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놈(게놈프로젝트) 정의와 중요성,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 배경과 내용,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 DNA칩,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 단백질,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 전략과 시사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게놈(게놈프로젝트) 정의와 중요성,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 배경과 내용,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 DNA칩,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 단백질,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 전략과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게놈(게놈프로젝트)의 정의

Ⅲ. 게놈(게놈프로젝트)의 중요성

Ⅳ.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의 배경

Ⅴ.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의 내용
1. 휴먼 게놈연구분야에서는 연구의 수준, 연구자 층의 두께, 민간투자 어느 것을 보더라도 구미, 특히 미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2. 응용분야

Ⅵ.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과 DNA칩

Ⅶ.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과 단백질

Ⅷ. 포스트게놈(포스트게놈프로젝트)의 전략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 개발 전략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지난 4년간 100대 pre-commercialization biotech company가 alliance로 벌어들인 총 수입은 73억불에 달하는데, 이 중 가장 큰 부분이 technology platform을 기반으로 하는 회사로서 전체의 61%를 점하고 있으며, 그 뒤를 질병 위주 연구개발 회사(32%), 약물전달 기술 개발 회사(7%)가 따르고 있다. Technology platform 기반 회사들의 기술 별 분포를 보면,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yte Genomics, Human Genome Sciences 등 1세대 genomics 회사들이 전체 44억불 중 35%에 달하는 15억 5천만 불, Affymetrix, Gene Logic, Curagen, Exelixis 등 2세대 genomics 회사들이 9억 3천만 불(21%), Regeneron, Aurora Biosciences, Ligand Pharmaceuticals 등 screening 기술 기반 회사들이 8억 9천만 불(20%), Vertex, Ariad Pharmaceuticals 등 chemistry 기반 회사들이 7억 5천만 불(17%), 그리고 Cell Genesys, Vical 등 gene therapy 회사들이 나머지 3억 천만 불(7%)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약물전달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는 회사들이 벌어들인 5억 2천만 불을 합치면 전체 alliance 시장의 68%에 달하는 49억 2천만 불을 technology platform을 기반으로 하는 회사들이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여러 복합기술을 필요로 하는 질병 위주의 product 개발에 비해 특정한 기술에 집중하여 개발할 경우 승산이 있을 수 있다는 것으로 우리나라와 같이 경험이나 자원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적합한 개발 전략이라 할 수 있겠다.
Ⅸ. 결론 및 시사점
post-genome 시대의 바람도 보는 관점에 따라서는 지난 80년대의 유전공학 바람과 흡사한 부분이 있다. 제약회사는 물론이고 굴지의 재벌 회사들, 화학 및 식품 관련기업들이 저마다 생명공학을 주력 사업의 하나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경쟁적으로 발표하고 있고, 정부에서는 어떻게 생물 산업을 육성하고 이에 필요한 인력을 어떻게 하면 양성할 수 있는지 묘안을 짜내느라고 애를 쓰고 있다. 80년대 초에 석사 과정을 마치고 산업체에 몸담으면서 유전공학 바람 덕을 보았고, 이제는 40대 중반의 중견 연구자 및 관리자로서 아직도 활발하게 생명공학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본인으로서는 지금 불고 있는 생명공학 바람이 아주 운이 좋은 것이라고 여겨질 만큼 기분이 좋으면서도, 마냥 신나지 만은 않은 구석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즉, 새 천년에 불고 있는 이 바람이 지난 80년대의 바람과 같이 힘없이 사그라져서는 안 되겠다는 조바심이 한편에 있는 것이다. 생명공학 분야에 몸담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는 지금 불고 있는 생명공학 바람이 국가적인 결실을 맺도록, 그래서 이 바람이 꾸준하게 오랫동안 불 수 있도록 할 의무와 책임이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 포스트게놈 전략 , 2000
벽호, 유전공학의 놀라운 세계, 과학세대, 1997
유대현·송창우·유영춘·박승용, 게놈기능연구 프로토콜, 월드사이언스, 1987
장은성, 인간게놈계획, 책과공간, 2000
Cook-Deegan, 인간게놈프로젝트, 민음사, 1994
DNA 프로필 연구회, 유전자감식, 탐구당, 2001
D.P snustad·M.J simmons, 최신유전학, 범한서적주식회사, 2002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3.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9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