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국자감,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학당,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향교, 고려시대 사학 교육기관 12공도(12도), 고려시대 사학 교육기관 서당, 고려시대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심층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국자감,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학당,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향교, 고려시대 사학 교육기관 12공도(12도), 고려시대 사학 교육기관 서당, 고려시대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국자감
1. 개념
2. 편성

Ⅱ.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학당

Ⅲ.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향교

Ⅳ. 고려시대 사학 교육기관 12공도(12도)
1. 등장시기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5. 교육특성

Ⅴ. 고려시대 사학 교육기관 서당

Ⅵ. 고려시대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1. 성재, 월포, 방회재, 최충
2. 회헌 안향
3. 목은 이색
4. 포은 정몽주

참고문헌

본문내용

⑦聖人의 道를 위한 일용 윤리사상을 주창하다.(1일1선 하루 한 가지 이상의 선을 행한다.)
3. 목은 이색
①전인교육
②체육교육 cf)원광법사의 ‘문무겸비된’과 같다.
③여가교육
④교수발달 5단계 : 법문강의 → 토론전개 → 의견절충 → 주지의 합 → 방법(개성신장, 적용)
cf) 서양의 헤르바르트 : 교수4단계(명료, 연합, 계통, 방법)
이색과 헤르바르트의 공통점 : 학생의 능력에 따라 체계적인 발달 이끔
⑤유성불심동일론 : 학문과 종교의 근본가치가 동일하다.(항존주의 교육사상(학문, 종교, 철학, 인간본성이 같다)과 같다)
4. 포은 정몽주
①교육목적을 도덕적 실천인에 두었다.
②교육적 인간상을 충군신의인(忠君信義仁)으로 설정하였다.
③교육사상은 유학사상을 궁리, 실천함에 두었다.
④교육방법을 박학심문에 두었다.
박학심문 : 교사는 풍부한 지식과 경험의 습득을 통해서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교수활동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귀납적 교수법)
⑤중등 교육기관인 학당을 5부 학당으로 개편하는데 아주 큰 역할을 하였다.
참고문헌
김시업(1996), 목은의 군자의식과 민생, 풍속시, 목은 이색의 생애와 사상, 목은연구회, 일조각
문음사(2002), 한국의 교육사상사, 이문원
신천식(1998), 목은 이색의 학문과 학맥, 일조각
이이화(1993), 이야기 인물한국사1-사상과 학문의 주역들, 한길사
정성식(1991), 정포은의 역사의식과 사회사상, 한국철학논집, 한국철학사연구회
정성식(2003), 포은과 삼봉의 철학사상, 심산문화
황인규(2006), 고려시대 유생의 서재(서재)와 그 문화, 한국교육사학

키워드

국자감,   학당,   관학,   향교,   서당
  • 가격5,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4.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2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