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교사의 특성, 초등학교교사의 역할,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정의,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특징,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운영,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사례, 향후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강화 방안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교사의 특성, 초등학교교사의 역할,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정의,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특징,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운영,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사례, 향후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강화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초등학교교사의 특성

Ⅲ. 초등학교교사의 역할

Ⅳ.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정의

Ⅴ.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특징

Ⅵ.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운영
1. 행정 지원면
2. 학교 시설면

Ⅶ.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사례
1. 내용
2. 방침
3. 시간표

Ⅷ. 향후 초등학교 교과전담제의 강화 방안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이러한 복수 교담 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점 교류 제도를 활성화하고, 이를 권장하기 위한 예산 마련도 시급하다 하겠다.
넷째로, 자격증 제도 및 운영은 약간의 유연성을 갖는 쪽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물론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는 말이 제도의 근간 자체를 뒤흔들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보수교육제도는 제도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제도가 아니라 기본 체제 자체를 뒤흔드는 것이므로 비상의 경우에 잠시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그 역할을 마쳐야 한다. 대신 초등교사 자격증 제도 및 운영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초등교사가 되는 길이 교대 1학년으로 입학하는 것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 다른 보완책도 마련해야 한다. 어느 제도나 너무 폐쇄적이면 부작용이 생기기 마련이다. 그런 의미에서 교대 학사 편입 제도의 활성화, 교대 대학원을 통한 초등 교담 교사 자격증 부여, 교대와의 학점 교류를 통한 사대 해당 학과 학생들에게의 초등 교담 자격증 부여 제도는 초등교원 수요를 고려하면서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이 각각의 제도가 앞에서 상세히 밝힌 전제 조건들을 먼저 충족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도 유연성이 아니라 부작용이 더 커져서 초등 교사 및 교담 교사의 자질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끝으로 초등 교사 자격증 제도 및 그 운영이 이러한 기본 원칙에 의거하여 수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초등학교 아동들의 특성에 맞는 60여년의 역사와 전통을 지닌 초등교원 교육기관이 이러한 원칙에 맞는 초등 교원을 길러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교대가 자타가 공인하는 수준에서 이러한 역할을 해내지 못하면 아무리 초등 교직이 특수성을 지니고 있고, 그러한 교사를 필요로 한다고 하더라도 체제를 바꿀 수밖에 없을 것이다.
Ⅸ. 결론
초등교사의 역할을 교과지식으로 제한하여 생각하는 사회적 풍조는 초등교사의 정년 축소와 초등교사 임용고사 같은 예에서 단적으로 확인된다. 현장 경험의 축적을 통하여 상당한 교과교육 지식과 생활경험 지도 능력이 원숙하다고 할 수 있는 경력교사는 그 능력을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고 최신의 교과지식이 부족한 교사로 단정되어 버린 것이다. 즉 초등교육 활동에서 전제되어 왔던 교과교육지식을 가르치는 것과 생활경험을 지도하는 것을 고려하기보다는 오직 교과지식에 근거한 초등교사의 능력 평가 풍조가 사회 전반에 널리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초등교사 임용고사 역시 초등교육 전반을 휘감고 있는 명제적 교과지식 강조 경향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임용고사는 당초 교사의 질 제고를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그 교사의 질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다름 아닌 명제적 교과지식의 담지 능력을 높이는 것과 다르지 않다. 임용고사는 교육학 및 개별 교과에 관한 지필고사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지필고사는 다름 아닌 명제적 교과지식의 양을 평가하는 것임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물론 교과교육 지식 또는 실천적 교육 지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전제된 내신이나 면접 등이 임용고사에 포함되어 있으나 그것이 얼마나 실현되고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또한 임용고사의 전체 비중에서 그것이 차지하는 비중이 합당한지의 여부 역시 그러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비초등교사는 임용고사를 명제적인 형식의 교육학 지식이나 교과지식을 가능한 많이 암기해야 성취할 수 있는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임용고사의 교사의 질 제고라는 본연의 목적 실현에 근접하기보다는 오히려 예비초등교사는 물론 초등교육 전반이 명제적 교과지식 중심의 사고방식으로 강화되는 촉진제로 보이기까지 하는 것이다. 지금의 초등교육은 오직 교과지식의 틀 속에서 이해됨으로써 초등­중등­고등의 연장선상에서 기초/기간보다는 하등의 의미로 위치 지워지고, 초등교사 역시 초등교육과 같은 운명에 처해 버린 것이다. 초등교사의 교과지식에 대한 강화교육 또는 계속적인 연수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정원, 교사교육 개선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 관심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백숙영, 초등학교 실과전담 교사의 소외의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심진구, 초등교육과 교사, 서울 : 교육과학사, 1992
임경희,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의 교직관과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 강원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진동섭, 초등교사 자격체제의 개선방안,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육 학술세미나 자료집, 2000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54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