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삼][해삼 영양성분][해삼 증식][해삼 가공][해삼 양식현황][한국 해삼양식 사례][중국 해삼양식 사례]해삼의 영양성분, 해삼의 증식과 해삼의 가공, 해삼의 양식현황 및 한국 해삼양식 사례, 중국 해삼양식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삼][해삼 영양성분][해삼 증식][해삼 가공][해삼 양식현황][한국 해삼양식 사례][중국 해삼양식 사례]해삼의 영양성분, 해삼의 증식과 해삼의 가공, 해삼의 양식현황 및 한국 해삼양식 사례, 중국 해삼양식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해삼의 영양성분

Ⅱ. 해삼의 증식
1. 자연채묘 중간육성
2. 인공채묘 육성
1) 어미 해삼의 채포, 양성
2) 채란법
3) 부유유생 사육
4) 채묘법
5) 어린 해삼 사육
6) 중간육성
7) 양성(축양)

Ⅲ. 해삼의 가공
1. 건해삼의 통조림
2. 생선 해삼의 근육과 그 통조림

Ⅳ. 해삼의 양식현황

Ⅴ. 한국의 해삼양식 사례

Ⅵ. 중국의 해삼양식 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님, 모래, 완전한 갯벌이 아닌 갯벌
취수
펌프를 통한 취수 지하수를 퍼올리는 방법
육상수조 크기
10㎥~75㎥
Ⅴ. 한국의 해삼양식 사례
해삼의 세계 최대의 생산, 소비시장인 중국의 경우 연간 약 10억 마리 이상의 인공종묘가 생산되고 있는데, 이들 종묘는 육상양식과 바다를 이용한 축제식 양식, 가두리 양식, 마을어장에 종묘를 뿌려 양식하는 씨뿌림 양식용 종묘로 활용되고 있다.
중국에서의 해삼 인공종묘생산 기술은 그동안 크게 발전하여 1개 종묘생산 업체에서 1천만 마리 이상의 종묘를 생산한 곳이 많다. 중국의 해삼 종묘생산 시설은 대부분 기존의 전복과 가리비 종묘생산시설을 재활용하고 있으며, 풍부하고 값싼 인력을 투입하여 대량생산에 돌입하고 있는데, 자국 국민의 해삼에 대한 선호도가 우리나라의 김치 수준 정도로 높아 해삼 양식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삼 인공종묘생산은 국립수산과학원 산하 포항, 강릉수산종묘시험장에서 1990년부터 기술개발이 처음 시작되어 어촌계 및 어업인의 수요량에 따라 매년 10만~20만 마리 수준으로 종묘를 생산 공급해 왔다. 도립수산종묘시험장이 차례로 설립됨에 따라 해삼 인공종묘생산기술을 대량생산 설비가 갖추어진 도립수산종묘시험장에 이전하여 생산을 유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해삼 인공종묘생산을 전면 중단한 바 있다.
그러나 국내 각 도립수산종묘시험장의 연간 전체 해삼 인공종묘생산량은 18만 마리에 불과하여 국내종묘수요량에 크게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에서는 국내 해삼종묘의 완전 자급화를 이룩하기 위해 3년간에 걸쳐 ‘해삼양식기술개발연구’를 해양수산부의 수산특정연구개발과제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위탁을 받아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해삼의 대량 인공종묘생산기술, 육상 및 축제식을 이용한 양식기술, 연안어장의 씨뿌림양식 기술개발이 주요 과제로 수행되고 있으며, 개발된 기술들은 즉시 생산현장에서 어업인에게 보급시키고 있다.
Ⅵ. 중국의 해삼양식 사례
해삼양식은 중국에서는 축제식 양식장 또는 지선어장에서 종묘를 살포하여 양식하고 있는 실정이며 해삼종묘생산도 대량생산체제를 갖추고 400평 규모의 배양장에서 600만마리 이상을 생산하고 있었다.
중국 양식장은 종묘생산시 사료를 자체개발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축제식 양식장에서 양성시 사용하는 사료로 자체 생산 공급하고 있었다.
사료원료는 해조류, 패각, 갑각류, 어분 등을 건조 분쇄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해삼은 고문헌(이시진/본초강목)에 건강식품으로 인식되어 있어, 매년 일 정 이상의 소비는 보편화되어 있었다.
소비와 가격이 전년에 비해 많이 상승한 상태였으며, 길거리 가게에도 해삼영양소라는 간판으로 다양한 제품(캡술 등) 형태로 건강보조식품으로 판매하고 있었다.
중국에서의 해삼은 면역기능강하제, 노화방지제, 정력제 등으로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최고급식품으로 인식되어 꾸준한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생해삼 18,000원/kg, 건해삼은 285,000/kg, 염장자숙 해삼은 54,000/kg으로 가격면에서도 고가로 우리나라 보다 2배정도 비싼 가격이다. 해삼양식은 사료비가 적게들고 고가로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종묘생산을 대량으로 하며 마을어장에 살포하여 양식하고 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하여 대량생산한다면 중국에 수출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품종이다.
참고문헌
◎ 국립 수산 진흥원 여천 종묘 배양장(1993), 패류 양식 기술 개발 현황과 전망
◎ 남해 수산 종묘 배양장(1996), 패류 인공 종묘 생산 및 관리
◎ 부산 수산 대학(1996), 천해 양식
◎ 제주대학교(1998), 수산양식(하), 대한교과서(주)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