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허생전 - 교수학습 지도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본시 ( 5 / 8 차시 ) 교수․학습안

판서계획

※ 참 고 ※

본문내용

재편성
1. 평민 의식의 각성으로 존경의 대상이었던 양반 사대부가 야유와 풍자의 대상이 되었다.
2. 경영형 부농(經營型富農)이 생기고,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양바니 생겼다.
3. 신흥 상인 계급이 등장하여, 화폐가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상업 자본이 집적되었다.
(3) 실학사상 : 몰락한 남인을 중심으로 실사구시(實事求是)와 이용후생(利用厚生)으로 구세제민(救世濟民)을 주창하는 새로운 학풍이 등장했다.
'빈 섬'의 의미
허생은 빈 섬에 자신이 구상하고 있는 이상국 건설을 꿈꾸지만 현실적 한계 때문에 실패한다. 이는 허균의 '홍길동전'에 등장한 '율도'와 맥락을 같이 한다.
'홍길동전'의 이상향인 율도국은 추상적으로 낙원화시키고 있는데 비하여, '허생전'의 무인공도는 구체적으로 가족을 바탕으로 하는 농경 사회로서의 이상향을 그리고 있다.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utopia)와 같이 완전한 구도는 아니더라도 '무인공도'는 낙원의 구체상을 보이고 있다.
허생전의 '무인공도'와 홍길동전의 '율도국'의 비교
허생전의 '무인공도'
홍길동전의 '율도국'
성 격
가족을 바탕으로 하는 농경사회
추상적인 낙원
해외 진출
구체적인 해외 교역의 대상
단순히 현실과 유리된 곳
지 향
완전한 이상향이 아닌 중간 휴식지
완전한 이상향, 최종적인 공간
주세붕의 ‘오륜가(五倫歌)’
지아비 밭 갈러 간 데 밥고리 이고 가
남편이 밭 갈러 간 곳에 밥 담은 광주리를 이고 가서.
반상을 들오되 눈썹에 마초이다
밥상을 들되 눈썹 높이에 맞춰서 듭니다.
친코도 고마오시니 손님과 다르실까?
친하고도 고마우신 분이니 손님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