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읽기지도,듣기지도,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어휘지도,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교육과정 비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읽기지도,듣기지도,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 어휘지도,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교육과정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교육과정 개정

Ⅲ.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교육과정 기본방향
1. 음성언어중심 영어교육
2. 학생중심 영어교육
3. 과정중심 영어교육
4. 실용영어중심 영어교육

Ⅳ.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수준별교육과정
1. 초등 영어 수준별 교육 과정의 편성원칙
2. 초등 영어 수준별 교육 과정 운영
3. 수준별 교육 과정에서 초등 영어 평가

Ⅴ.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읽기지도
1. 읽기의 정의 및 목적
2. 독해 과정 모형
1) 상향식 과정(bottom-up processing)
2) 하향식 과정(top-down processing)
3) 상호 작용 모형(interactive processing)
4) 단계적 읽기 모형
3. 읽기 지도의 단계
1) 선행 활동 단계(The Prereading Phase)
2) 읽기 중 학습(The while-reading Phase)단계
3) 읽기 후 학습(The Postreading Phase)단계

Ⅵ.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듣기지도
1. 듣기 지도의 원칙
1) 지도 기법은 본질적으로 동기를 부여해 줄 수 있어야 한다
2) 지도 기법은 실제 언어와 맥락을 활용해야 한다
3) 청자의 반응 형태를 주의 깊게 고려해야 한다
4) 스스로 듣기의 책략을 개발하도록 해야 한다
5) 상향식, 하향식 듣기 기법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2. 초보 학습자를 위한 듣기 지도의 내용
1) 상향식 연습
2) 하향식 연습
3) 상호작용적 연습
3. 듣기 지도 기법
1) 교실 영어
2) 신체 반응 활동(Physical Response Activities)
3) 제한적 언어 반응 활동
4) 일치 연습(Congruence Exercises)
5) 기능 연마 활동(Skill-Building Activities)

