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축적의 장으로서 도시-하비의 건조환경론 및 도시공간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자본축적의 장으로서 도시

Ⅰ. 하비의 도시공간관: 도시공간의 정치경제학적 이해

Ⅱ. 건조환경으로서 도시

Ⅲ. 건조환경의 형성 기제와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잉여자본)
가 상품형태나 생산용량으로만 있게 되면 곧바로 하부구조로 투입될 수
없다. 더욱 건조환경의 투자는 대규모 장기적인 사업이어서 정싱적인
방법으로 그 가치의 실현을 보장받지 못한다. 이 때문에 자본이 제2차
순환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조절조건이 있어야 한다. 하
나는 자본을 "화폐자본화"하거나 "가공자본"으로 창출할 수 있는 신용
체계와 화폐공급의 조절조건이다. 또 하나는 자본의 흐름을 통제하고
조정하면서 투자자원 및 재원관리를 담당하는 국가의 조절이다.
하지만 이러한 형성기제가 사회적으로 실제 작동하기까지는 이를 둘
러싼 사회세력들간의 갈등관계를 필연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는 곧 건
조환경의 실제적 형성은 이를 둘러싼 계급갈등의 함수인 것을 의미한
다. 건조환경형성을 둘러싼 계급갈등은 지주, 부동산회사와 같은 지대
전유자, 건설자본, 자본일반, 노동자집단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 네 가
지 분파간에는 상호중첩된 이해관계가 교차되어 있지만 크게 나누어보
면, 지대전유자, 건설업자, 금융자본 등과 같은 자본세력과 생활현장에
서 발생하는 이차적 형태의 착취에 대항하는 노동자세력 간의 대립경
쟁 갈등관계를 기본축으로 한다.
사회적 갈등을 매개로 구체적인 형태의 건조환경이 출현하지만, 자본
주의체제하에서 건조환경의 근본적인 기능은 자본논리에 종속적이다.
즉 건조환경은 생산과 소비를 지원하는 포괄적인 기능에도 불구하고 그
논리는 근본적으로 자본순환논리를 따른다. 이는 1차 순환으로부터 2차
순환으로 자본의 유입이 본질적으로 1차 순환에서 발생한 자본과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건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비
는 건조환경으로 자본의 흐름을 근본적으로(장기적으로) 전체 자본순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축적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공간적 해결
장치(spatial flx)'로 규정한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전체 자본순환과정
과 연계된 건조환경투자는 일정 기간 과잉축적의 운제를 '시간적공간
적 전치(轉置)'를 통해 길게 늘어뜨려놓은 것이 된다.
이 조건은 건조환경의 한계를 구성하게 된다. 제1차 순환의 과잉자본
이 전치되는 건조환경은 장기적인 국면에서는 제2차(그리고 제3차) 순환
으로 과잉투자가 이루어짐에 따라 또 다른 위기를 맞게 된다. 이 위기
는 제1차 순환의 과잉축적이 제2차, 제3차 순환의 과잉투자로 전이되어
결국 자본의 가치저하, 즉 '고정자본과 소비기금의 평가절하 혹은 가치
잠식(devalorization)'을 초래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이 평가절하로
말미암아 기존 도시의 물적 시설이나 환경은 자본축적과 노동력 재생산
기능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점차 폐기나 방기되는 상황
에 처하게 되는데, 서구 선진국의 전통적 공업도시들의 쇠퇴는 바로 이
러한 과정의 결과적 현상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 방기는 또한 새로운 건
조환경을 모색하는 출발점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자본주의적 발달에 따
른 건조환경의 보전과 파괴를 계속 반복하게 만드는 조건으로 작용한다.
하비의 건조환경론은 자본운동의 역동적 순환구조 속에서 도시공간
의 형성과 그 존재적 속성을 밝혀내는 독특한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그에 대한 비판도 적지 많다. 우선 제2차 순환으로 잉여자본 혹
은 과잉자본의 전이가 반드시 도시공간개발괴정과 결합되어 있는가 하
는 근본문제가 제기되어왔다. 일국적도시적 차원에서 볼 때 잉여자본
의 형성 정도가 건조환경부문으로 투입될 수 있는 객관적 여건이 충족
되지 않거나 불황기인 경우에도 개발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도
시문제(the urban question)의 설정이 "자본축적과정에서 과잉자본이 건
조환경으로 전입됨으로써 발생한다"는 관점에 너무 치우치다 보니, 도
시사회의 계급 관계나 갈등의 측면이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있다. 이러
한 한계는 하비의 도시론이 지리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도시공간의 정
치 경제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했던 것에 연유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동일한 마르크스주의의 계열에 있지만 그의 학문세계는 카스텔
과 여러 가지 측면으로 대조가 된다.
*참고문헌
-강현수. 2000, ‘도시관리주의와 소비도시사회학’
-강대기. 1995, ‘현대도시론’, 민음사
-한국도시연구소. 1998, ‘한국도시론’, 박영사
-피터 손더스 지음, 김찬호외 옮김. 1998, ‘도시와 사회이론’, 한울
-권용우 외. 1998, ‘도시의 이해’, 박영사
-김한준 외, 1999. ‘현대도시무제의 이해’, 한길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25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8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