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형태와 흐름,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용어, 풍수지리(풍수지리학) 구성,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풍수설화,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풍수가사, 풍수지리(풍수지리학) 관련 서적과 시사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형태와 흐름,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용어, 풍수지리(풍수지리학) 구성,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풍수설화,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풍수가사, 풍수지리(풍수지리학) 관련 서적과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형태
1. 형태에 따른 영향
2. 길흉의 형태

Ⅲ.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흐름

Ⅳ.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용어
1. 산
2. 용
3. 맥
4. 혈
5. 사
6. 명당
7. 득, 파
8. 좌향
9. 오성, 구요
10. 관, 귀, 금, 요
1) 관과 귀
2) 금과 요

Ⅴ.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구성

Ⅵ.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풍수설화
1. 풍수설화의 유형
2. 풍수설화의 구조
1) 지관담(地官談)
2) 발복담
3) 적덕보은담(積德報恩談)

Ⅶ.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풍수가사

Ⅷ. 풍수지리(풍수지리학) 관련 서적

Ⅸ.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山歌>2(守一大師 所製), 遊仙錄, 歷代歌辭文學全集 30.
<回文山洪成文의 回文歌>, 栗谷紀念圖書館本, 韓國歌詞資料集成 8.
<凶水得破歌>, 看水定山大摠歌, 姜銓 所藏本.
위와 같은 41편의 風水歌辭는 대부분 개인 所藏의 筆寫本으로 전하고 있다. 板本化되지 못했다는 것은 독자나 향수 층이 다양하지 못하고 풍수를 전문으로 하는 지관들이나 풍수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한정되었다는 증좌이다. 그러나 풍수가사의 수가 다소 적고 板本化 하지 못했다고 하여 풍수지리가 널리 유행하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다. 地官이나 풍수에 관심이 많은 지식계층은 한시, 한문으로 된 風水地理書를 주로 이용하거나 口傳으로 傳承되었기 때문이다.
Ⅷ. 풍수지리(풍수지리학) 관련 서적
신라 고려시대에 사용되어 졌던 풍수서적의 명칭은 확실히 알 수가 없으나 오늘날까지 전해오는 풍수에 관한 서적은 약 180여종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당시의 서적의 대부분이 육필로 사본되어져서 전파되었고 여기에 풍수사가 자기 나름대로의 주장을  입하거나 본래의 내용의 일부가 빠지기도 하여 똑같은 책을 찾을 수 있는 것이 많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조시대에는 풍수서가 음양과의 과거시험의 한 과목이었고 이때에 주로 사용된 서적의 명칭은 육조경, 김낭경, 호순신, 명산론, 지리문정 , 착맥부, 의용, 동림조담, 경국대전 등이다. 또한 이중에서 가장 권위가 있는 것으로는 청조경, 김낭경, 호순신, 명산론의 사서가 있다.
이외에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는 풍수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주자답산부, 도선답산부, 답산가, 정명도, 정이천답산가, 지리대전, 지리정종, 지리대성, 지리요람, 지리대전요결, 지리대요, 지리오결, 지리설심부, 지리요결, 지리총론, 지리전서, 지리오결삼사결초, 지관, 지가서, 지리직지원진, 지골경, 지리서, 지리결, 지리대전, 지리통경, 지리묘역, 지리정서, 지가서, 참공지리대전, 지리비감, 지리변정소, 육예경, 청호경, 청오경, 곽박장경, 적정경, 황제택경, 감룡경, 지리정경, 왕척경, 룡갑경, 옥수진경, 당일행산서, 무학지상서, 성거자지가서, 산법전서, 산가서, 산서, 산법전서, 하락서, 하낙전서, 