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적 면담) 정신과적 면담의 목적 및 특성과 면담의 실제와 기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정신과적 면담

Ⅰ. 정신과적 면담의 목적 및 특성

Ⅱ. 다루기 어려운 내담자의 면담

1. 망상이 있는 환자
2. 우울증 환자
3. 난폭한 환자
4. 히스테리성 환자
5. 편집증 환자

Ⅲ. 면담의 실제

Ⅳ. 치료자와 내담자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

1. 전이
2. 역전이
3. 저항
4. 비밀보장
5. 치료적 동맹

Ⅴ. 면담기법

1. 면담촉진 메시지
2. 면담방해 메시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중 일어난 것에 대한 심
리적 이해를 잘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초심자는 면담에 익숙하지 않아 불안함을 느끼기 때
문에 면담 내내 질문을 하거나 설명을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렇게 되면 내담자는 부인을
하고 치료자가 자신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느낀다. 따라서 침묵은 초심자들이 반드시 익
숙해져야 할 면담의 촉진제이다.
· 해석 '. 해석(interpretation)이란 내담자가 이야기한 경험내용에 치료자가 새로운 의
미와 관계성을 부여하여 언급하는 것이다. 즉, 내담자가 미처 자각하지도 못하고 있는 의
미와 관계성을 치료자가 지적해 주는 것이다. 내담자를 깊이 이해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이다.
· 정점질문 : 점검질문(checklist questions)이란 내담자가 특별한 상황에 대해 세밀하
게 대답하지 못하는 경우 그 상황에 대한 내담자의 일련의 가능한 반응을 정확히 설명하
며 질문하는 것이다.
· '나는 원한다'식의 메시지 :'나는 원한다'식의 메시지('I want' message)란 내담자가
한 가지 주제에 매달리려고 하여 면담이 잘 진행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때 치료자가 다른
영역으로의 이동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 이행 : 이행(transitions)이란 내담자에게 한 가지 주제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얻게 되
었다는 생각을 전달해 주고 내담자로 하여금 다른 주제로 넘어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 자기노출 : 자기노출(self disclosure)이란 치료자가 자신의 생각과 느낌, 삶의 경험에
대해 밝히는 말을 하는 것이다. 적절히 사용하면 내담자가 민감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
거나 치료자와 내담자가 좀 더 편안하게 관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치
료자가 지나치게 자신을 드러내려고 하는 것은 치료자가 자신의 채워지지 않는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하는 것이거나 치료자로서의 역할을 남용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내담자
가 치료자 신상에 대해 물어 보았을 때 밝힐 것인가를 신중히 결정하여야 하며, 대답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을 때에도 물어 본 내담자를 무안하게 해서는 안 된다.
(2) 면담방해 메시지
면담방해 메시지(obstructive messages)란 치료자의 연상 흐름을 방해하거나 자연스러
운 대화를 저해하여 치료적 동맹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면담방해 메시지
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과다한 직접질문 : 과다한 직접질문(excessive direct questions)이란 치료자가 내담자
로부터 한 가지 반응만을 유발할 수 있는 질문을 과다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 성급한 주제전환 : 성급한 주제전환(preemptive topic shifts)이란 내담자의 연상을 고
려하지 않고 너무 빨리 주제를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 조급한 충고 : 조급한 충고(premature advise)란 치료자가 내담자로부터 충분한 정보
를 얻지 못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개입시키지도 않은 채 내담자에
게 뭔가를 하라고 얘기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내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 거짓안도 : 거짓안도(false reassurance)란 내담자에 대한 불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치
료자가 막연히 뭔가 잘될 것이라든지 무슨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 동의 없이 면담을 하는 경우 : 동의 없이 면담을 하는 경우란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뭔
가를 해 주려고 할 때 내담자의 이유나 동의 없이(doing without explanation) 면담을 하
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되면 치료자는 내담자가 의문의 여지없이 자신의 권위를 받아
들이고 내담자가 수동적으로 받기만 하는 사람이라고 잘못 생각하게 된다.
· 조롱하는 경우 : 조롱하는 경우란 치료자의 질문의도가 내담자를 조롱하고 괴로움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반드시 피해야 한다.
· '당신의 잘못이야' 메시지 :'당신의 잘못이야 메시지('You are bad' message)란 치료
자가 해석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내담자에게는 비난으로 받아들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김광웅(2008). ‘현대인과 정신건강’. 서울: 시그마프레스
-정원철(2007). ‘정신보건 사회사업론’. 고양: 공동체
-권석만(200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상아 · 박웅섭(2006). ‘정신질환과 사회보장’. 서울: 보문각
-신창식 외(2007). ‘지역사회정신보건정책 및 서비스’. 서울: 다운샘
-원석조(2001). ‘사회문제론’. 파주: 양서원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5.0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