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M의 마케팅 성공사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Introduction
(1) 성주그룹 소개
(2) MCM 소개

2. 환경 분석
(1) 외부 환경 분석
(2) 시장 환경 분석
(3) 경쟁사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4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백화점에도 입점해 있어 고급화 바람에 편승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온라인 경매 포털에서도 MCM의 제품을 접할 수 있다.
MCM은 현재 세계 패션 스타일의 중심지를 발판으로 역동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미국의 주요 12개 도시에 MCM의 브랜드를 동시에 런칭하였고, 런던의 주요 패션거리에서도 MCM의 스토어를 볼수 있다. 러시아에서는 처음으로 모스크바에 위치한 Tsurn 백화점에 입점했고, 그리스 아테네에도 부띠크를 오픈 했다. 아시아 지역으로는 중국의 베이징에 이어, 태국에 각각 부티크 매장을 오픈 하였다. 그리고 맨하튼의 상징인 Plaza Hotel에 MCM의 스토어가 오픈을 했고 유럽 지역에서는 영국 런던, 독일의 뮌헨에 오픈을 기획 중이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 베이징의 Park Hyatt 호텔에 부티크 오픈과 상하이, 홍콩의 IFC타워에도 오픈 예정이다. 여기에 이어 인도네시아, 태국에서도 더 많은 MCM 소토어를 오픈 예정중이다. 그리고 이제는 주요 럭셔리 부띠크와 퍼스트 클래스 국제선의 기내 상품에서도 MCM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백화점에 입점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서도 MCM의 상품을 쉽게 접할 수 있어서 고객과의 접점을 높이고 있다.

구분
제1장소
제2장소
제3장소
의류 및 액세서리
백화점(63%)
패션 전문점(47%)
인터넷/우편주문/
TV(16%)
패션 액세서리
백화점(57%)
패션 전문점(33%)
기타 상점(14%)
향수 및 화장품
백화점(58%)
인터넷/우편주문/
TV(25%)
기타 상점(17%)
보석류
보석 상점(59%)
인터넷/우편주문/
TV(17%)
기타 상점(16%)
시계
보석 상점(44%)
인터넷/우편주문/
TV(20%)
기타 상점(18%)
(4) Promotion
MCM은 다른 브랜드처럼 광고도 하고 빅 컬렉션을 열며 온라인, 잡지 등으로 많은 광고를 한다. 하지만 다른 브랜드와 다른 점이 있다면 “사회 환원”이다. 김성주회장은 사회에 환원하는 모습을 행동으로 보여주며 기업 브랜드의 바르고 깨끗한 이미지로 광고를 한다. 또 다른 브랜드와는 다른 광고는 김성주회장 자체의 광고이다. 김성주회장은 세계에서 주목하는 여성 CEO 50인에 들며, 많은 각종 상을 휩쓴 유명하고 많은 사람들이 동경하는 CEO이다. 그녀 자체가 발 벗고 직접 노력하는 모습을 매체에 비추어 지는 것은 어떠한 광고보다도 효과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MCM의 2010 S/S 컬렉션에서는 상상의 공간 ‘파라다이스(PARADISE)’에서 받은 영감을 기반으로 봄의 꽃과 유혹을 상징하는 요소를 다양한 라인에 녹여냈다. 이 자리에 'MCM'의 VIP와 백화점 바이어, 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MCM의 그 동안의 행보를 브랜드 영상을 통해 소개하기도 해 눈길을 끌었다. 이 자리에는 MCM의 VIP와 백화점 바이어, 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브랜드 영상에 이어 시즌 컬렉션 캣워크를 진행했다. 「MCM」의 로고 패턴이 돋보이는 바이커 재킷과 매치한 백을 시작으로 파라다이스 아마조네스 뉴욕컬렉션 미쉘스키 퍼스트레이디 등의 라인이 순차적으로 무대에 올랐다.
6. 나아갈 방향
이상으로 성주기업과 MCM, 그리고 그들의 전략, 그들을 둘러싼 시장 환경 등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다. MCM은 본래 독일의 기업으로 경영악화로 인해 흔들리고 있었으나 성주D&D가 인수하면서 180도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른 명품브랜드들과 별다를 바 없는 이전의 고급화전략을 과감히 탈피하면서 매스티지 시장의 성장을 간파하고 그에 걸 맞는 마케팅을 펼친 것이다. 또한 명품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뛰어난 자사의 품질에 더하여 창조적이고 실력 있는 디자이너들을 영입하여 새로운 제품에 대한 혁신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전의 딜러들을 과감히 정리하고 세계 각국에 맞는 매장을 설립하여 보다 나은 서비스로 고객에게 접근성을 높였으며, 오프라인뿐만 아닌 온라인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로써 달라진 MCM은 한 가지 방식이 아닌 여러 각도의 마케팅으로 고객들에게 다가간다. 지금도 MCM은 기업성장의 마케팅 목표를 멈추지 않고 더 나아가고 있다. 세계 곳곳에 스토어를 만드는가 하면, 최근에 일어난 중국의 지진사고에 자선행사를 통해 모금활동을 하는 등 사회지향적인 마케팅 노력도 아끼지 않고 있다.
세계적인 평균수명 증가 및 출산율의 감소로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됨에 따른 65세 이상의 인구에도 초점을 맞춘 마케팅 전략이 더해진다면 MCM의 이런 노력들은 MCM을 더욱 더 큰 기업으로 성장시킬 것이며 고객들의 인지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아직 세계적으로 내놓을 만한 명품 브랜드가 없는 우리나라는 우선 규모를 넓히기 보다는 제대로 된 명품 브랜드 하나를 만드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산 명품 브랜드 개발에 앞서 무엇보다도 우리는 단기간에 뭔가를 이루어내려는 조바심보다는 끈기와 인내력, 그리고 기다릴 줄 아는 자세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하나의 명품 브랜드가 탄생되기 위해서 우선 최고의 상품을 지향하는 최상의 품질과 우리만의 독특성이 표현될 수 있는 창의적이며 혁신적인 디자인, 그와 함께 소비자들과의 교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대중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렇게 명품이 가져야 할 요건들을 하나씩 확보해가면서 제품 자체보다는 소비자의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고급 이미지를 만들어 가는 마케팅 전략을 꾸준히 실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우리나라 명품으로 대변할 수 있는 고유의 문화와 철학을 심어나가야만 한다. 그리하여 우리의 고유 명품 브랜드를 세계인의 브랜드로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www.sungjoogroup.com
www.mcmworldwide.com
www.samsungdesign.net
www.apparelnews.co.kr
www.fashionchannel.co.kr
www.fastretailing.com
www.kaia.or.kr
www.qrsc.or.krwww.hankyung.com
www.hankooki.com
www.munhwa.com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