하도낙서, 오두통서, 양택서, 비방서, 오도통서, 왕룡자비결, 정교지리오결, 삼요지리오결, 도선비결, 김귀결, 자룡자결, 삼사결, 무학결, 산수결, 감무결, 풍수록, 명당록, 명산록, 경지론, 당일행, 간산론 룡 자호용론, 무기도, 명산도, 박성의도식, 분야도, 괘산도, 양택대전도설, 인자수지, 인자수, 인좌수지, 인자택지, 육보집, 정양집, 산가집, 점혈대전, 양택대전, 삼찬비전, 양택정종, 음택정종, 손길귀감, 협기변위, 안민지학, 천기전원, 사대극법, 이의승, 탄자, 직지원진, 포지리, 구성편, 설심부, 도선도장가, 입지안, 변입문, 정음정양, 천기대요, 천기전원, 요집초문, 설신부, 성정법, 설심부, 신증선, 택옥연지, 산세, 일편김, 난해, 심씨지학, 심부금편, 육 삼략, 일가귀감, 정종합편, 천산투지, 부찰현기, 무감편, 양택삼요, 평사옥척, 산림경제, 폭후록, 천원오가, 양택, 박물지, 산림비기, 팔성지, 병룡론, 선택요략, 선택기요, 증보천후대요, 협길통의, 제요신서, 홍범연기, 홍범정종, 비국옥 , 비결집록, 도선비결, 정감록, 무학비기, 토정가장결, 북창비결, 서산대사비결, 두사총비결, 서계가장결, 남사고비결, 오행묘법, 풍수록, 풍수집의, 점례, 현발비결전집, 팔성가거법, 설심경.
-이상 조선의 풍수(소화육년)에 의함.-
Ⅸ. 결론 및 시사점
풍수학의 본질은 자연이 가진 왕성한 생명력에 감응 받음으로써 인생의 건강과 행복을 꾀하는데 있다. 박시익 명당건축연구소 소장 겸 영남대 환경대학원 겸임교수는 \"푸우 발복, 가능한 일이다\"라는 발제를 했다. \"사람은 지면에서 나오는 기운을 호흡하며 살아가고, 지구는 커다란 자석과 유사하다\"면서, \"지자기가 안정된 곳은 사람의 건강에 좋고 반면 지자기의 변화가 불규칙한 곳은 사람의 건강에 좋지 못하다\"고 설명했다. \"명당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서 땅을 앞면과 뒷면을 구분하여 해석한다.\"면서, \"땅의 기운은 앞면과 뒷면에 따라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자연지리학으로 보면 땅의 앞면은 완만한 경사면이며 땅의 뒷면은 단층면으로 구성된 급경사면을 말한다. 땅의 앞면과 뒷면에 대한 개념은 사람이나 나뭇잎 등의 생명체에도 비유된다. 나뭇잎의 앞면과 뒷면의 기운이 서로 다른 것과 같다\"고 말했다. 대기의 압력도 풍수와 관련이 있다며, 고층과 저층 아파트를 비교해 설명했다. 구조는 같아도 기압이 다른데, 지상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은 떨어진다는 것. 아파트 기압 차이는 장기간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건강상 차이를 유발하는데, 대표적으로 고층 아파트의 산모가 저층 아파트의 산모보다 출산 시 문제를 많이 일으킨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조상의 산소 자리에 의하여 후손들의 행복이나 불행이 좌우된다.\"면서, \"유명 정치인들이 조상 산소를 이장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 설명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소를 이장한 뒤 후손들에게 변화된 내용을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정직성 척추염 환자가 그의 할아버지 산소를 이장한 뒤 정상인이 된 일, 녹내장 안질의 중학교 여학생이 증조부 산소 화장 후 정상 시력을 회복한 일, 큰 아들의 부인 가출에 이어 둘째아들 부인도 가출을 했는데 할아버지 산소를 이장한 뒤 가출한 부인이 돌아온 일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풍수지리는 세계에 자랑할만한 한국 고유문화\"라면서, \"풍수지리 전문 연구기관 설립과 함께 전문가의 양성이 절실한 상태\"라고 제시했다. 이런 풍수사상을 널리 발전시켜 나가야함은 물론이다.
참고문헌
도현정, 현대주거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이론적 분석,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이수, 풍수인테리어, 서울 : 경덕출판사, 2004
우영재, 대권과 풍수 - 地氣를 해부하다, 관음출판사, 2002
최종두, 풍수지리학원론, 서울 : 불교출판사, 1983
최창조, 한국의 자생풍수, 민음사, 1997
황화철마케팅과 풍수지리에 관한 고찰 한국유통과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5.2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