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 사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 사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보육 사업의 개념
2. 보육 사업의 역사
3. 보육 사업의 종류와 기능
4. 보육시설 종사자의 역할
5. 외국의 현황

본문내용

비용을 부모가 부담하지만, 각 시설별로 많은 장학기금을 가지고 있어서 가정 형편에 따라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 저소득층의 자녀들은 연방정보가 많은 예산을 들여 추진해 오고 있는 헤드스타트운동의 혜택을 맞고 있다.
3) 영국
영국은 초등학교 과정을 5세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5세아는 전원 무상교육의 혜택을 받고 있다. 1997년 5월 노동당이 집권한 후 특히 4세아에 대한 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5세미만의 유아를 위한 교육 및 보육기간은 여러 형태가 있다. 교육은 교육노동부 및 지방교육당국 관할이며, 보육은 사회보장부 및 지방정부 관할이다. 공립의 교육기관으로는 지방교육당국 유아학교와 유아학급이 있다. 유아학교(Nursery school)는 지방교육당국에 의해 운영되며 독립된 별도의 건물을 가지고 있고 2.5~4세 유아를 위해 무상으로 교육한다. 주 5일, 9시부터 15시 30분까지 운영된다. 유아학급(Nursery class)은 2.5~4세 유아를 위한 학급을 초등학교 내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기타 초등학교 내 준비반이 있어서 5세가 시작되는 해에 아직 생일을 맞이하지 않은 유아는 초등학교에 미리 들어갈 수 있다. 이런 유아들을 위한 학급이 준비반(Reception class)이다. 4세아로서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동의 비율이 81.7%이다(OECD, 1996, 118)
사립 유아학교(Independent nursery school)의 운영시간과 기간은 지방교육당국 유아학교와 유사하나 수익자가 부담하는 교육비에 의해 운영된다. 전일제와 반일제로 운영되며 약 3%의 아동이 등록하고 있다. 그 밖에 놀이집단(play group)이라는 것이 있어서, 3~4세아에게 놀이를 통한 교육을 제공할 목적으로 운영된다. 비용은 부모가 부담하며 부모들로 구성된 위원회에 의해 경영된다. 지방정부의 사회복지국에 등록해야 한다. 1주일에 2~3회, 하루에 2~3시간 참여한다. 3~4세 아동의 약 60%가 놀이집단에 참여하고 있다.
공립의 보육기간으로는 지방정부가 운영하는 탁아소(Day nursery)가 있다. 0~4세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7시 30분부터 18시까지 전일제로 보호하고 있다. 5세미만 아동의 약 1%가 탁아소의 도움을 받고 있다. 그밖에 통합유아센터(Combined nursery center)는 지방교육당국과 지방사회복지국이 연합하여 운영하며 전일제이다. 교육은 부상이며 보육비는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차등 부담한다. 또한 가정탁아소(Childminder)는 사회복지국에 등록한 자가 자기 가정에서 5세미만의 아동을 하루 2시간이상 돌본다. 비용은 부모가 부담한다. 아버지를 비롯한 친척이 돌보는 경우도 약 10~15%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4) 프랑스
프랑스에서 아동 양육의 책임은 사회 전체에 있으며, 모든 보육과 교육시설의 운영은 정부의 책임하에 무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보육시설은 2개월에서 3세 미만, 유치원(명칭은 모친 학교, Ecole maternelle)은 2세부터 5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2세아 중에는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도 있다. 보육시설은 보건사회부에서 관할하고 유치원은 교육부에서 관할한다.
프랑스에서 유치원은 대부분 시에서 운영하며, 유아교육은 의무교육은 아니나 무상교육이다. 유치원 운영비 및 교구·비품비의 65~80%는 중앙정부에서 지원하고 나머지는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한다. 교원 봉급은 100% 중앙정부가 부담한다. 유아들의 점심식사비는 지방자치단체의 지 원과 부모들의 소득수준에 따라 분담한다. 사립유치원도 약 20%있으나 정부의 지원과 통제를 받는다. 주민이 2000면이 넘을 경우 시는 의무적으로 유치원을 설립해야 하며, 2000명이 안되는 경우에는 초등학교에 유아반을 설치한다. 유치원은 대부분 종일제로 운영된다.
5) 스웨덴
가장 선진화된 영유아 보육체제를 갖추고 있는 스웨덴의 경우 보육서비스는 모든 가정이 누릴 수 있는 권리로 인정된다. 보육 비용은 원칙적으로 공공 기금에 의존하며, 부모가 부담하는 부분은 젠체의 10~15%에 불과하다.
보육 서비스 형태는 크게 보육시설과 유아학교로 나뉘어지며, 1~12세까지 그 대상이 된다. 스웨덴은 보육시설과 유아학교 모두 보건복지부가 관장해 왔다. 그러나 유아교육을 생애교육의 한 부분으로서 초등교육과 연계하겨 국민 기초교육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입장에서, 1996년 7월 1일부터 유아교육과 보육시설에 대한 관할 부처를 교육과학부로 이전하였다.(나정 외, 1997, 17)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5.08
  • 저작시기200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