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콘텐츠의 특징 및 문화적 함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모바일 콘텐츠의 특징 및 문화적 함의

Ⅰ. 혼종성

Ⅱ. 기술 종속성

Ⅲ. 이용자 의존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자의 적극적인 개입은 콘텐츠가 서비스되는 방
식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모바일을 통한 콘텐츠 서비스는 직접 이용
자에게 제공되는 방식, 다운로드 형식 및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 형식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직접적, 일방적으로 전달받는 방식 외에, 다운로드
형태는 휴대폰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내려받아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도 다운 받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이용하는 것이며, 브라우저는
휴대폰으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해서 보는 형식이다. 이 상호 작용 양식
은 기본적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발전이라는 기술적 측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기존의 다른 미디어와는 차별화된 콘텐츠 수용 양식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콘텐츠 제공 방식보다 이용자가 콘텐츠를 조작하고 변형하
는 방식을 더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디지털 기술을 통해 구현
되는 뉴 미디어 장르나 사이버 장르는 그것이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것
이냐 아니냐에 관계없이 이용자의 행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
다. 예를 들어, 컴퓨터 게임이나 상호 작용 영화의 경우 같은 영상을 담
고 있다고 할지라도 유사한 장르인 영화와 다른 방식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의 기대와 만족도 그리고 사회적 의미가 다를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뉴 미디어 장르의 새로운 점은 장르 자체의 신선함
에 있다기보다는 그것이 이용자와 맺는 관계의 차별성에 있다고 논의되
기도 한다(Shepherd & Polanyi, 2000).
한편 상호 작용성은 이용자의 행동에 따라 텍스트 구성 요소들 사이
의 관계를 재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실질적인 콘텐츠의 구성에 실
시간으로 참여하게 된다. 예를 들어 , 모바일 콘텐츠의 경우 이용자의 저작
이 가능하냐, 혹은 변형이나 새로운 조합이 가능하냐 등에 따라 콘텐츠의
의미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같은 형식의 콘텐츠라 할지라도 실제 현황을
살펴보면 P2M(Person-to-machine) M2P, P2P(Person-to-person)
등 다양한 상호 작용 양식의 개입에 따라 콘텐츠 자체에 다른 의미가 부여
될 수 있다.
모바일 미디어가 개인적인 미디어라는 점은 단말기가 공동으로 소
유되지 않는다는 독립적인 소유 형태, 미디어 이용 양식에서의 개인성
은 물론 콘텐츠의 이용에서도 개인성이 반영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
인성은 콘텐츠를 직접 저작하거나 조합 또는 변형하는 다양한 이용자의
상호 작용 행위를 통해 적극적으로 구현된다. 모바일 콘텐츠는 위치 기
반서비스나 다양한 콘텐츠 저작 기술을 통해 점점 더 개인의 특성에 맞
게 구성되어가고 있다.
* 참고문헌
- 이재현(2004).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송민정(2003). 디지털미디어와 콘텐츠의 이해. 서울: 진한도서
- 주형일(2004). 영상 매체와 사회. 서울: 한울
- 김영석(2000).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서울: 나남
- 류현주(2000). 하이퍼텍스트 문학. 서울: 김영사
- 이재현(2000). 인터넷과 사이버 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0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4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