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화시대 여성의 정치참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여성의 정치참여의 필요성

3. 한국여성의 정치참여 현주소

4. 여성의 정치참여를 위한 과제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웠다. 「여성백서 」(서울:여성가족부, 2004); 여성개발원, 「여성통계연보」, 1998-2001.
게다가 셋째, 법적 제도적으로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못했다 따라서 지금까지도 정당의 공천과정이나 선거구제도가 여성에게는 불리하게 적용되어 왔다. 따라서 여성은 법적으로만 참정권을 획득했지 선거권, 피선거권, 공무담임권 등에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김원홍,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제도적 장치 필요”, 「여성정치」, 2002, 가을호, 통권 35(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p.16.
또한 넷째, 여성 스스로도 자각이 부족해 이를 타파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의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소외는 여성에게 불이익을 가져오게 되었다. 정부 내의 각종위원회나 자문위원회에 30%를 여성에게 할당하겠다고 정부는 공표하고 있으나 앞에서 지적한 장애요인은 그대로 둔 체 기대할 수 없으며 또한 정책결정과정에 30%가 들어가지 않는 한 이것만으로 여성의 지위가 향상된다고 낙관할 수는 없다.
여성을 대하는 사회적 시각과 의식의 전환이 있어야 하며 여성 스스로 적극적인 사고와 행동이 뒤따라야 한다. 특히 여성단체들은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해 여성의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육성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여성후보의 발굴이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여성들은 기존의 정치인과 다른 가치 제공을 위해 대안적 리더가 되어야 한다는 의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참 고 문 헌
손봉숙, 조기숙(1995).『지방의회와 여성엘리트』, 집문당.
이영애 외(2002). 「밀레니엄 성 정치학」, 법문사.
한국정부학회(2003).『거버넌스와 여성』,한국정부학회.
장공자 외 지음(1998).『새로운 정치학-Gender politics』, 서울: 인간사랑.
한국지방행정연구원(1991). 『외국의 지방의회 운영에 관한 연구』.
한배호. 어수영(1989).『한국정치문화』, 법문사.
노동부(1997/2000).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보고서」.
대통령비서실 21세기 기획단편(1993).「21세기의 한국 : 국책연구기관이 본 전망과 과제」
여성개발원(1998-2003). 「여성통계연보」.
여성가족부(2004-2005).「여성백서」,
전국여교수연합회(2007). 「전국여교수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제19회 추계학술회의자료집(2007, 10. 12),
(2008).「세계 여성리더들의 책임과 리더십」,전국여교수 연합회 10주년 기념 국제회의 발표문(2008, 6. 20)
세계여성포럼(2008). 「세계평화와 여성의 정치참여」(2008, 11. 10 발표논문자료집)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08). 「젠더리뷰. 2008」
충청북도여성발전센터(2008). 「여성의원 및 위원 임파워먼트 워크숍」(2008. 8. 26) 자료.
김민정(2008). “할당제 정착을 위한 여성단체의 역할”, 「21세기 여성정치연합」, 제3호.
김양희(2008). “성 인지 감수성과 정책의 성 주류화”,「여성의원 및 의원 임파워먼트 워크숍」자료집(청주: 충청북도 여성발전 센터, 2008, 8. 26).
김영미(2002). “공직에서의 여성대표성”, 이영애 외,「밀레니움 성 정치학」, 법문사.
김원홍(2002).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제도적 장치 필요”, 「여성정치」, 가을호, 통권 35(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박남희(2007). “전국여교수의 현황과 활성화방안”,「전국여교수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제19회 추계학술회의자료집(2007, 10. 12),
이경숙(2008). “세상을 바꾸는 S리더십”, 「세계 여성리더들의 책임과 리더십」전국여교수 연합회 10주년 기념 국제회의 발표문(2008, 6. 20)
이승희(1993). “한국인의 정치적 태도와 형태의 성차연구”, 「한국정치학보」, 23집 제3호.
이영희(1998). “1998, 지방자치와 여성의 정치참여”, 장공자 외 지음,『새로운 정치학-Gender Politics』,인간사랑.
이정옥, 박은미(2007). “대학 내 여교수현황과 역할 강화에 관한 연구, 전국여교수연합회 대구경북지회 2007 정책세미나 자료
장공자(2003).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정당의 역할“, 『거버넌스와 여성』,한국정부학회.
조기숙(1998). “선거와 정당 압력단체와 여성”, 장공자 외 지음,『새로운 정치학-Gender politics, 인간사랑.
조현옥(2008). “여성의 정치참여에 대한 토론”, 세계평화여성포럼 세미나(2008.11.10) 자료집
정두용(2008). “여성, 정치 그리고 평화”, 세계평화여성포럼 세미나(2008.11.10) 자료집.
IPU(1997). Men and Women in politics: Democracy still in the making, a World Comparative Study, Geneva: IPU.
Lovenduski, Joi(1980). Women and European politics, Amnerst : The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Sapiro, Virginia(1981). "When are interests interesting? The problem of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ome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5,
Vallance, Elizabeth(1979). Women in the House : A study of womem members of parliament, London : The Athlone press.
United Nations at Vienna(1992). Women in Politics and Decision-making in the Late 20th Century
http:a/2001-1/re//home.ewha.ac.kr/`imewha/kis0618/0618se1.htm. (2006 11. 22).
http:// cafe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