있는, 우리 문화상품 수출사상 최고액을 받고 미국 전역을 돌며 40주간 순회공연을 갖게됐다니 `장한 일'을 했다고 아니 할 수 없다.
주방에서 요리를 만들면서 발생한 에피소드를 사물놀이 리듬에 실어 코믹하게 구성한 비언어 뮤지컬「난타」의 성공은 지난 1천 회 돌파 기념공연을 가질 때 이미 예고됐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 했던가. 국내에서 좋은 반응을 얻는 문화상품이 결국 해외시장에서도 각광받는 예를 우리는 많이 봐왔다. 영화 「쉬리」와 「공동경비구역 JSA」의 경우도 국내관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더니 각기 120만 달러와 200만 달러의 가격으로 일본에 진출하는 개가를 올리지 않았던가.「난타」나 「공동경비구역 JSA」의 성공 사례에서 우리는 앞으로 문화상품을 어떻게 개발해야 할 것인지 그 방향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문화상품은 다른 일반상품과는 달리 단기간에 개발될 수 있는 게 아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를 하고 육성해야 한다. 정부예산 중 문화예산이 사상 처음으로 지난해 1%를 넘어선 데 이어 올해 1조원을 넘도록 책정되었으나 아직도 부족하다. 문화예산 속에 관광예산까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의 나라 살림이 아직 문화 이외의 부문에 엄청난 재정투입을 요구하기 때문에 무작정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예산만 늘리라고는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우리가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화선진국이 되어야 하고 문화예술분야에 돈을 써야 한다. 특히 척박한 공연예술 등 순수예술분야에 더 많은 배려와 지원을 해야한다. 공연예술은 일종의 사회간접자본으로 공연예술은 문화 산업발전을 위한 기초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산업경제발전, 나아가 사회발전을 위한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공연예술 부문의 자생력을 기를 수 있는 인프라(시설, 인력, 금융 등)를 정비하는데 정책적인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이고, 민간차원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예술 경영 마인드를 도입하는 동시에 최근의 공연예술계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예술과 교육의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작업등은 정부와 민간이 함께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아무튼 「난타」의 미국 수출을 계기로 이 같은 문화상품 개발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문화 경제학 만나기>> 한국문화경제학회 지음, 김영사, 2001
<<대박뒤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이대현 외, 나무와숲, 2001
주간문화교양지 CITY LIFE , 매일경제신문사, 2002. 4
난타홈페이지 www.nanta.co.kr
문화관광부홈페이지 www.mct.go.kr
각종 신문사홈페이지
- 목차 -
Ⅰ. 서론
Ⅱ. 본론
1. 공연 「난타」의 특징
(1) Non-Verbal Performance
(2) 언어 장벽 파괴
(3) 전통 리듬
(4) 드라마
(5) 관객참여
2.「난타」의 성공요인
(1) 참신한 기획
(2)차별화 된 마케팅
(3) 철저한 공연 상품화
(4) 해외 시장 개척
3.「난타」의 성과
(1) 사물놀이를 현대화에 기여
(2) 현지 평론가들로부터 우호적인 평가
(3) 연극도 고부가가치의 산업이 될 수 있다는 사실 증명
(4) 공연 관계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준「난타」
4.「난타」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1) 공연 관계자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난타」
(2) 성공적인 오프브로드웨이 입성 및 꾸준한 내국인 관객 유치
Ⅲ. 결론
참고문헌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3.07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3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