Ⅶ.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어휘지도

Ⅷ.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교육과정 비교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등에 관련된 어휘가 포함되며, 기본적인 동사에는 일상생활 중에 규칙적으로 또는 흔히 하는 행동 등과 관련된 친숙한 어휘가 포함된다고 구분해 놓았다.
이에 대해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영어 편에 수록된 의사소통 활동을 위한 사회문화적 주제와 그 언어표현을 보면 사회적 관례(만날 때 인사, 작별 인사, 감사, 사과, 응답, 소개), 사람 또는 사물의 신원 밝히기(이름, 직업, 나이, 사물 묻고 답하기), 인체의 주요 부분(인체의 부분 이름, 특징, 인체와 관련된 특정 동작 말하기), 위치 표현(사람이나 사물의 위치, 사는 곳을 묻고 말하기), 시간표현(시간, 요일 묻고 답하기), 소유 표현(소유 묻고 답하기), 수량 표현(1-100, 수나 양, 전화번호 묻고 답하기), 감정 및 신체적 상태 표현(감정, 신체적 상태 표현), 가족(가족 관계), 음식물(음식물 이름, 식사), 주택(방의 이름, 가구와 가정용품, 집안 부분의 이름 묻고 답하기), 학교(학교 구성원, 위치, 교실 물건 이름), 직업(직업의 종류), 계절날씨 및 의류(계절, 날씨, 의복 묻고 답하기), 정중한 표현(부탁할 때 공손한 표현, 감사의 표현, 사과의 표현), 스포츠(좋아하는 스포츠에 대해 묻고 말하기) 로 구분해 놓았다.
따라서 초등 영어 교육에서 기본적으로 가르쳐야 할 어휘들은 교육과정상에 명시된 의사소통 활동을 위한 사회, 문화적 주제와 그 언어 표현에 쓰이는 어휘를 기준으로 지도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해설(IV)에 명시된 기본 어휘표에는 800개의 어휘가 수록되어 있다.
또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서에서는 3학년에게 사용하도록 권장한 어휘 수는 100 낱말 내외, 4학년은 3학년에서 사용한 어휘를 반복하여 사용하되 100개 내외의 낱말을 추가하여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5학년에서는 3, 4학년에서 사용한 어휘를 반복하여 사용하되, 150개 내외의 낱말을 추가하여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6학년은 3, 4, 5학년에서 사용한 어휘를 반복하여 사용하되 150개 내외의 낱말을 추가하여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만일, 학년별로 권장한 어휘량을 대부분 다 배운다면 3학년에서 6학년에 걸쳐서 모두 배우는 어휘의 수는 약 500개가 될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에서는 학년별로 배우는 한 문장의 길이를 3, 4학년은 7단어 이내, 5, 6학년은 9단어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면 한번에 얼마나 많은 양의 어휘를 어느 수준에서 어떻게 가르쳐야할까? 이 질문에 정답은 없을 것이다. M. Finocchiaro(1986)은 수업 한 시간당 8-9세는 4-5개의 새로운 단어, 10-11세는 7-8단어, 그 이후- 중학생은 15-20개의 단어를 배우는 것이 적당하다고 한다. 현장 교사가 각자 자기가 처해있는 환경이나 학생의 수준과 능력 등 여러 학습 요인들을 분석하여 어휘의 학습력과 수준, 지도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반드시 그 어휘 목록만을 가르친다고 하기 보다는 교사가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어휘 수와 어휘 수준을 조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Krashen(1985)은 학습자에게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People acquire second languages only if they obtain comprehensible input.
이것은 학습자가 보유하고 있는 현재의 언어능력 I 보다 한 단계 위인 i+1의 언어 입력 자료가 언어 습득에 있어 유용하다는 것으로 어휘가 입력될 때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하여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Ⅷ. 초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교육과정 비교
구분
제6차 교육과정
제7차 교육과정
차이점
목표
초등학교 영어, 중학교 영어, 고등학교 영어의 목표 제시
영어과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목표 제시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영어, 중학교 영어, 고등학교 공통 영어의 목표가 각각 제시되어 있으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영어과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의 목표로 통합하여 제시함
내용
내용 체계
1. 언어 기능
가. 이해기능
1) 듣기
2) 읽기
나. 표현기능
1) 말하기
2) 쓰기
내용 체계
1. 언어 기능
1) 듣기
2) 말하기
3) 읽기
4) 쓰기
‘이해/표현 기능’을 구분하고 듣기-읽기-말하기-쓰기로 제시된 현행 교육과정의 제시 순서를 개정안에서는 이해/표현 기능 구분없이 듣기-말하기-읽기-쓰기로 제시
현행의 ‘언어 재료’의 내용 속에 ‘문화’를 추가하고 ‘발음’을 ‘언어’로 바꾸어 제시
개정안에서는 ’단일 문장의 길이‘를 3-6학년에서만 제시
어휘 수가 변화됨
제6차 교육과정
3학년:100 낱말 내외 4학년:100낱말 내외
5학년:150낱말 내외 6학년:150낱말 내외
<전체 500낱말 내외> 내외
제7차 교육과정
3학년:80-120낱말 내외 4학년:80-120낱말 내외
5학년:90-130낱말 내외 6학년:90-130낱말 내외
<전체 450낱말 이내>
Ⅸ. 결론
영어는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언어이다. 그러므로 세계의 흐름에 동참하여 국가와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세계인으로서 질 높은 문화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영어로 의사 소통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영어는 학생들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로서 의사소통의 바탕이 되는 언어 기능 교육, 그 가운데서도 음성 언어 교육이 주가 된다. 문자 언어 교육은 쉽고 간단한 내용의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내용으로 하되, 음성 언어와 연계하여 내용을 구성한다.
참고문헌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1997
이계순, 영어 교육, 서울 개문사, 1986
이완기, 초등영어교육론, 서울 문진당, 1996
최진황, 영어수업모형과 교실영어, 서울 민족 문화 문고 간행회, 198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영어과 수준별 교육 과정 적용 방안과 교수-학습 자료, 1998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대구지회, 초등영어수업과 실제, 대구 일일사, 2001
한국초등영어교육연구회, 초등영어, 서울 한국초등영어교육연구회, 2000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5.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